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 토마스 앤더슨에 대한 찬사는 많이 들어왔다. 하지만 제대로 된 영화를 본 적은 없었는데, 갑자기 내 눈에 팬텀스레드라는 영화가 들어왔다. 분명 이 영화는 로맨스인데 굉장히 긴장감 있다. 마치 스릴러 영화를 보는 것 같은 그런 긴장감 말이다. 로맨스라고 하기엔 장르 영화에 가깝고 로맨스 영화가 아니라고 하기엔 배우들의 눈빛이 설렌다. 그들의 사랑을 정의 내린다면 광기의 사랑이 아닐까.
1. 예민하다 못해 까칠한 남자
레이놀즈는 잘나가는 디자이너다. 그의 삶은 디자인으로 시작해 디자인으로 끝난다. 워커홀릭이고 내가 만든 옷만이 진정한 예술이라고 생각하며 사는 남자다. 상류층 여성들을 상대하며 그들의 인정을 받은 남자인 만큼 그런 생각을 하는 것도 이해가 안 되진 않는다. 하지만 순수한 아름다움에 가까워질수록 그의 성격은 더욱 괴팍해지고 모든 주변 사람들을 그의 일상에 끼워 맞추려는 이기적인 모습도 보인다. 그를 둘러싼 여자들은 모두 그의 삶에 맞추어 병정처럼 살아가고 있기에 자신에게 맞추지 않는 주체적인 여자는 애초에 필요하지 않은 것이다. 그의 누나, 시릴도 그의 인생에 맞춰 사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하지만 그의 잘생긴 외형과 재능으로 많은 여자들을 홀리면서도여자들이 그에게서 떨어져 나가는 이유도 그의 그런 자기 중심적인 태도 때문이다.
그런 그의 인생에 나타난 알마는 순종과 개성 사이에서 뛰노는 여자다.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모르겠는, 어떻게 보면 치명적인 매력의 여자인 것이다. 하지만 그녀를 자신의 루틴에 맞추고자 했던 그는 점차 그녀의 엄마 같은 매력에 그녀의 페이스에 말려 그녀에게 잠식되어 버린다.
2. 순종의 끝은 그 사람을 소유하는 것이다
알마는 처음부터 레이놀즈에게 반했다. 그의 화려한 외모와 그가 만드는 옷에 반했던 것이다. 그렇게 아름다움이 전부인 세계에 들어온 그녀는 그의 진짜 모습을 보고 실망하지만 그를 포기하진 않는다. 그녀가 그의 루틴을 무시하는 경우는 한 가지 이유 때문이다. 그와의 단 둘만의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와의 관계 속에서 항상 누군가 끼어든다고 생각했던 그녀는 그의 온전한 관심이 필요했지만 그는 그녀를 자신의 삶의 병정으로서만 생각한다. 이 정도 됐으면 떨어져 나갔어야 맞는데, 그녀는 그에게 독버섯을 먹인다. '죽이려고 하는구나'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그녀는 그를 죽이려고 하는 것이 아니다. 그를 너무 사랑해 그와 자신 사이에 있는 벽을 깨기 위해, 자신에게 온전히 의지해 그를 자신의 것으로 만들기 위해 딱 죽지 않을 만큼만 먹이는 것이다. 그를 무력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렇게 해서라도 그녀는 그를 갖고 싶은 것이다.
3.두 사람의 관계성
두 사람은 어긋나는 것 같으면서도 굉장히 찰떡궁합이다. 다시는 서로와 같은 상대는 못 만날 것 같다. 레이놀즈는 센 척 하지만 연약한 사람이고 알마는 순종적인 척하지만 가만 보면 소유욕이 굉장히 강한 사람이다. 또 어떤 관점에서 보면 그들은 서로를 각자의 방식으로 길들이는 과정을 거쳤던 것이다. 레이놀즈는 규율로서, 알마는 무조건적인 희생으로서. 레이놀즈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연약함을 가리기 위해 규율로 자신을 휘감고 사는데, 그 연약함을 알아채고 그 규윻을 깨고 자신에게 온전히 기대라고 요구하는 알마가 부담스러웠을 것이다. 하지만 알마가 어느 순간 자신의 엄마와 대비되어 보이는 순간 그는 그녀에게 지배당하게 되어 버린 것이다.
패권싸움에서 알마가 이긴 것이다. 이 싸움이 그들의 관계에서는 사랑싸움이었고, 그들의 사랑 싸움이 긴장감 넘쳐 보였던 이유는 매 순간 기싸움의 연속이었기 때문이고 흔하디흔한 사랑싸움 같아 보이진 않았기 때문이다. 알마가 이 싸움에서 이기기 위해 독버섯을 먹이는 것을 보면 어떤 누군가와의 관계성 속에서사랑과 집착은 어쩌면 같은 말 아닐까라고 생각했다. 집착은 그저 더 열망하는 사람이 가지는 사랑의 형태인 것이다. 사람을 내가 원하는대로 어떻게 해볼 수 있다는 것, 그것은 광기라고도 평가되지만 광기로라도 사랑을 해야하는 사람과 그 사랑의 평안함을 느끼는 사람이 있다면 그 두 사람의 관계성은 그 자체로 평화가 아닐까.
사랑을 느끼는 감정은 다분이 주관적이기에 남의 눈에 이상해 보이든 말든 당사자들이 느끼는 것이 평화롭다면 이들의 사랑이 광기로 보여도 인정해줘야 하는 걸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사랑이란 결핍을 채우는 어떤 것이라는 관점에서 본다면, 결핍이 많은 사람일수록, 결핍의 정도가 깊은 사람일수록 사랑을 잘하거나 사랑에 목을 매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겉으로 보면 레이놀즈가 더 결핍이 있어 보이지만 알마가 레이놀즈를 지배하려고 하는 모습을 보고 있으면 알마가 더 큰 결핍이 있는 것이 아닐까 상상해 보게 된다. 각자의 결핍을 충족하는 모습만으로도 그들의 사랑은 이루어진 것이라고 볼 수 있겠다. 겉보기에 그들의 사랑이 어떻게 보이는지는 별로 중요하지 않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도 결국 이 영화를 보면서 미쳐버린 걸까.
두 주연 배우의 눈빛이 영화에 집중하게 만드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리고 영화 시작에서 흐르는 음악이 굉장히 인상적이다. 그들의 긴장감있는 관계를 잘 묘사한 것 같다. 아주 진중하면서 catchy하다. 음악만 들어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