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송영조 Aug 11. 2018

뇌과학자의 포커 게임(1) - 바디랭귀지

[특별한 뇌과학 이야기 #1] 거짓말 탐지 속의 과학

마인드 스포츠, 포커

레이즈!

상대의 외침에 이제 판돈은 천만 원까지 올라갔다. 정말 좋은 패를 가지고 있을까? 아니면 블러핑? 내가 가진 유일한 단서는 나를 쳐다보고 있는 상대의 표정과 동작뿐이다. 이 하나의 선택으로 인해 가진 돈을 다 잃을 수도, 모든 판돈을 딸 수도 있다.

포커에서 가장 강한 패, 로얄 스트레이트 플러쉬 [P1]

 여기서 간단한 문제를 내보겠다. 당신이라면  아래의 두 상황 중에서 상대가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 때 돈을 걸 것인가?

두 경우 중 상대가 어떤 상태일 때 돈을 거는 것이 유리할까? 이 글을 읽으면 그 답을 알 수 있다. ⓒ 송영조


단 3일.

포커 선수 안토니오 에스판디아리(Antonio Esfandiari)가 1800만 달러(한화 200억 원)을 거머쥐는 데 필요한 시간이었다. 그는 2012년 월드 시리즈 포커 대회(World Series of Poker)의 한 종목인 'Big one for one drop'에서 우승해 1800만 달러를 상금으로 받았고, 이 게임으로 안토니오 에스판디아리는 포커 역사상 한 게임에서 가장 큰돈을 딴 사람으로 기록되었으며 2018년 현재 그 기록은 아직도 깨지지 않고 있다 [1].

2012년 월드 시리즈 포커 대회의 경기 중 하나인 'Big one for one drop'에서 우승해 1800만 달러를 손에 넣은 안토니오 에스판디아리 [P2]


단순한 도박이 아니다.

 한국에서 포커는 단순 도박으로 간주하는 성향이 강하지만, 외국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뛰어난 전략과 마인드 관리를 통해 선수 생활을 할 수 있는 마인드 스포츠의 일종으로 인정을 받고 있다. 본인이 나쁜 패를 가지더라도 본인의 패를 속임으로써 돈을 딸 수도 있고, 좋은 패를 가지더라도 상대의 거짓 베팅에 속아 돈을 잃을 수도 있다. 그런 거짓들이 정당화되는 곳이 바로 포커 게임장이다.


블러핑을 판별해라!
대담함이 모든 것을 이긴다는 뜻의 포스터. 자신의 패를 속이는 행위인 블러핑은 포커 게임에서의 최고의 전략 중 하나다. [P3]

 낮은 패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돈을 거는 것, 이 거짓 행위를 블러핑(bluffing)이라 부른다. 블러핑은 포커 게임에서 이기기 위한 최고의 전략이며, 이 블러핑을 판별하는 능력은 포커 게임에서 가장 필요한 능력 중 하나이다. 만약 상대의 블러핑을 쉽게 판별하지 못한다면 순식간에 가진 돈을 모두 잃고 그 게임의 패배자가 될 것이다.



거짓말 탐지의 과학

거짓말의 단서

 재미있게도, 뇌과학과 심리학 분야에서도 거짓말을 판별하는 기술과 관련된 연구는 긴 역사를 가지고 있다. 많은 과학자들이 거짓말을 하는 순간 모든 인간에게서 진실을 말할 때와 확연한 차이를 주는 특정한 단서가 있을 것이라 가정하고 긴 탐험을 시작했다. 과학자들이 찾아낸 거짓말의 단서는 무엇이 있을까?



첫 번째 후보: 바디랭귀지

누가 더 매력적인가?

 아래의 사진에서 더 매력적으로 느껴지는 사진을 골라보자.

둘 중에 누가 더 매력적으로 느껴지는가? [P4]

 아마 여러분의 대다수는 왼쪽 여성을 골랐을 것이다. 사진을 다시 자세히 보며, 두 사진의 차이점을 발견해보자. 무엇이 다를까? 차이점은 딱 하나뿐이다. 바로 동공의 크기이다.


몸은 메시지를 담고...

 바디랭귀지에는 심리 상태가 담긴다. [3] 이야기가 너무 지루해지면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팔짱을 끼기도 하고, 상대가 너무 마음에 들면 나도 모르게 몸이 상대를 향해 기울고, 상대의 질문에 고개를 저으며 말없이 의사표현을 하기도 한다. 이 모든 상황에서 몸짓을 통해 그 사람의 생각이 드러난다.

다양한 바디랭귀지. 사진 속 인물의 자세를 통해 그 인물이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 지 짐작할 수 있다. [P5]

 그럼 위의 동공 크기 사진을 다시 생각해보자. 동공의 크기가 큰 상대를 더 매력 있게 느낀다는 것은 이미 예전부터 알려져 있던 사실이다. 매혹적인 미인으로 알려진 이집트 여왕 클레오파트라는 동공의 크기가 본인의 매력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알고 독초로 알려진 벨라돈나풀(학명: Atropa belladonna)을 눈에 넣어 동공을 확장시키기도 했다. [2] 

세기의 미인으로 알려진 클레오파트라는 본인의 눈에 벨라도나라는 독초를 넣어 본인의 동공을 확장시켰다. [P6]

 교감 신경의 작용으로 인해 흥분 상태에 있을 때, 동공은 확장된다. 실제로 매력을 느끼는 이성을 볼 때 동공이 확장되는데, 우리는 이 신호를 본능적으로 인식하고 매력적이라는 느낌으로 받아들인다. [3] 우리는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신체 변화를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고 전달받고 있던 것이다.


 바디랭귀지에 우리의 생각이 담길 수 있다면 거짓말을 하는 상대의 진심이 몸짓에 담길 수 있을 것이고, 이를 통해 우리는 상대의 거짓을 판별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하지만 아직 중요한 문제가 남았다. 만약 바디랭귀지가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난다면 우리는 상대의 진심을 잘못 해석할 수 있다. 거짓말 단서의 후보가 되기 위해서 바디랭귀지는 반드시 모든 사람에게서 보편적으로 나타나야 한다.


제목 학원

 인터넷 사이트에 꾸준히 업로드되며 많은 웃음을 주었던 사진들이 있다. 같이 살펴보자. (인터넷에서 찾을 수 있는 게시물을 바탕으로 재구성하였다.)

 
위에서부터 [P7],[P8], [P9]

 이 사진들이 소소한 웃음을 주었는가? 그 소소한 웃음의 뒷면에는 사진 속 인물 및 동물의 몸짓의 이해, 제목과의 맥락 형성 및 공감이 바탕되어있다. 이러한 사진들이 꾸준히 업로드되고, 많은 사람에게 공감을 얻고 있다는 점은, 인간 및 동물의 몸짓이 보편적으로 일관되게 이해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그럼 바디 랭귀지는 보편적일까?

바디랭귀지 전문가, 데스먼드 모리스(Desmond Morris, 1928-present) [P10]

 바디 랭귀지 전문가 데즈먼드 모리스(Desmond Morris)는 그의 저서 '피플 워칭'에서 인간은 광범위한 타고난 바디랭귀지를 가지고 있는 게 거의 확실하다 표현했다. 인간은 배우지 않아도 되는 '타고난 동작'과 인간이라면 타고 나는 신체 구조등으로 인해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발견 동작'이 있으며, 이 두 부류의 동작은 모든 인간에게서 보편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4] (그렇지 않은 동작들도 존재한다.)


 이렇게 보편적인 바디랭귀지가 존재한다는 것은 거짓말을 할 때 보편적으로 인간이 나타내게 되는 단서로 바디랭귀지가 사용될 수도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그렇다면 바디랭귀지를 이용해 거짓말 단서를 분석한 연구를 살펴보자.


인터넷에 있는 증언 영상을 모아 분석하다.
증언 영상 캡쳐본. (윗줄) 거짓 증언 영상에서 나타났던 바디랭귀지, (아랫줄) 진실 증언 영상에서 나타났던 바디랭귀지 [5] ⓒ Mihai Burzo

 미시간대학교 미하이 벌조(Mihai Burzo) 박사 연구팀이 발표한 재미있는 연구가 있다. 유튜브 등의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수집한 진실 증언과 거짓 증언 데이터를 모아, 증언 시 나타나는 바디랭귀지 단서를 분석한 연구이다. [5] 실험실에서의 특별한 환경은 실제 생활에서의 환경과 다르기 때문에 기존 연구결과에 대한 비판이 많은 상황에서 [6], 이 연구는 매우 큰 의미를 지닌다.


거짓말쟁이는 고개를 돌리지 않는다.

  이 연구에서 진실 증언과 거짓 증언을 가장 잘 구분해 주었던 지표는 '고개 돌림'이었다. 거짓 증언을 하는 사람은 진실을 증언하는 사람보다 고개를 돌리지 않을 확률이 높았다. 그 외에 거짓 증언을 예측하는 데 좋은 지표로 '위쪽 응시', '눈 깜빡임', '미소' 등이 있었다. 

 

(추가적으로 설명하면, 언급한 지표들은 머신 러닝을 이용해 최적의 분류 비중을 찾았을 때 36개의 지표 중 가장 비중이 높았던 4개의 지표들이다. 모든 지표를 이용해 분류했을 때 거짓말 탐지 정확도는 77.11%였다. 사람이 감으로 찍는 것보다 약 8% 정도 높은 정확도이다. [5])



포커 게임에서의 바디랭귀지

포커 게임에서도 같을까?

 그럼 궁금증이 생긴다. 포커 게임 상황에서도 같은 바디랭귀지를 이용해 블러핑을 구분할 수 있을까?

'천재 플레이어'라는 별명을 가졌던 마이크 카로(Mike Caro, 1944-present) [P11]

 드로우 포커(Draw poker) 전문가이자 포커 이론의 선구자로 유명한 마이크 카로는 'Caro's book of poker tells'라는 책을 통해서 포커를 플레이 할 때 나타나는 여러 가지 신체적 단서들을 정리해놓았다. [7] 실제 사람들과 플레이를 하며, 플레이어들이 나타냈던 바디랭귀지를 항목별로 정리하여 단서별 신뢰성을 통계적으로 정리해 놓은 이 책은 많은 포커 플레이어들에게 큰 지침이 되고 있다.


성급하게 패를 공개하는 사람

 이 책에서 말하는 거짓말쟁이를 가장 확실하게 구분하는 단서는 무엇일까? 상대가 베팅한 뒤, 나도 따라 베팅을 하려 한다. 그런데 상대가 내가 베팅을 제대로 하기도 전에 패를 공개하려는 제스처를 취한다. 마이크 카로에 따르면 성급하게 패를 공개하려 연기하는 사람이 거의 확실하게 블러핑을 할 것이라고 제시한다. (초보 플레이어가 이 행위를 보일 경우 99% 확률로 블러핑이라고 한다.) [7] 


고개를 돌릴까?

 마이크 카로가 말하는 단서 중에서 재미있는 경우가 하나 있다. 상대가 베팅을 한 뒤, 내가 베팅을 할 차례이다. 얼마나 베팅하면 좋을까? 고민이 된다. 그런데 상대가 내 베팅을 고개를 돌리고 보지 않고 있다. 상대가 고민에 빠진 걸까? 앞에 소개된 연구처럼 상대는 진실되게 베팅을 한 것일까? 


 마이크 카로는 이 경우 최대한 베팅을 해서는 안된다고 한다. (초보 플레이어가 이 행위를 보일 경우 98%의 확률로 강한 패라 한다.) [7] 상대는 혹시라도 본인의 관심이 내 베팅액을 줄일까 걱정되는 마음에 신경 쓰지 않는 척하는 것이다. 이 상황에서 '고개 돌림'은 상대의 패의 강함과 연관이 있고, 거짓이라는 행위 자체와의 연관성은 적다.


상황이 다르다.

 미하이 벌조 박사 연구팀이 모은 상황은 "증언"을 할 때의 상황이다. 증언자가 고민해야 할 것은 증언의 내용 및 본인의 자세이다. 본인이 눈을 피하거나 고개를 돌리는 등의 자신 없는 행동을 하면, 상대가 자신의 말을 믿어주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따라서, 거짓말을 하는 경우 실제 진실을 말하는 사람보다 고개 돌림이 덜 나올 수밖에 없다.


 하지만 포커 게임에서는 본인의 패, 상대의 패와 상대의 베팅 등 고려해야 할 요소와 인터뷰와는 다르다. 이로 인해 '고개 돌림'이라는 행동에 관여하는 요소가 더 다양하고 복잡하다. 그리고 어떤 포커 게임을 하느냐에 따라, 베팅 한도가 얼마냐에 따라서도 바디랭귀지가 바뀔 수 있다. [8]  같은 바디랭귀지라도 상황에 따라서 유연하게 해석하는 능력이 중요한 것이다. 


감출 수 있다.
바디랭귀지는 의식적으로 감추는 것이 가능하다. [P12]

 바디랭귀지를 이용한 블러핑 파악의 가장 중요한 문제점은 플레이어가 의식적으로 이를 감출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블러핑을 할 때마 칩을 세지 않는 버릇이 있는 플레이어는, 이를 깨닫는 순간 모든 베팅 때마다 일부러 칩을 세며 이를 감출 수 있다. 그리고 심지어 이를 역이용해서 블러핑이 아닐 때 칩을 세지 않음으로써 상대를 속일 수도 있다.


 바디랭귀지는 블러핑 탐지 단서로서 충분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상황에 따라 쉽게 변하고, 어떤 경우 바디랭귀지를 역이용해 더 크게 손해를 입을 가능성도 존재한다. 더 믿을만한 단서는 없을까? 상황에 덜 의존하고, 감추기도 쉽지 않은 단서는 없을까? 다음 장에서는 바디랭귀지 외의 다른 단서 후보가 있을지 계속 살펴보도록 하겠다. 



<참고문헌>

[1] 월드 시리즈 포커 웹사이트 (http://www.wsop.com/tournaments/results/?rr=5&aid=2&grid=887&tid=12155&dayof=2536)

[2] Shibamoto, T., & Bjeldanes, L. F. (2009). Introduction to food toxicology. Academic press.

[3] Pease, B., & Pease, A. (2008). The definitive book of body language: The hidden meaning behind people's gestures and expressions. Bantam.

[4] Morris, D. (2002). Peoplewatching. Random House.

[5] Pérez-Rosas, V., Abouelenien, M., Mihalcea, R., Xiao, Y., Linton, C. J., & Burzo, M. (2015). Verbal and nonverbal clues for real-life deception detection. In Proceedings of the 2015 Conference on Empirical Method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pp. 2336-2346).

[6] Vrij, A. (2008). Detecting lies and deceit: Pitfalls and opportunities. John Wiley & Sons.

[7] Caro, M. (2003). Caro's book of poker tells. Cardoza Publishing.

[8] Burgess, R., Baldassarre, C. (2006). Ultimate Guide to Poker Tells: Devastate Opponents by Reading Body Language, Table Talk, Chip Moves, And Much More. Triumph Books


<저작권 정보>

[P1] 저작권: Public Domain, 출처 링크: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Poker_cards_and_chips.jpg

[P2]  저작권: CC BY-ND 2.0, 출처 링크: https://www.flickr.com/photos/worldpokertour/33141219245, Attributor: World Poker Tour (flickr account)

[P3] 저작권: CC BY 2.0, 출처 링크: https://www.flickr.com/photos/shawnzlea/2336759880, Attributor: Shawn Rossi (flickr account)

[P4] 저작권: CC0, 출처 링크: https://www.maxpixel.net/Face-Woman-Sad-Girl-Portrait-Portrait-Of-A-Woman-2961959

[P5] (왼쪽) 저작권: CC0, 출처 링크: https://pixabay.com/ko/%EB%82%A8%EC%9E%90-%EC%A2%8C%EC%84%9D-%ED%8C%94%EC%A7%B1-%EC%8B%AC-%EC%88%A0-%EC%9F%81%EC%9D%B4-%ED%8E%B8%EC%95%88%ED%95%9C-%EC%A0%8A%EC%9D%80-%EB%82%A8%EC%84%B1-%EC%82%AC%EB%9E%8C-1209137/, (가운데) 저작권: CC0, 출처 링크: https://pixabay.com/ko/%EC%BB%A4%ED%94%8C-%EB%82%A0%EC%A7%9C-%EC%9C%A0%ED%96%89-%ED%96%89%EB%B3%B5%ED%95%9C-%EB%82%A8%EC%9E%90-%EC%82%AC%EB%9E%8C%EB%93%A4-%EB%AF%B8%EC%86%8C-%EC%97%AC%EC%9E%90-1845620/, (오른쪽) 저작권: CC0, 출처 링크: https://pixabay.com/ko/%ED%98%BC%EB%9E%80-%EC%86%90-%EC%B5%9C%EB%8C%80-%EC%9E%98-%EB%AA%A8%EB%A5%B4%EB%8A%94-%EB%82%9C%EC%B2%98-%ED%95%9C-%EC%A0%8A%EC%9D%80-%EC%8B%9D-%EC%82%AC%EB%9E%8C-%ED%95%98%EB%82%98-2681507/

[P6] 저작권: CC0, 출처 링크: https://www.maxpixel.net/Queen-Egypt-Nefertiti-Woman-Isis-Cleopatra-Anubis-2824582

[P7] 저작권: CC BY-SA 2.0, 출처 링크: https://www.flickr.com/photos/celebrityabc/21785563268 , Modification was made, Attributor: celebrityabc (flickr account)

[P8] 저작권: CC BY-SA 4.0 , 출처 링크: https://ja.wikipedia.org/wiki/%E3%83%89%E3%83%8A%E3%83%AB%E3%83%89%E3%83%BB%E3%83%9E%E3%82%AF%E3%83%89%E3%83%8A%E3%83%AB%E3%83%89  ,  Modification was made, ⓒ Kotaro Negawa

[P9] 저작권: Public Domain, 출처 링크: http://dodskypict.com/baby-penguin-wallpaper/baby-penguin-images/

[P10] 저작권: Public Domain, 출처 링크: http://www.gahetna.nl/collectie/afbeeldingen/fotocollectie/zoeken/weergave/detail/q/id/ab802b64-d0b4-102d-bcf8-003048976d84

[P11] 저작권: CC BY-SA 2.0, 출처 링크: https://en.wikipedia.org/wiki/Mike_Caro#/media/File:MikeCaro2006.jpg, No modification was made, ⓒ flipchip / LasVegasVegas.com

[P12] 저작권: Public Domain, 출처 링크: https://libreshot.com/woman-playing-hide-and-seek/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