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영시코기 Sep 01. 2022

[SIWFF] 포효 혹은 절규

<암사자들이 포효하는 언덕> 2021, 루아나 바즈라미




제24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SIWFF] 새로운 물결
- <암사자들이 포효하는 언덕>



<암사자들이 포효하는 언덕>은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과 <학교는 끝났다>, <레벤느망> 등의 영화에 출연하며 두각을 나타내는 중인 배우 루아나 바즈라미의 감독 데뷔작이다. 바즈라미 감독은 자신의 출신지인 코소보를 배경으로 한 이 영화로 이번 제75회 영화제에서 감독주간 최연소 감독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코소보의 작은 마을에 사는 세 친구 체, 리, 젬은 자신들의 꿈과 자유가 억압받는 고향을 떠나고 싶어 한다. 언덕 위에서 시작부터 장난치듯 힘껏 내지르던 이들의 포효는 점점 절규로 들리는 듯하다. 이 영화는 코소보라는 특수한 배경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영화이기도 한데, 물론 이것이 영화를 봄에 있어 필수조건은 아니겠지만 이들의 일탈을 지켜보면서 마음이 동하는 데 어느 정도의 영향을 끼칠 것이다. 코소보는 전 유고슬라비아의 일부였고, 다수를 구성하던 알바니아계인들이 상대적 소수의 세르비아계인들을 대상으로 분리독립을 주장하면서 코소보 내전이 발발했다. 이에 세르비아군이 인종 청소로 대응하며 알바니아계인들을 학살하다시피 했고, 국제사회의 개입이 있고서야 코소보는 독립할 수 있었다. 세르비아는 코소보의 독립을 지금도 인정하지 않고 하나의 자치주로 인식하고 있고, 코소보는 그만큼 아픔을 가진, 과거의 폐허를 여전히 간직하고 있는 나라다.


멀리 위치한 한국의 입장에서는 그리 가까운 관계의 나라도, 잘 알 만한 나라도 아닐뿐더러 이 영화의 핵심이 여기에만 있지는 않지만 위의 사실을 언급하는 이유는 코소보라는 배경이 가지는 특수성 때문에 그렇다. 세 주인공 체, 리, 젬은 이런 나라 코소보의 작은 마을에 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까닭에 감독 자신이 등장해 연기하는 인물 '레나'는 인상적으로 다가온다. 자신의 코소보에서 파리로의 실제 이민 경험과 흡사한 설정의 인물인 만큼 그 입을 빌려 직접적으로 자신이 느끼는 코소보 출신 이민자의 위치를 말하는 것처럼 느껴진다.



자신들과 달리 파리로 가 살고 있는 레나가 부럽다는 세 친구의 말에 레나는 파리보다 코소보가 좋다며 오히려 너희가 더 자유롭다 말한다. 이 말은 그의 위치를 동경하는 세 명에게는 와닿지 않지만, 영화를 보는 관객에게 파리에서 외지인으로 살아가는 이민자의 입장에 대해 환기하는 것처럼 느껴졌다. 코소보에 사는 이들이 동경하던 파리로 간 이민자 또한 더 나아 보일지는 몰라도 겪게 되는 차별과 억압이 있고 이들의 처지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을. 스쳐 지나가듯 등장하는 장면이지만 어쩌면 이 영화에서 가장 의미심장하고 자전적 경험이 녹아들어 간 가장 특별한 장면이다.


가게를 터는 등 점점 강도 높은 일탈을 즐기며 마음껏 포효하던 세 친구는 결국 자신들의 고향 마을로 돌아온다. 유일한 '실수'라 칭해지긴 하지만 이들이 결국에는 다시 돌아온다는 전개는 인상적인데, 이 점은 두 가지로 읽혔다. 하나는 결국 고향을, 정체성을 잊을 수는 없다는 의미였고, 다른 하나는 '실패'의 의미였다. 마지막의 현실인지 가상인지 모를 핏빛 엔딩으로 미루어봤을 때 이들의 복귀는 후자의 의미로써 다가왔다. 그래서 이들의 복귀는 이들이 유일하게 가진 곧 터져버릴 심장 즉, 젊음을 가지고 할 수 있는 가장 최후의 유일한 행동처럼 느껴졌다. 마치 시작부에서 힘껏 내지르던 언덕 위 포효 혹은 절규처럼.



데뷔작에서만 느낄 수 있을 법한 날 것 가득한 이미지들이 좋게 다가오면서도 영화 자체는 예상보다 평이해 아쉽게 느껴지지만, 이 영화를 봄으로써 감독 루아나 바즈라미의 차기작이 궁금해지는 건 분명한 사실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SIWFF] 다르고 같은 두 여성(女性)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