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하연 May 22. 2021

우리나라 직업의 수와 일자리 전망은? by. 하연코치





1969년 대한민국 최초의 <한국직업사전> 에 등록된 직업의 수는 고작 3,260개에 불과했습니다. 그러나 20년 후인 1986년이 되면서 직업의 수는 8,900개로 늘어났죠. 2019년 말 기준으로는 12,823개의 직업이 등록되어 있는데, 유사직업의 수까지 합하면 그 수는 16,891개로 늘어난다고 하네요:)




우리나라 직업의 수는
12,823개



*한국직업전망이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17개 분야 약 200개 직업에 대한 상세정보를 제공하며, 하는 일, 근무환경, 교육/훈련/자격, 적성 및 흥미, 일자리 전망 등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2019 한국직업전망에서 밝힌 일자리 전망에 따르면

앞으로 증가, 다소증가, 유지, 다소감소, 감소할 일자리도 확인해 볼 수 있는데요.


1. 증가

1) 의료/복지 : 간병인, 간호사, 간호조무사, 사회복지사 등

2) 전문직 : 변리사, 변호사, 의사, 수의사, 치과의사,물리치료, 작업치료사 등

3) 연구/개발 : 생명과학연구원, 컴퓨터보안전문가 등


2. 다소 증가

1) IT/개발 : 웹기획, 웹디자이너, 소프트웨어개발 등

2) 전문직 : 노무사, 세무사, 회계사, 안경사, 영양사, 임상심리사 등

3) 심리/인문 : 상담전문, 청소년지도사, 직업상담 등


3. 다소 감소

1) 결혼/웨딩 : 플래너, 귀금속, 보석세공원

2) 건설업 : 건축목공, 콘크리트공, 철근공, 측량가 등

3) 사무직: 경영지원, 단순노무종사자, 무역사무원, 운송사무원 등


4. 감소

1) 인쇄 및 사진조작




위 보고서에 따른 내용 이외에도 커리어코치로서 개인적인 의견으로 비추어 봤을 때 4차산업혁명과 관련된 IT/개발 직군과 기계가 범접할 수 없는 인간/심리 관련 직군은 앞으로도 증가할 것으로 보여지며, 초령화사회및 100세 시대로 접어들면서 실버세대들이 갖게되는 직업군(상담사, 청소년지도, 코치 등)과 실버세대를 케어하는 직업군의 증가(요양보호사, 사회복지사 등)도 예상할 수 있겠습니다.


또한 창업을 적극 지원하는 미국, 중국의 트랜드에 따라 우리나라 청년 창업을 지원하는 관련 직종의 역할도 대두 될 것이며 (창업매니저, 엑셀러레이터, 경영지도사, IR컨설팅, IR스피치 등) 제조/유통업의 변화에 따라 인플루언서들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모바일로 만들어지는 새로운 직종들이 많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인플루언서, 크리에이터, 모바일 쇼호스트, UX/UI, 앱개발, 웹디자이너, 마케터 등)


*향후 10년 증가 예상되는 직업군

IT/개발 직군

실버세대 관련 직업군/실버세대 케어 직업군

청년 창업 관련 직업군

제조/유통 관련 마케팅 직업군


그 외에도 많은 직업군이 사라지는 만큼 더 많은 직업군이 생겨나겠죠. 앞으로의 시대는 창직의 시대니까요^^ 급격하게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꾸준히 나의 커리어를 개발하고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현재 나의 직업이 무엇이냐 보다는 내가 어떤 문제해결력이 있느냐? 가 중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여러분이 지금 근무하시는 그 자리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문제들을 먼저 해결해보시는 역량과 스토리들을 쌓아보시길 바라면서^^ 저는 언제나 여러분의 커리어의 시작과 성장을 응원하겠습니다.!


by. 커리어코치 박하연 Dream





매거진의 이전글 [커리어] 30년 커리어 플랜(경력설계) 만드는 방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