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maeokc Mar 09. 2022

"잡았다, 네가 술래야' 2

경계성 성격장애 이해하기_경계인과 비경계인

경계성 성격장애(Borderline Personalitu Disorder: BPD)가 있는 사람들은 극단적인 감정 변화와 예측 불가능한 행동으로 주변 사람들을 당황하게 한다.  이 책은 경계성 성격장애가 있는 사람의 행동이나 의사소통 방식이 어떤 식으로 주변 사람들에게 좌절감과 당혹감을 주는지 서술하며, 주변 사람들이 그런 상황에 어떻게 대처하는 게 좋은지 구체적인 전략과 사례를 담고 있다.


먼저 편의상 용어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부르기로 한다.

경계인(borderline, BP): 정식으로 경계성 성격장애 진단을 받은 사람이나, '정신장애 진단 및 통계 편람'에 수록된 기준에 부합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범위를 벗어난 편향되고 지속적인 내적 경험과 행동 양상 때문에 현실 적응에 어려움이 빚어질 때 성격장애라 한다.

비경계인(non-borderline, non-BP): 경계성 성격장애가 없는 사람이 아니라, 경계성 성격장애가 있는 사람의 가족, 배우자, 친구 등 그의 행동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개인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경계성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이라도 경계성 성격장애자에 대처해야 하는 맥락에서 비경계인으로 간주한다.


책에서는 장애와 장애를 지닌 사람이 별개이며, 경계성 성격장애가 나타난다고 그게 그 사람 자체를 말해주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한다. 또한 관계에서 문생가 생긴다면 그 책임은 경계인과 비경계인에게 각각 50%가 있는 것이며, 모든 책임을 경계인에게 넘겨서는 안된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비경계인은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 것일까? 그것이 이 책의 핵심이다. '경계성 성격장애로부터 내 삶 지키기'


먼저, 다음 질문에 스스로가 해당되거나 주변의 누군가가 해당되는 지 살펴보자.

1. 경계인을 만나본 적 있나요?

Q) 사고패턴

_다른 사람에 대한 평가가 '최고'와 '최악', '내 편'과 '남의 편', '완전히 옳은 사람'이나 '전적으로 틀린 사람' 등 극단적으로 나뉜다.

_나쁜 사람에 대해서라면 좋은 점은 전혀 떠올릴 수 없다.

_누구와 함께 있는지에 따라서 자신의 의견이 바뀐다.

_실수를 전혀 인정하지 않거나, 반대로 자신이 하는 모든 일이 실수라고 느낀다.

_순식간에 '최악의 상황'이 '이상적인 상황'으로, 스스로가 '완벽하게' 보다가 '가치 없게' 느끼고, 누군가를 '이상화'했다가 '폄하'한다.

_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이 다른 사람에게 있다고 믿거나, 반대로 타인이 행동에 대해 과도한 책임감을 느낀다.

_어떤 상황을 다른 사람들과 아주 다르게 기억하거나 전혀 기억하지 못한다.


Q) 감정패턴

_아주 작은 자극에도 자신이 버림받았다고 느낀다.

_불안하거나 쉽게 짜증을 내며,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_자신의 요구를 채우기 전에는 다름 사람(아기 포함)에게 귀 기울이기 어렵다.

_적절한 방식으로 화를 내거나 표현하지 못한다.

_극도로 우울하거나 언짢은 감정을 몇분 혹은 몇시간 간격으로 빠르게 반복한다.

_타인을 못미더워하거나 의심한다.

_공허하거나 진정한 자기가 없다고 느낀다.

_항상 충분한 사랑과 애정, 관심을 받지 못했다고 느끼며, 자신이 관심의 초점이 되지 않으면 무시당했다고 느낀다.

_종종 멍해지고 현실감이 없으며, 현실 밖에 존재하는 것처럼 느낀다.


Q) 행동패턴

_다른 사람과의 지켜야할 경계를 침범해 버린다.

_별 것 아닌 일에 화를 내거나 반대로 화를 내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아주 사소한 일로 다른 사람을 삶에서 쉽게 내친다.

_과소비, 위험한 성관계, 싸움, 도박, 알코올 남용, 무모한 운전, 도둑질, 무절제한 식생활 등 자신에게 해가 될 수 있는 행동을 충동적으로 해버린다.

_피부에 상처를 내거나 태우는 등의 자해행위, 자살하겠다는 협박이나 자살시도를 한다.

_다른 사람의 뺨을 때리거나 발로 차거나 손톱으로 할퀴는 등의 신체적 학대.

_일관성이 없거나 예측할 수 없는 행동.절도 있게 행동하다가 갑자기 통제력을 극도로 잃어버린다. 잔인한 비판이나 비난하는 언어폭력을 쓰다가 단 몇 초 만에 매력적인 가면을 쓴다.

_문제가 없을 때 괜히 상대에게 싸움을 걸거나, 관계를 끊었다 재결합을 위해 노력하는 등 다른 사람과 가까워지고 싶다가도 거리를 두려 하는 행동의 반복.

_원하는 것을 관철하기 위해 극단적인 방식을 쓰며 교묘히 남을 조종한다.

_무시당했다고 느끼면 관심을 끌기 위해 적절치 못한 발언이나 행동을 한다.

_다른 사람이 하지 않은 일을 했다고 하고, 느끼지 않은 것을 느꼈다고 주장한다.


이 책의 번역자는 80년대 후반 드라마 '사랑의 굴레' 고두심은 대단한 히스테리를 지닌 변덕스럽고 통제 불능한 아내, 영화 '베티 블루'의 산발한 머리에 짙은 화장을 하고, 자신의 눈을 포크로 찌르는 파괴적이고 충동적인 주인공, '처음 만나는 자유'에서 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방문자 등과 무절제한 성생활을 하며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려 몸부림 치는 위노라 라이더, '얼굴 없는 미녀'에서 자신이 버림받을 것 같으면 먼저 남자를 버리고, 남편이 잘 대해주지 않는다고 자해하는 김혜수, 드라마 '불새'에서 어제는 죽도록 사랑한다고 하다가 오늘은 저주를 퍼붓고, 그런 행동에 죄책감을 느끼는 주인공, 소설 '숲속의 방'에서 충동적으로 휴학하고 술집에 나가고, 거리에 드러 눕기도 하다 결국 자살하는 주인공 등을 경계성 성격장애적인 특징을 가진 주인공으로 소개한다.


경계인은 왜 그렇게 행동할까? 다음에서 그 이유를 알아보자.


작가의 이전글 '잡았다, 네가 술래야' 1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