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사선으로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선토끼 Aug 24. 2021

우는 일

당신, 울어도 돼요



우는 일이 잦았다. 명치 쪽부터 치솟는 그것을 꾸역꾸역 삼켜내느라 목구멍의 아릿한 통증을 견뎌도 보고 부러 입가에 호선을 그리기도 했지만, 울음은 나에게서 떼놓을 수 없는 거였다.   



그런 사람이 있다. 화가 나면 울음부터 튀어나와 안에 놓인 말을 미처 꺼내지 못하는 사람. 다음 장면으로 넘어가고 나서야 울음에 감춰져 못 전한 말을 홀로 곱씹는 사람. 그런 사람이 나라서, 난 그 우스운 행태에 마냥 웃지 못한다.      



이토록 난 울음과 가깝지만, 나의 눈물을 타인에게 내보이기는 싫었다. 사위가 어두운 영화관 안에서도 홀로 울음과의 전쟁을 치르곤 했다. 툭툭 불거져 나오는 감정의 덩어리를 달래도 보고 내치기도 해보며 무진 애를 썼다. 옆 사람은 코를 훌쩍여도 난 울음의 ‘울’ 자도 내보이지 않았다. 그렇게 울음을 억지로 참은 날엔 온종일 체기가 일은 듯 어딘가가 꽉 막혀 갑갑했다.     



반면에 고립된 방 한 칸에 있을 땐 감성팔이로 얼룩진 영상 하나만 봐도 숨죽여 한참을 울고는 했다. 책을 읽다가도 다음 문장으로 향하지 못하고 한 문장을 오래도록 바라보며 울었다. 그렇게 울고 나면 두 눈이 퉁퉁 불어 터져도 눈썹 부근이 불그스레하게 번져도 먹먹한 마음만은 호릿하게 비워졌다.     



외할아버지의 생에 암이 침투했을 당시. 그 사실을 전해 듣던 날. 아무도 없는 적막한 집안에서 바닥을 구르며 꺼이꺼이 울었다. 감정을 애써 삼키지 않고 실컷 소리 내어 울어보기란 간만이었다. 찬기가 있는 바닥에 따뜻한 물 자국이 생겨났다. 어깨엔 여전히 무거운 책가방이 매달려 있었지만, 무게가 느껴지지 않았다. 후에 오빠에게 말했을 때 오빠는 내가 엉뚱하단 듯이 쳐다보았다.     



그도 그럴 것이 외할아버지는‘좋은 사람’이라 부르기엔 먼 사람이었다. 생전 외할아버지로부터 애정을 받아본 기억도 없을뿐더러 본인의 자식들에게도 그리 끈끈하지 않으셨다. 고등학교에 들어가고서야 알았던 사실은 되려 과거에 가족들을 많이 괴롭혔다는 것. 그 과거를 나를 빼놓은 모든 이가 알고 있었다는 것. 외할아버지와 변변찮은 대화를 나눈 적 없던 나와는 다르게, 그래서 딱히 미움의 감정까지는 실재하지 않았던 나와는 달리 모두 하나씩 꿍한 기억이 있었다는 것도.      



그러니 문득 깨닫는 것은 그때 그 큰 울음은 나를 위한 울음이었을지도. 여러 번 배출되지 못한 울음을 한꺼번에 토해냈던 걸지도. 그날, 크게 울고 난 직후의 그 정체 모를 훌훌함의 이유를 이제야 알 것만 같다.     



그날을 떠올리며 생각한다. 사람은 이따금 우는 일이 필요하다는 것을. 영화 <인사이드 아웃>에서 슬픔이가 꼭 필요한 존재인 이유는 슬픔을 통해 슬픔을 극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언제부턴가 “울지 마”가 아닌 “울어도 돼”가 활보하기 시작한 것도. 울면 안 돼 울면 안 돼 산타할아버지는 우는 아이에게 선물을 안 주신대. 에 쓴웃음을 짓게 된 것도. 우리는 조금씩 슬픈 감정을 내비치는 것에 대하여 성장하고 있다.     



추한 울음은 없다. 추한 사람이 있을 뿐. 우는 일은 추하지 않다. 감정에 대한 솔직함의 표현 중 하나이다. 누군가는 우는 일을 다그치기보단 안아주어야 한다. 당신 울어도 된다고. 마음이 아물기 위해선 안에 있는 것을 끄집어내야 한다고. 그러니까 나에게 기대어 실컷 토해내라고.      




매거진의 이전글 당신께 건네는 편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