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게으른대학원생 May 15. 2024

ep2. 유학이 답이었을까?

정해진 답이 없는 문제에 대하여

박사과정 입학을 위해 석사학위를 취득한 동 대학원의 면접을 본 날이었다.

아직도 기억나는 학과 교수님들의 말은

"유학을 가야 한다", "나이도 어린 편인데 왜 안 가느냐", "쉬운 길을 선택하려는 것 아니냐" ..

이런 말들이었다. 나라고 그 생각을 한 번도 해보지 않았을까. 

여러 생각과 고민으로 채웠던 나의 시간들이 참으로 무의미하게 느껴졌다. 

그럼에도 국내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이 곳에서 계속 공부하고자 한 이유는

유학이 정해진 답, 정해진 루트도 아니고, 난 교수가 될 생각도 없을 뿐더러,

집안사정이 그렇게 넉넉하지도 않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내가 유학을 정말 가고자 했다면, 그 곳에서 정말 공부하고자 하는 욕심이 있었다면 추진했겠지만, 그런 욕심보다는 국내에서도 충분히 내가 하고자 하는 공부와 연구를 할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이었다. 


그렇게 1년이 좀 지나고, 약 한 달 전에

학과 사무실에서 공부하던 나에게 또다시 면접에 참여하셨던 교수님이 유학을 권면하셨다. 

굳이 하지 않아도 될 말들을 늘어 놓으시면서 말이다. 

한편으로 교수님들의 권면을 이해하고 좋게 받아들이려 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나의 상황과 사정, 나의 능력과 태도들을 돌아보게 만드는 그 말들이

차곡차곡 나에게 좋지 않은 데미지를 입히는 것 같았다. 


정말, 유학이 답일까? 여전히 답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좋은 길일수는 있겠다. 박사과정 공부를 하면 할 수록

내가 하는 공부와 연구 외에 정말 아무것도 신경쓰지 않을 수 있다면 좋겠다는 생각을 종종하며

유학을 가는게 나았을까? 이런 생각들은 해보기도 했다. 

그리고 이후의 job을 생각했을 때, 해외 대학원 박사학위가 더 유리하다는 걸 어찌 모를까. 

요즘 사회과학계열은 장학금이 빵빵해서 충분히 유학을 갈 수 있다고들 하지만, 

제 아무리 생활비와 등록금이 지원된다 한들, 그 또한 쉽지 않은 이들도 있는데..


한편으로 그런 상황적 요건들을 극복하고자 하는 나의 의지가 부족해서일수도 있겠다. 

또는 아직은 때가 아니라고 여기며 나중에 그런 의지와 마음이 솟구칠 때 

유학을 가겠다고 결심할 수도 있다(나라면 충분히 가능하다) 

설령 그렇다고 한들, 

유학이 대학원생들이 답이 되지 않는 환경이면 어떨까. 

그게 답이고 좋은 길이니 그 길로 가라는 말보다, 

너에겐 여러 선택지와 길이 있다고, 어떤 길을 선호하는지는 너의 선택이고,

그 선택을 존중한다고...그런 말들이면 어땠을까. 

너무 많은 걸 바라는 듯 하다. 


대학원에 들어와서 종종 내가 잘못된 선택을 한 걸까 라는 자문을 하곤 하는데,

그 때마다 스스로에게 답하는 건,

적어도 지금은 그 선택을 평가할 수 없다는 거다. 

그 선택을 평가하기에는 너무 이르며, 그렇기에 지금은 그저 최선을 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그러니 유학의 문제는 이제 집어치우고 내 길이나 갈련다. 

작가의 이전글 ep1. 게으른 대학원생?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