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M씽크 1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권규범 Nov 14. 2018

'이상한 나라'의 며느리로 산다는 것.

MBC 시사교양, 이상한 나라의 며느리

4월 파일럿 방송으로 시작해 두달 후 정규편성으로 찾아온 MBC 시사교양 '이상한 나라의 며느리'. 고부갈등을 주제로 한국의 여성들이 결혼생활에서 겪는 고충을 풀어낸 프로그램이다.  방송의 주제가 주제다보니 매 화 (안 좋은 쪽으로) 화제를 낳는 것은 당연지사일 듯 한데, 역시나 한 회차가 끝나고 나면 SNS 광장에 끌려가는 것은 다름아닌 남편을 비롯한 시댁 식구들이다.  

지인들 앞에서 며느리를 들러리 취급하는 시어머니, 만삭의 몸에 둘째 아들을 요구하는 시아버지, 또 그걸 편들고만 있는 눈치없는 남편. 제 3자의 입장에서, 남성으로서, 또 아직은 학생 신분인 나로서는 정말 결혼하면 저래? 혹여나 연출이 덧씌워진 과장 아닐까? 라는 일말의 의심마저 들게 하는 다소 극단적인 상황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은 며느리와 대치하는 상황인 시댁 식구들의 저의엔 전혀 악의적인 생각이 담기지 않았다는 점. 그들에겐 며느리를 대하는 사회적 관습에서 나온 언행일 뿐이었던 것이다. 

이상한 나라의 며느리는 그러한 시사점을 잘 짚어내었다고 생각한다. 자막이나 패널조차 '흔히 마주치는, 이상한 일'에 호들갑을 떨지 않는다. 충분히 당황스러울 만 한 상황인데, 이상한 나라에선 그저 '아무 일' 도 아니라는 역설, 시청자 스스로가 우리 시대의 며느리가 겪는 부조리함을 통해 공분의 목소리를 이끌어 낼 수 있게끔 만들었다.  


일러스트는 이상한 나라의 갈림길에 놓인 앨리스를 담아보았다. 과연 이곳에서의 결혼이 축복으로 일단락 될 수 있는 경사인지, 혹은 정말 이상한 나라로 몰아칠 수 있는 태풍의 눈인지. 오직 여성들만이 놓일 수 밖에 없는 이러한 처지에 대해 보다 많은 시청자들이 공감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PD수첩>과 PD 저널리즘에 대하여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