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아트렉처 ARTLECTURE Jan 21. 2023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https://artlecture.com/article/2968


나는 답하기 전에 한숨을 한 번 쉬어야 하거나, 말문이 막히거나, 얼굴을 한 번 쓸어내려야 하는 질문들을 좋아한다. ‘사랑이란 뭘까?’, ‘죽고 나면 어떻게 되는걸까?’, ‘우주의 한계는 어디까지일까?’ 따위의 질문들이다. 그리고 그런 질문의 대답은 대개 ‘…모르겠어.’ 뿐이다. 답도 모르는 쓸모없는 질문을 뭐 하러 좋아하나 싶지만, 그 질문을 들은 순간의 숨이 탁 막히는 기분을 좋아한다. 순간 숨 쉬는 방법을 잊은 듯 숨이 막히며 가슴이 답답해질 때면, 지금 순간 현실의 고민은 모두 쓸모없는 것만 같은 기분이 든다. 현실을 살아갈 때면 눈앞의 일에 매몰되어 멀리 내다보지 못하는데, 질문을 듣는 순간 이 우주가 얼마나 광활한지 느껴진다. 내가 얼마나 초라한 존재인지와 같은 우울보다는, 그보다 이 광활한 밤과 별, 우주에 대한 사랑을 느낀다. 그러니 숨이 막히는 것은 어쩌면 우주에서 새롭게 숨을 쉬기 위한 것이 아닐까 싶다.



김환기,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1970년



‘우리는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날까?’ 말문이 턱 막힌다. 한숨을 한 번 쉬고, 먼 곳을 한 번 바라보고는 결국 ‘...모르겠어.’라는 말 한 마디만 내놓는다. 1970년, 이 질문을 제목으로 한 그림을 그린 김환기는 알았을까? …모르겠다. 하지만 그가 이 질문을 사랑했다는 것과 그가 하염없이 이 질문의 대답을 고민했다는 것만은 확실하다. 그리고 그 고민의 과정은 50년이 지난 지금도 생생히 볼 수 있다.


김환기는 1970년 한국일보사에서 주최한 제1회 한국미술대상전에 자신의 근작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를 출품하여 대상을 받았다. 인터뷰에서 김환기는 창작 동기를 이렇게 설명한다.


“김광섭 시인의 <저녁에>를 읽다가 대단히 아름다운 구절이 나와 그림으로 그릴까 생각이 떠올랐어요. ‘이렇게 정다운 / 너 하나 나 하나는 / 어디서 무엇이 되어 / 다시 만나랴’라는 구절을 읽고 한국을 떠나 있던 사이에 간절히 그리워진 친구들 생각을 했지요. 이 그림을 보면 알겠지만 점 하나하나를 찍어서 그린 것인데, 나는 그리운 친구들을 연상하며 점을 그렸어요. 물론 그중에는 7년 동안 세상을 떠난 친구들도 무척 많고요.”


난 김환기 작가의 작품을 볼 때 내가 이 작품을 만든다고 꼭 상상해보곤 한다. 몇 미터가 넘는 캔버스 앞에 서서 파란색과 검은색, 청록색 팔레트를 들고 점 하나, 점 하나 빼곡히 캔버스를 채워간다. 점 하나 친구들 하나, 점 하나 작은 섬 하나, 점 하나 그리움 하나… 그렇게 만들어진 점의 세계는 하나의 오묘하고 무한한 공간이 되어 나에게 진동을 전해주는 것 같다. 그리고 작품을 조금 더 멀리 서서 바라보면 작품 속 점들이 마치 우주의 별들처럼 느껴지며 울림이 들릴 것만 같은 느낌이 든다.


그가 이런 수많은 점을 찍으며 완전 추상화로 나아가기까지는 치열한 자신과의 시간이 필요했다. 그는 하루에 스무 시간씩 작업에 몰두했다. 그는 평생 시간에 쫓기며 그림을 그렸고 내 작품을 세계에 보여주고 싶다는 목표 하나에 그 자신의 삶을 불태웠다. 그 목표는 자연스레 ‘내 그림이 어디쯤 와있을까’ 라는 질문을 불렀고 그는 끊임없이 고민하고 싸웠다. 이런 목표는 비단 김환기만의 목표는 아니었다. 당시 한국의 많은 예술가들은 식민지 경험으로 인해 민족의 정체성을 고민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1950년대에 이르러 국제적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빠르게 밀려들어오는 외국의 화풍에 자신의 정체성을 고민하는 시기를 맞게 된 것이다. 어떤 화가들은 외부의 영향을 거부하며 자신의 화풍을 독자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기도 했고, 또 어떤 화가들은 자연스럽게 외국의 새로운 화풍과 융화되기도 했다. 하지만 김환기는 “뉴욕에 나가자, 나가서 싸우자”라며 치열하게 외부와 자신의 정체성의 힘겨루기를 시도했다. 외부로 나가고 싶어했지만 동시에 외부의 것을 흡수하고자 한 것이 아니라 민족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고, 자신을 알리고 싶어했다. 그 과정에서 치열한 자신의 세계와 외부의 힘겨루기는 불가피했다.


1월 8일. 내 작품은 공간의 세계란다. 서울을 생각하며 오만가지 생각하며 찍어 가는 점. 어쩌면 내 맘 속을 잘 말해 주는 것일까. 그렇다. 내 점의 세계…… 나는 새로운 창을 하나 열어 주었는데 거기 새로운 세계는 안 보이는가 보다. 오호라……

1월 27일. 나는 술을 마셔야 천재가 된다. 내가 그리는 선, 하늘에 더 갔을까. 내가 찍은 점. 저 총총히 빛나는 별만큼이나 했을까. 눈을 감으면 환히 보이는 무지개보다 더 환해지는 우리 강산……
- 김환기 에세이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새벽부터 비가 왔나보다.
죽을 날도 가까워 왔는데 무슨 생각을 해야 되나.
꿈은 무한하고 세월은 모자라고.
-1974년 6월 16일 김환기 일기




김향안의 삶을 다룬 뮤지컬 <라흐 헤스트>에서 김환기 역의 배우가 부르는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라는 넘버가 있다.



밤 별 나 소리 없는 날 눈 덮인 풍광 푸른색 밤

서울을 생각하며 찍어가는 점 그렇게 채워가는 내 점의 세계

점 하나 작은 섬 하나 점 하나 친구들 하나

점 하나 그리움 하나 점 하나 눈물 하나

점 하나 당신 나 하나

우린 서로 만날 순 없을 것 같아도 연결돼있는 우리

너 하나 나 하나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밤은 깊어지고 별은 사라져 간다

나 어둠 속으로 향하네 소리 없는 날

눈 덮인 풍광 속 새로운 창 내 맘을 알아줄 것 같은 내 선의 세계

선 하나 작은 섬 하나 선 하나 친구들 하나

선 하나 그리움 하나 선 하나 눈물 하나

선 하나 당신 나 하나

내가 그린 점 밤하늘의 별만큼 빛날까

내가 그린 선 하늘에 닿았을까

눈 감으면 선명해지는 세상

우린 서로 만날 순 없을 것 같아도 연결돼있는 우리

너 하나 나 하나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뮤지컬 <라흐 헤스트> 中



그는 숨이 멎는 순간까지도 내가 그리는 선이 하늘에 갔을지, 내가 찍은 점이 저 별만큼 빛날지 자신에게 질문했다. 그 고민을 보여주는 수많은 점들은 그 대신 대답을 만들어내고 있는 것만 같다. 그가 그린 선은 하늘이 되었다고, 그가 찍은 점들은 수많은 별이 되었다고. 눈을 감아야만 선명히 보였던 그의 세계는 이제 그가 그린 선과 찍은 점들로 비로소 눈을 떠서도 볼 수 있게 되었다. 마침내 우리는 그의 세계 속에서 그가 끊임없이 질문해 온 질문의 대답을 어렴풋이 느낄 수 있다.


자기소멸과 자기소생을 반복하는 별은 이 질문의 대답 그 자체인 것만 같다. 찰나의 시간을 살아가는 우리가 만나 사랑하고 이별하고 또 다시 사랑을 반복한다.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날지는 모르지만, 우리가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날 것이라는 사실 만은 명확한 듯 하다. 별이 그러하듯이.


그러니 우리는 반드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날 것이고, 서로를 알아볼 것이다. 우리는 사랑을 했구나, 다시 사랑하는구나.


나도 수많은 선을 그리고 수많은 점들을 찍고 있다. 언젠가 내가 떠나고 난 뒤 ‘무엇’이 되어 돌아와도 이것이 내 세계였구나, 내 사랑이었구나 알아볼 수 있도록.




글 아트렉처 에디터_최선

Artlecture.com

Create Art Project/Study & Discover New!

https://artlecture.com


매거진의 이전글 당신은 가짜입니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