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글 쓰는 공대생 Dec 14. 2021

<앙테크리스타> 아멜리 노통브

<앙테크리스타> / 아멜리 노통브 저

(지극히 주관적인 제 생각을 쓴 글입니다.)


읽으면서 이입하다 못해 화가 나는 소설은 오랜만이었다. 주인공의 친구로 나오는 크리스타가 너무 꼴 보기가 싫었는데 거기에 주인공 가족의 대처까지도 답답해서 화가 두배로 나는 것이다. 주인공 가족은 도저히 이해가 안 갈 정도의 아량을 보이는데 그것이 마치 숭고한 행위처럼 쓰여있지만 정말 숭고한 행위인지는 의문이다. 현대 한국에 사는 나로서는 숭고하다기보다는 미련한 짓으로 보였는데 어쩌면 문화 차이에 의한 것일지도 모르지만 답답함은 어쩔 수 없었다.


주인공은 블랑슈라는 십 대 여자 아이다. 누구에게도 주목받거나 사랑받아 본 적이 없고 제대로 된 친구조차 없다. 블랑슈는 같은 대학을 다니는 크리스타라는 아이를 동경한다. 반짝반짝 빛나고, 누구에게나 관심과 사랑을 받고, 수많은 친구를 거느리고 다니는 크리스타. 어느 날 크리스타가 블랑슈에게 말을 걸고 블랑슈는 그 은총에 어쩔 줄 모르다 무엇이라도 도움을 주고 싶다는 마음에 먼 거리에서 대학을 다녀 새벽같이 등교를 해야 하는 크리스타에게 학교에 가까운 자기 집에서 묵어도 된다고 말한다. 드디어 친구가, 그것도 아름답고 모두에게 사랑받는 친구가 생긴 블랑슈. 그러나 크리스타가 블랑슈와 단 둘이 있을 때 보이는 모습은 다른 이들에게 보이는 모습과는 전혀 다르다. 블랑슈를 조롱하고 멸시하고 그녀가 가진 모든 것을 빼앗으려 든다. 블랑슈는 다른 이들과 있을 때 크리스타가 보이는 천사 같은 모습과 자신과 둘이 있을 때 보이는 악마 같은 모습 사이에서 헷갈려하다가 다른 이들과 있을 때의 그녀가 크리스타(그리스도를 연상시키는 이름, Christa)라면 자신과 둘이 있을 때의 그녀는 앙테크리스타(사이비 그리스도를 연상시키는 이름, Antéchrista)라고 생각한다. 블랑슈에 의해 크리스타의 앙테크리스타적 면모가 드러나면서 생기는 사건들이 소설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크리스타가 정말 꼴 보기 싫지만 한편으로 이해가 가기도 한다. 아마 크리스타의 본모습은 앙테크리스타일 것이다. 사람들에게 사랑받기 위해 그녀는 사람들 앞에서 사랑스럽고 빛나는 아이를 연기하지만 그 내면에서는 자신이 그렇지 않다는 것을 누구보다 뼈저리게 알고 있을 것이고 거기서 오는 불안감, 자괴감을 외면하기 위해서는 계속해서 자신을 꾸미고 연기하는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렇게 본다면 크리스타는 블랑슈를 진정한 친구로 생각했는지도 모른다. 자신의 본모습을 완전히 드러낼 수 있는 유일한 사람이 바로 블랑슈였던 것이다. 결말부에 이르러 크리스타는 이렇게 소리친다.


"누군가를 사랑한다면 그 사람을 끝까지 믿어야 하는 것 아니에요!"


크리스타는 블랑슈가 앙테크리스타적인 자신의 본모습을 보고도 자신을 사랑하고 믿어주길 바랐던 것 같다. 그녀는 자신의 진정한 안식처인 블랑슈가 자신의 밑바닥까지 보고 경험한 뒤에도 자신을 믿고 사랑해주길 원했던 것이다. 크리스타가 하는 짓이 짜증 나는 건 변함이 없지만 그 속이 어떤 마음인지는 이해가 가니 소설을 읽고 나서 마음이 복잡했다. 내가 블랑슈라면 아마 진작 크리스타를 손절했을 테니 한편으로는 블랑슈가 참 대단하다는 생각도 든다.


이와는 별개로 마지막에 나오는 블랑슈와 그녀의 부모님의 대처가 아주, 매우 마음에 들지 않았다. 나는 사랑과 배려가 무조건 옳은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런 면에서 그들의 대처는 일견 아주 선한 것으로 보이지만 사실 매우 이기적이라는 생각이 든다. 블랑슈와 그녀의 부모님은 자신들이 이렇게 힘든 상황에서도 타인을 먼저 생각하고 배려할 줄 안다는 것, 자신들이 이토록 선한 사람이라는 것에 스스로 도취된 느낌까지 들었는데 개인적으로 무척 이기적으로 보였다. 한마디로 그러한 대처는 자신들을 위한 것이었다. 피해자이지만 그럼에도 비난과 고통을 견디면서 자신들의 도덕적 결백함에 도취되는, 자신들을 오해하고 비난하던 이들이 거짓에 휘둘리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음에도 진실을 알릴 생각조차 하지 않으면서 자신들이 마치 그리스도처럼 타인들의 십자가를 지고 있다고 믿고 도덕적 우월감에 젖어가는 모습. 마지막에 이르러서는 크리스타만큼이나 꼴 보기 싫었다.


사실 이 소설은 아침드라마 보듯이 단숨에 완전히 이입해서 읽었다. 아주 짧고 또 아주 재밌는 소설이다. 어떤 이에게든 별 무리 없이 추천할 수 있는 책이다.


소설 속 한 문장


'저 애의 이름은 크리스타가 아니야! 앙테크리스타야!'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