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코와붕가 May 26. 2024

근평 결과가 나왔다.

예상을 했지만...

이제는 근평 결과를 쉽게 알려준다.


전에는 근평 결과를 알기 위해서 따로 인사처에 신청을 해야 했다. 이 과정을 거치는 번거로움 때문에 많은 이들이 신경 쓰지 않았다. 이번부터는 본인의 근평 점수를 클릭 몇 번 만으로 알 수 있게 바뀌었다. 평소 근평에 무뎠던 직원들도 알게 됐다.


친한 동기가 같이 있는 톡방이 있다. 주간 근무를 하고 있는 동기 둘이 본인 근평 점수를 말해다.


동기 1: "몇 점이 만점이냐?"

동기 2: "70점, 난 '우' 나왔다."

동기 1: "나도 '우'네. 다행이다."

동기 2: "꼴찌 '우'지만, 좋다."

나(코와붕가): "난 봐도 '양'이다."

동기 3: "나도 '양'이야~"


30%는 수, 40%는 우, 30%는 양


같은 직급에 일정 비율로 수, 우, 양을 나눠 받아야 한다.

불공평한 게 직급 수에 따라 비율에 따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또한 같은 직급에 문제 직원이 있으면 가만히 앉아서 높은 근평을 받기도 한다.


저녁 출근


주간 근무조를 퇴근시키고, 사무실 컴퓨터 앞에 앉는다.

이어서 근평 결과를 확인한다.

.

.

.

[ 양 ]


기분은 덤덤했다.  내가 받을 거라 충분히 예상했다. 부역장 4명에 차장 1명이 버티고 있다. 내가 비집고 들어갈 곳이 없다. 잠시 머리가 멍해졌다. 앞으로도 이곳에서 양은 내 독차지가 될 뻔한 게 사실이다. 갑자기 '양'부자가 된 느낌이다. 믿었던 동기들이 '우'를 맞아서 상대적 박탈감도 컸다.


앞으로의 계획과 다짐.


양을 맞고 처음 들었던 생각은 '양'만큼 일하자였다. 하지만 이건 너무 초라해 보였다. 작아지긴 싫었다.

그렇다고 전과 같이 아무 일 없다는 듯이 직장 생활하는 것도 아니라고 생각됐다. 이틀 동안 평소보다 입을 닫고 고 생각의 시간을 가졌다. 그렇게 내린 결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더 많이 읽자.

책을 더 많이 집중적으로 읽어야겠다고 다짐했다. 그동안 유튜브와 스포츠 기사에 정신을 뺏겨 살았다. 나를 정신적으로 많이 성장시켜야겠다. 직장생활은 내 인생에 있어서 한 과정이다. 지금 하고 있는 경험을 버리지 말고 보관해서 다른 누군가를 위로해 주자고 생각했다.


둘째, 더 많이 운동하자.

첫째가 정신적 측면에서 성장이라면, 이번에는 신체적 성장을 말한다. 이럴수록 땀을 흘려야 한다. 운동을 하는 중에는 여러 나쁜 생각들이 잠시 떠나간다. 그리고 그 공간에 '할 수 있어'라는 묘한 자신감도 생긴다.

지금 근력, 체력을 길러놓으면 언젠가 값지게 쓰일 날이 온다. 자포자기할 수 없다. 움직이자.


셋째, 가족에게 잘하자.

아무리 돌아봐도 내 편은 가족이다. 가족에게 위로받기보다는 내가 먼저 다가서는 남편, 아빠가 되고 싶다.

회사는 잠시 거쳐가는 곳이다. 회사에서 받은 기분을 가족에게 풀지 말자. 가정에서 더 많이 웃자. 그리고 입에서 나오는 말은 생각하고 말하자. 


넷째, 경제적 자유에 더 집중한다.

누구에게도 평가받기 싫다. 다시금 깨달았다. 당당하게 고개 들고 그래 '양'줘라. "제가 받겠습니다."라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이 돼야겠다고 생각했다. 앞으로 14년을 차곡차곡 투자해서 멋지게 회사문을 박차고 나가리라.


끝으로

시간이 약이다. 지금은 이렇게 글을 쓰거나 책을 읽거나 운동을 하면서 시간을 보내야 한다. 다 잊힌다. 

직업인의 비애. 잘 받은 사람은 축하해 주고 내 길을 가자. 여기서 피지 못한 꽃이라면 다른 곳에서 활짝 펼치리라 생각한다. 




작가의 이전글 '수'요일? 아니 '술'요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