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자그니 Oct 08. 2024

신기술? 그거 원래 있던 거라니까요

알고 보면 오래된 뉴-테크놀로지 

미래학자 로이 아마라가 만든, 아마라의 법칙(Amara's Law)이 있다. 우린 단기적으론 기술의 영향력을 과대평가하고, 장기적으론 과소평가한다(We tend to overestimate the effect of a technology in the short run and underestimate the effect in the long run)-는 말이다. 전술적으론 과대평가하고 전략적으론 과소평가한다고 해야 할까. 이런 법칙을 들먹이지 않더라도, 우린 세상을 바꿀 거라던 수많은 신기술이 어떻게 사라졌는지 이미 안다. 반면 진짜 세상을 바꾼 기술은, 이미 익숙해 지루하다.


새로운 기술이 돈을 벌어줄 거라고 외치는 시대다. 인공지능을 비롯해 자율주행차, 로봇, 메타버스, P2E, 암호화폐, NFT, 블록체인, 바이오 해커, 플라잉 택시 등 이게 뭔지 모를 단어가 수도 없이 뉴스에 떠다닌다. 당신 주머니를 노리는 호들갑에 속기 싫다면, 어떤 기술의 역사를 알아두면 좋다. 그럼 “스마트한 기술을 무의미한 제품에 넣어 어리석은 제품을” 만든 건 아닌지(타카라의 법칙 #1)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된다.


* 타카라의 법칙 : 디자이너 존 타카라가 만든 법칙. If you put smart technology into a pointless product, the result will be a stupid product. 


1978년 타임 특집, 컴퓨터 소사이어티


1. 4차 산업 혁명


알파고 충격 이후, 지난 몇 년간 우리가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들은 말은 바로 ‘4차 산업 혁명’이다. 2016년 세계경제포럼에서 발표된 ‘일자리의 미래’ 보고서에선, 2020년까지 4차 산업 혁명으로 인해 대략 710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거라고 위협했을 정도다. 2022년에 생각하면 이런 전망이 맞긴 맞는 건가- 싶긴 하지만, 4차 산업이란 말은 오래전에 이미 있었다. 


“지식 혁명의 전위, 이것이 컴퓨터 4차 산업”, 1969년 3월 22일 자 경향신문 기사 제목이다. 4차 산업 혁명은 아니다. 이 기사에선 정보화 혁명을 2차 산업 혁명이라 부르면서, 이로 인해 정보 산업을 중심으로 하는 4차 산업이 새로 생겼다고 말한다. 이 시기 기사를 살펴보면, 특히 로봇과 컴퓨터(인공지능), 우주여행 이야기가 많다.


1969년 11월 21일 자 조선일보에선 “집집마다 로봇 하녀”라는 제목으로, “서기 2천년쯤에는 전자계산기로 움직이는 하녀가 집집마다 있어 가정 주부들은 가만히 안락의자에 앉은 채로 장 보는 일을 할 수” 있을 거라는 독일 교수의 주장을 실었다. 앞으로는 단추 하나만 누르면 컴퓨터가 모든 걸 해결해주는 컴퓨터 만능 세상이 온다고. 


이런 부류의 주장은 20세기에도 이어져, 레이 커즈와일 옹께선(1948년생이시다.) 1999년에 낸 책에서 2020년쯤에는 개인용 컴퓨터 한 대가 인간의 두뇌를 따라잡고, 장애인들은 정상인과 같은 삶을 살 수 있으며, XR 장치를 이용해 메타버스(같은) 세계에서 살 거로 전망하기도 했다.


무슨 꿈 같은 소리를 하고 있나- 싶겠지만, 이런 꿈이 없으면 기술 투자를 받기 어렵다. 연구비가 없으면 연구개발을 계속할 수가 없고. 


다행히 이때는 서구에선 사회적으론 68혁명으로 대표되는 문화 혁명기, 기술적으론 아폴로 11호로 대표되는 기술 경쟁기였다. 소련과 미국의 냉전이 체재 경쟁 = 누가 더 나은 사회인지를 겨루는 것으로 이어지면서, 수많은 기술이 쏟아지고, 발명품이 만들어졌다. 대표적인 게 인터넷이다.


● 그래서? : 컴퓨터 산업으로 인한 변화는 1980년대까지는 2차 산업 혁명, 1990년대에서 2010년대까진 정보화 혁명으로 불리다가, 2016년 이후 갑자기 3차 산업 혁명으로 명명됐다. 그래야 4차 산업 혁명이란 말이 설 자리가 생기니까.



2. 스마트폰


최초의 스마트폰은 어떤 제품일까? 많은 사람은 아이폰이 스마트폰 시대를 열었다고 생각한다. ‘디지털 미니멀리즘’을 쓴 칼 뉴포트의 주장에 따르면, 아이폰은 스마트폰으로 만들어진 제품이 아니다. 전화도 되는 풀 터치 아이팟(MP3 재생기)이었다. 그걸 스마트폰으로 만든 건 해커들이다. 이후 2008년 아이폰 3G 출시와 함께 앱스토어를 공개하면서, 아이폰은 스마트폰이 되었다. 


우리나라 언론에 스마트폰이란 단어가 처음 등장한 건 1992년이다. 한겨레 신문 1월 28일 자에 ‘21세기 전화 스마트폰 첫선’이란 기사가 실렸다. 풀 터치 디스플레이에 16bit CPU가 탑재된 제품이지만, 휴대전화가 아니라 집에 놓고 쓰는 가정용 전화였다. 그럼 진짜 스마트폰은? 같은 해에 공개된 IBM 사이먼(IBM Simon Personal Communicator, 판매는 1994년 8월부터)이다. 


전자수첩과 휴대폰을 결합한 이 제품은, 아이디어는 좋았지만, 사용 시간이 1시간밖에 안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사이먼은 실패했지만, 반도체 기술이 향상되면서 윈도 이전의 OS인 DOS를 탑재한 포켓PC가 여러 종류 출시됐다. 무선 호출기 같은 제품이 널리 보급되면서 무선 통신 기술도 나날이 좋아졌다. 


월드와이드웹이 개발되고 인터넷 이용자가 늘면서, 이동하며 인터넷을 쓰고 싶다는 욕망도 커졌다. 블랙베리나 팜(Palm) PDA 같은 히트 제품도 태어났다. 노키아는 N90 같은  칼 자이쯔 렌즈를 탑재한 비디오 카메라폰을 출시하기도 했다. 사실 2000년대 후반 만들어진 최신 휴대폰들은, 스마트폰에 버금가는 기능과 성능을 이미 가지고 있었다.


● 그래서? : 아이폰과 비슷한데 왜 다들 망했을까? 모든 성공엔 말해지지 않은 부분이 있다. 아이폰은 기존에 이동통신사가 가지고 있던 앱과 콘텐츠를 유통할 권리를 애플에게로 가져왔다. 


아이폰 도입 이전 한국 휴대폰에는 와이파이가 없었다. 무선 인터넷을 이통사 네트워크로만 이용해야 했다. 데이터 이용료는 비쌌다. 2009년 S 통신사 텍스트 데이터 요금 기준, 1GB에 약 944만 원에 달했다. 


아이폰은 초기에, 특정 이통사에만 공급하는 방법으로 이런 규제(?)를 피해 갔다. 나중에 인기를 얻자, 통신 요금제를 아예 바꾸게 된다. 2G에서 3G 이동통신으로 변해가는 시기에, 아이폰은 3G 가입자를 늘릴 킬러 제품이었으니까



3. 가상 화폐


고전 명작 애니메이션 카우보이 비밥을 보다 보면, 특이한 방법으로 돈을 주고받는 장면을 볼 수 있다. 카드와 카드를 맞붙여서 돈을 건넨다. 여기서 돈은 ‘진짜’ 돈이다. 어떤 것을 디지털 화폐라고 부를 때 말하는 돈이 이런 돈이다. 은행이나 신용카드사를 거치지 않고 쓰거나 넘겨줄 수 있는, 그저 종이라는 형태만 사라진 돈. 비트코인이 원래 상정했던 쓰임새도 이쪽에 가까웠다. 


이런 돈은 언제 처음 나왔을까? 1989년 설립된 디지캐시가 첫 디지털 화폐로 알려져 있다. 언론에 처음 나타난 건 1994년 12월 7일이다. 


매일경제는 “손끝에 전 세계 정보 모인다”라는 기사에서, 빌 게이츠의 컴덱스 기조연설을 전하며 ‘다가오는 시대는 PC 시대와는 전혀 다르다. ... 먼저 PC 지갑이 보편화된다. 이 지갑으로 물건값을 지불하게 된다. PC 지갑이 현재 사용하는 현금 지갑과 소지품을 대체할 것이다’라고 적었다. 


뉴스를 보고 가족사진도 저장하고 이메일도 교환한다는 걸로 봐선 스마트폰 시대를 말한 것 같기도 하지만, 아무튼 이름은 PC 지갑이다.


실제 전자화폐가 등장한 적도 있다. 조선일보 1999년 4월 13일 ‘[사이버 마케팅] 전자화폐 시대 활짝 열린다’ 기사에는 아이캐시라는 국내 전자화폐 서비스를 소개했다. 2000년에는 몬덱스 코리아에서 몬덱스 전자화폐를 코엑스에서 쓸 수 있게 한 적도 있다. 


그때만 해도 신용카드 쓰는 사람이 적고, 현금 거래가 주로 이뤄지던 시절이다. 우리나라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그랬다. 유감이지만 쓸 곳이 적었고, 쓰는 방법도 어려워서 보급되지 않았다. 이후 불어온 신용카드 대란에 깨끗이 날아갔다.


● 그래서? : 디지털 화폐와 신용카드나 xx페이와의 차이는 뭘까? 거래를 중계하는 시스템이 있는가 없는가다. 신용카드는 우리가 물건을 사면, 신용카드사가 대신 돈을 내주고 나중에 우리에게 받는 구조다. 카우보이 비밥의 세계에는 그런 것이 없다. 그냥 디지털 지갑과 지갑을 붙이면 돈을 건넬 수 있다. 


전에 일어난 KT 아현지사 화재 사건을 생각하면 된다. 화재로 인해 네트워크가 끊기자, 신용카드도 페이도 쓸 수 없었다. 오직 현금만 쓸 수 있었다. 가장 디지털 화폐에 가까운(선불 충전 카드는 이 돈의 주인이 누구인지 묻지 않는다.) 교통카드조차도 승하차 단말기 통신이 끊기면 못쓴다. 


실제로 화재나 홍수 같은 자연재해나 전쟁 등이 일어난 장소에서, 카드나 페이를 쓸 수 없는 일은 생각보다 자주 일어난다. 다른 곳에 거래 기록이 저장되어 있기에 네트워크가 잠깐 멈췄다고 자산이 사라지진 않지만, 이런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디지털 화폐는 현금을 완전히 대체할 수 없다.


* 2022년 3월 임볼든에 기고한 글입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