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최유정 Mar 13. 2022

물음표가 있는 글

물음표를 바라보다 사람이 생각났다.

오랜만에 글을 쓰려고 노트북을 열었다.

노트북을 열자마자 키보드 키 하나가 떨어져 나를 반겼다. 사실 그 키가 떨어진 지는 꽤 오래되었다. 하지만 제자리에 힘을 다해 꾹 누르면 다시 제 역할을 해내기에 굳이 고치거나 심각하게 받아들이진 않았다. 그래서 오늘도 어김없이 떨어진 키를 제자리에 눌러 넣었다. 하지만 이내, 그 키는 또 떨어졌고 나중에는 아예 제자리에 가만히 있으려조차 하지 않았다. 아무래도, 겨우 버티던 접착력도 끝이 난 것 같았다. 그래서 그 키를 아예 떼어서 멀리 두었다.

그 떨어진 키는 Shift 키 옆에 "/""?"를 담당하는 키였는데, 생각보다 누를 일이 많지 않아그리 불편하지 않았다. 그러다 문득, 왜 내가 이 키를 누르지 않는지에 대하여 생각을 하게 되었고 어느 순간부터 내 글엔 물음이 사라졌다는 결론이 나왔다. 고작 20년 조금 넘는 삶을 살았을 뿐인데, 더는 세상과 사람에게 지친 사람처럼 내 글에는 물음이 사라졌고 대화가 사라졌다는 것을 말이다.

내 글 속에 사람들이 숨 쉬던, 왁자지껄 따뜻했던 순간이 언제인지 마음이 시큰했다. 펜데믹이라는 시대적인 상황이 더 격하게 만든 것도 있다고 하지만, 글에는 사람이 살아있을 수 있는데 이제 와 보니 사람이 살 수 없는 척박한 땅이 된 것 같았다.

글은, 쓰는 사람의 마음을 정확히 담고 있는 작품이다. 내가 아프고 힘이 들 때면, 글 속에 아픔이 절절히 묻어 나왔고 기쁘고 즐거울 때면 단어의 틈마다 따뜻한 숨이 뱉어 나왔다. 그간 써놓고 채 다듬지 못한 글들에는 아픔도, 기쁨도 그 어떤 것도 묻어져 있지 않았다.

이 글을 마치고 다시 새롭게 쓰게 될 이야기에는 아파도 괜찮고, 즐거우면 더 좋으니 사람이 담겼으면 좋겠다. 궁금한 것도 많고 듣고 싶은 것도 많아서 물음표가 넘쳐나는 그런 사람 말이다. 하루라도 빨리 노트북을 고쳐야겠다. 그리고, 그곳에서부터 다시 시작해야겠다. 척박한 땅으로도 향하는 사람이 있으니까.

작가의 이전글 먼길로 돌아가자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