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지원 Jul 17. 2023

우주는 실험해볼 수 없다 단지 관측만 할 뿐

미술관 옆 동물원

<미술관 옆 동물원> 1998.12.19 개봉. 이정향 감독


 나의 우주에 반짝이는 별 하나가 있다. 깜빡, 깜빡, 오늘도 마치 날 발견한 것 같이 깜빡이던 별은 결국 나를 알아채지 못하고 밝아오는 햇살 속에 모습을 감춘다. 속상한 건 내가 가장 못난 밤에 별이 유독 선명하게 빛난다는 것이다. 하염없이 빛나는 별을 물끄러미 바라보다 별이 이런 나를 모르는 것에 안도한다. 바보같이. 


  <미술관 옆 동물원>의 주인공 춘희는 가끔 마주쳐 인사 정도만 겨우 나눈 인공을 짝사랑하고 있다. 이 날도 인공을 만난다는 생각에 한껏 들떠서 꾸미고 나간 후 돌아와 철수에게 자신의 솔직한 마음을 털어놓는다. 


 “그 사람, 나를 보지도 못했어. 우린 너무 멀리 있었어. 그렇다고 내가 먼저 다가가지도 못했어. 네 말이 맞을까 봐.. 내가 다가갔는데 그 사람이 날 몰라볼까 봐 그게 겁났어..”


그 사람이 날 몰라볼까 봐 겁나는 건 사랑일까? 동경일까? 난 항상 그랬다. 내 손을 잡을 수 없을 만큼만 손을 뻗고 닿지 않았다고 아파했다가 한편으로는 그가 내 손을 잡지 않아서 다행이라고 생각했다. 내가 갑자기 마음을 드러내면 상대방이 당혹스러워하니까 배려한다는 그럴싸한 변명을 하며 도망가는 것에 익숙했다. 


 “넌 남을 배려해서가 아냐, 단지 자신이 상처 받을까 봐 그게 두려워서 일부러 안타까운 짝사랑을 하는 척 즐기고 있어. 액자 속의 그림을 보듯, 창밖의 풍경을 보듯. 넌 비겁해. 평생 사랑을 못해 볼 거야. "


철수가 춘희를 향해 던지는 대사가 꼭 나에게 하는 말 같았다. 넌 여태 너무 비겁한 사랑을 했다고, 너만 생각하고 상처 받을까 두려워 감정을 액자 속에 가두어 버린다고 말이다. 용기를 내볼까 고민했던 수많은 밤이 있었다. 그 밤 속에서 깨달은 건 별은 관측하며 사랑하는 존재이지 온기를 나누며 사랑할 수 없는 존재라는 것이었다.


 “춘희야. 예쁜 양말. 새 구두, 새 옷, 이런 것들보다 더 돋보이는 건 바로 너야. 넌 지금도 부시시한 머리에 맨발로 이걸 보고 있겠지? 세수는 했니? 낯선 남자에게 쉽게 방을 빼앗기고, 물은 병째로 마시며, 밥상 앞에서 괴상한 소리를 지르는 너. 이 춘희를 알아주는 사람이 꼭 있을 거야. 힘내.”


철수가 춘희에게 남긴 비디오 속 편지다. 영화 속 춘희에겐 철수라는 스며드는 사랑의 존재가 나타났지만 나에겐 아직 그런 사랑이 나타나지 않았다. 


 난 세상에서 사랑이 제일 어렵다. 나는 나를 무너지게 할 모든 것들에서 날 지켜야 했고, 사랑도 그중 하나였다. 흔들리고 약해지는 내가 싫어서 치던 방패막들이 이제는 나를 사랑할 수 없는 사람으로 만들어 버렸다. 그래도 후회는 없다. 그래서 지금의 내가 있을 수 있으니까. 그래도 별을 만드는 비겁한 행동은 그만 해야겠다. 비겁한 건 멋이 없다. <미술관 옆 동물원>은 1998년, 내가 아홉 살 때 개봉한 오래된 영화지만 마치 친구가 옆에서 나에게 이야기해주는 듯한 감성과 언어를 가진 영화였다. 춘희의 모습에서 내가 겹쳐 보여서 아프고 슬펐지만 따뜻하고 포근했다. 역시 좋은 영화는 시간이 지나도 좋은 영화다. 

작가의 이전글 기억보다 선명한 기록, 프롤로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