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동주씨 Jun 01. 2024

아들의 장애를 전시하는 엄마

‘장애’란 한 사회가 가지는 가치 판단이다.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그 사회가 갖는 인간에 대한 기본적인 태도에 바탕을 둔다.


 장애인의 인간다운 삶의 진작이란 두 가지 명제를 함축한다......장애에 의한 고통은 인간 사회의 관심을 요구한다는 것이다.

-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의 < ‘장애인’ 기획도서를 펴내며 >







 유튜브나 브런치와 같이 오픈된 공간에 재준이에 관한 이야기를 남기면


“왜 아이의 의견을 물어보지도 않고, 아이의 장애를 멋대로 전시하느냐.”


와 같은 류의 댓글을 받곤 한다. 나도 이에 대해 고민을 한 적이 있었다. ’내 장애도 아니고 아이의 장애에 대한 이야기를, 그것도 아이의 의견을 묻지도 않고 올려도 되는 것인가?'






 그런데 여러 방식으로 생각해도, 어떠한 과정의 생각을 거쳐도, 나의 결론은 늘 같다. 장애에 대한 논의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관심’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정말 슬픈 이야기라고 생각하는데, ‘무플보다 악플’이 낫다고, 어떤 방식으로든 관심을 받아서 이야깃거리를 나누는 편이 장애인 인권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 내 결론이다.




 내가 살았던 세상과 재준이가 살아가는 세상은 많이 다르다. 나는 평생을 비장애인으로 살아왔기 때문에 너무나 잘 알고 있다. 내가 당연하게 누릴 수 있는 것들을 재준이는 누릴 수가 없다.


'차별'이라는 건 겪어보지 않은 사람들은 알기 힘든 것이다. 보려고 노력하지 않으면 절대 볼 수 없는 것이다.


 버스를 타면서 ‘버스에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보이지 않는 것이 이상하다’고 생각하는 게 쉽지 않은 것처럼, 도서관을 이용하며 ‘도서관에 발달장애 아이들이 보이지 않는 게 이상하다’고 생각하는 게 쉽지 않은 것처럼 말이다.





 나도 인간인지라 어떤 때는 쓸데없이 자극적인 요소로 사람들의 마음을 불편하게 하는 이야기를 쓸 때도 있고, 살다 보니 생각이 완전히 바뀌어 이전에 했던 말들과는 다른 행동을 할 때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나와 재준이와 삶에 관한 이야기를 계속 써가기로 마음을 먹었다.



 마지막으로 이화여대 출판부가 ‘장애인’ 기획도서를 펴내며 쓴 글을 인용해 본다.


장애인들이 그토록 무거운 짐을 그렇게 오랫동안, 그리고 무엇보다도 부당하게 짊어졌어야 했다는 사실은 우리 모두를 부끄럽게 한다. 그러한 잘못의 시정과 장애인의 인간다운 삶의 진작은 우리 모두의 몫이라고 생각한다.
작가의 이전글 감각을 통제하는 방법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