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지용상 Jul 29. 2024

변화를 추구한다는 것은

“뭐라도 하지 않으면”

변화라는 것은 어떤 이에겐 달갑지 않은 것,

어떤 이에겐 간절히 바라는 것이 될 수도 있다.


"변해서 정말 다행이고, 그전보다 많이 좋아졌다." 긍정할 수도,

"변하기 전이 나은데? 그전으로 돌아갈 수는 없을까?" 부정할 수도 있는 것 같다.


이렇게 슈뢰딩거의 고양이처럼 뚜껑을 열어보지 않으면 좋은 것인지 안 좋은 것인지 알기 어려운 이 변화라는 것은 누군가에겐 정말 간절한 꿈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나온 지는 꽤 되었지만 얼마 전 드라마 D.P.를 봤다. 아쉬운 현실을 다시 짚어보게 하는 내용이었지만 그 연장선상으로 사실 사람이 모여서 이루는 사회라는 구조에서 얼마든지 일어날 수 있는 부조리는 언제나 잠재한다는 것에 안타깝다는 생각과 여운이 계속 남았다.


극중 탈영병들이 규칙상 해서는 안 되는 일을 한 것은 사실이지만, 도저히 살 수 없는 환경을 벗어나 조금이라도 자신이 살 수 있는 환경을 위해 어쩔 수 없는 선택을 할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좋다 나쁘다를 가리기 어려운 것이지만, 그들을 다시 데려오기 위해 조직된 D.P.는 간절하게 그들이 다시 시작할 수 있도록 포기하지 않고 돌아선 그들을 설득한다.


반복된 무기력 탓일까. 결코 넘어설 수 없는 벽이 있다고 굳어버린 믿음은 그들의 마음까지도 더욱 굳게 닫히게 해버렸는지도 모른다.

개인의 자유 의지가 외력에 의해, 또는 어쩔 수 없이 주어진 역할이나 의무에 의해 모두와 똑같이 억압되어야 한다는 사실은 좌절감을 안겨준다.



그리고 마지막까지 더 이상 할 수 있는 것이 없을 때, "뭐라도 하지 않으면" 결코 변할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무엇이 되었건 손에 만져진 동아줄마지막으로 그들에게 희망을 안겨준다.


결코 바람직하지 않은 마지막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사적이었던 조석봉은 그마저 좌절되는 상황에 오자 가장 안타까운 선택을 할 수밖에 없었다.

"뭐라도 하지 않으면" 변화는 없을 것이기 때문에 자력(自力)과 외력(外力)의 합으로 생겨난, 결코 돌아갈 수 없는 변화의 소용돌이에서 외로운 고뇌와 싸움을 하고 있는 사람은 지금 이 순간에도 있을 것이다.


어항에 낀 녹조를 먹어치워 다시 깨끗한 물로 정화시켜주는 다슬기와 같은 사람들, 사회, 문화가 늘어났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앞이 안 보여 어항 밖을 나가버리지 않도록, 미리미리 예방하고 그을리고 뿌연 마음을 닦아줄 수 있는 친절함도 녹조에 비례해서 늘어날 수 있는 변화와 확장이 유연하고, 건강한 활기가 언제나 모두에게 함께 했으면 좋겠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