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메데아 Jan 14. 2019

남자는 다 커도 애야?
엄마, 그게 무슨 소리야.

나는 아기를 입양한 게 아닌데요..

결혼 생활을 준비하면서 많이 들었던 말 중 하나는 '남편을 잘 챙겨줘야 한다'였다.

우리 부모님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어르신들이 그리하였고, 내 또래의 친구들 역시 집안일과 육아에 대해 걱정했다.


반면 그동안 내가 썼던 글에 나와 있듯, 결혼하면 남성에게 여자를 잘 챙기라는 말을 거의 들어본 적이 없다. 물론 이제 가장이 되었으니 가정을 잘 돌봐야 한다는 말을 했지만 그건 나에게도 해당되는 말이므로 사실상 결혼하면 남성에게만 특별히 요구되는 남편의 역할은 그리 많지 않은 것 같다.


남자는 애라서 그럴까? 왜 어른들은 남자는 다 커도 애라는 말을 달고 사는 걸까? 이 말에는 아이의 순수함을 부각하기보다는 단점을 감싸주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자기의 감정을 잘 조절하지 못하고 간혹 충동적일 수도 있고 또 어떤 일에 미숙하고 책임을 지는 것에도 익숙하지 않을 때, 감싸주라는 거다.


남자는 애라는 말, 너무 비현실적이고 치사한 말이다. 다 큰 어른이지만 자신의 잘못된 행동에는 책임을 지지 않아도 된다는 면죄부를 주는 말 같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말은 가부장적인 사회에서 남성들의 잘못을 여성들이 용서할 수밖에 없게 만드는 마법 같은 주문이기도 하다.


또한 이 말을 남성이 아닌 엄마들의 입에서 전달되는 게 참 슬프기도 하다. 우리 엄마네 시대에서는 대게 남성이 집안의 권력을 쥐고, 여성은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그래서일까? 남편이 저지르는 실수에 대해서도 큰 소리를 내지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였다. 우리 엄마 아빠를 봐도 그렇다. 그래서 그 시대의 엄마들은 아빠들의 실수나 잘못을 '철없는 남자, 남자는 다 커도 애'라는 합리화로 그 상황을 견디고 무마시켜왔던 것 같다. 그래서인지 우리 시대의 엄마들 사이에서 자주 쓰였던 말이 바로 남자는 다 커도 애야 였던 거다.


이런 이유들로 나는 이 말이 굉장히 못마땅하다. 그래서 엄마가 남자는 다 커도 애라고 말했을 때, 엄마에게 '내가 입양하는 것도 아니고 애는 무슨 애야. 성인이 아직도 애 같으면 자기 엄마랑 살아야지'라고 딱 잘라 말했다.

이런 나를 보며 우리 엄마는 한숨만 쉬었다.


남자는 다 커도 애라는 말, 언제까지 우리에게 전해질까?. 결혼을 준비하면서 우리네 엄마들의 삶이 참 고달프다는 것을 몸소 느낄 수 있었다. 요즘은 매번 엄마에게 "그러지 마"를 달고 산다. 여자가 말이 많다고 말하는 아빠의 말에 가만히 있지 말라고, 여자는 집안일이나 해야 된다는 아빠의 말에 참지 말라고.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