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사창우 Dec 18. 2020

사색86. 하루

5월 17일(토)

어제 사은회에서 마시진 않았는데 와인과 맥주를 섞어 마셔서 그런가 머리가 아프다. 과음 다음날이면 가벼운 감기 몸살 증세 같은 숙취가 있다. 하루 밤 즐겁고 다음날 하루를 숙취로 버린다. 낭비가 크다. 이래서 과음을 되도록 피하려 한다. 사실 맥주 한두 잔이 제일 좋다. ‘딱 한잔만 합시다’라는 건 음주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을 ‘체감’한 소린가 싶다. 그런데 딱 한잔만 하자 해놓고 딱 한잔만 하는 건 사회생활 모르는 건가 싶겠지.

     

실직 후 제일 많이 버리고, 버린 게 ‘하루’인데 숙취로 그깟 하루 또 버린 게 큰 낭비일까. 신앙 차원에서는 인류의 죄로 신의 아들이 대신 죗값을 치러 얻은 게 그게 오늘 하루이다. 그렇게 값지게 얻은 하루인데 막상 하루하루 반복되니 지겹게 느껴진다. 신의 아들을 희생하면서 까지 누리는 귀한 하루를 멍청하게 날려버리는 걸, 신은 어떻게 보실까. 신의 아들로 인한 새 삶에 감사하다고 고백하는 신앙인이 이렇게 하루, 이틀, 사흘을 날려버리는 건 비신앙적 행태인 듯하다. 신앙인에게 ‘술 취하지 말라’는 계명은 술 마시고 다음날 숙취로 하루를 버리지 말라는 데 있을 법한데.

   

간단히 계산해도 하루 일당 10만 원이라면 지금까지 실직 85일째, 850만 원을 벌지 못했고, 수입 없이 지출만 했으니 이 얼마나 손해를 보고 있나. 이렇게 보내는 하루들은 쌓여가는데 은행 잔고는 점점 사라지고 있다.

       

오후 5시, 

숙취는 다 풀렸고, 

하루를 이렇게 또 날린다.

매거진의 이전글 사색85. 목적이 있는 행사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