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시바 Jun 02. 2019

기생충 - 우리는 누군가에 기생하며 살아간다

※주의! 봉준호 감독님을 존경하는 마음으로 스포를 했습니다.


보고 왔습니다. 화제의 그 영화! 봉준호 감독님의 신작이자 황금 종려상의 주인공! <기생충>을 무대인사와 함께 보고 왔습니다. 저는 영화를 보면서 봉준호 판 <올드보이>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색깔은 더 강해졌고 특이점은 늘었고 함축하는 장치들 역시 더욱더 많아졌습니다. 그래서 그럴까요? 영화를 보면서 이리저리 생각해보다 영화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써보려고 합니다. 인물 개개인보다 영화의 큰 맥락을 생각하면서 글을 썼습니다. 





[가족은 항상 도덕적이야 하는가?]


<기생충>이라는 제목에서 의미하듯 송강호, 최우식이 속해있는 이 가족은 조금 이상합니다. 그동안 우리가 송강호에게 가지고 있던 도덕적인 아버지의 모습은 없고 어머니 역시 쌍욕을 하며 서로 간 도덕적인 모습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 이렇게 영화는 초반부터 일반적인 상식을 깨버리죠.


장남인 기우는 이미 부잣집 고오오액 과외에 들어가면서부터 이미 그 집을 먹겠다는 계획을 가집니다. 그리고 그것을 알게 된 가족들은 그를 비난하기 보다 옹호합니다. 특히 아버지는 "아들아, 너는 다 계획이 있구나."라는 말로 우리가 가지고 있던 상식을 한 번 더 깨버립니다. <마더>에서 김혜자 선생님이 온화한 어머니의 이미지를 버렸듯이 <기생충>에서도 기존 이미지를 버렸습니다.


그래서 대답은 이렇습니다. 영화 속 가족도 가끔은 부도덕적이고 다 같이 미쳐버리는 것도 좋겠다고 말이죠. 게다가 가난해서 잃을 것도 없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습니다. 부자들을 욕해도 이상하지 않거든요



[기생하는 존재 '인간']


이렇게 가족들은 부잣집에 기생을 하며 아슬아슬한 하루를 살아갑니다. 그렇다면 기택의 가족들만 기생을 하며 살아가는 걸까요?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영화를 보는 초반에는 그렇게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봉 감독님의 의도도 그러지 않을까 생각했죠. 하지만 영화를 다 보고 나서 생각했을 때는 모든 인간은 누군가의 피를 빨며 살아가는 존재라는 걸 깨달았죠. 다만, 급이 나뉜다는 차이는 있습니다. 부잣집 사람들도 가난한 사람들의 노동력과 자신들의 돈을 교환해 빨아먹습니다. 그래도 합리적으로 기생을 합니다. 하지만 하급 기생충들은 비겁하고 치사한 방법으로 기생을 합니다. 이런 차이가 있지만 어떻게든 인간은 서로에게 기생하는 존재입니다.



[하급 기생충끼리의 싸움 - 그 시작은 띵똥]


부잣집을 먹겠다는 계획은 잘 흘러갔습니다. 가족 모두 취직했고 그들의 말발은 잘 먹혀들어가는 듯했습니다. 하지만 영화는 관객들의 마음 놓게 하지는 않습니다. 박 사장 가족이 캠핑을 간 사이 기우 가족은 파티를 벌입니다. 서로 꿈을 이야기하며 정상? 적인 가족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러다


"띵똥"


벨이 울리고 분위기는 급반전됩니다. 기존에 가장 오래 기생하던 문광이 방문해 지하실 속 남편을 보여주고 설상가상으로 박 사장까지 집에 돌아옵니다. 재밌는 건 이 장면부터 제거해야 할 대상이 같은 하급 기생충으로 변했다는 겁니다. 같은 하급끼리 싸우며 잠시 상급 기생충은 잊어버리게 되죠. 또한, 같은 하급끼리도 급을 나누려고 하는 모습이 재밌기도 하면서 한 편으로 씁쓸했습니다. 인간은 결국 어디서든 급을 나누는 존재라는 의미를 보여주는 것 같았습니다.




[공간에서 나오는 계급의 차이 - 가족 희비극]



영화가 후반부로 흘러가며 상급과 하급의 위치는 더욱이 명확해집니다. 가족 희비극은 여기서 나온 말 같습니다. 기우 가족의 반지하, 박 사장 집의 지하실, 거실 책상 밑 등 하급과 상급은 어디서든 밑과 위로 공간이 명확히 나뉩니다. 마치 희비가 명확히 나뉘어있듯이 말이죠. 


하급 기생충들은 어떻게든 올라가고 싶어 하지만 비가 오면 흘러내리는 물처럼 흘러내리고 또 흘러내립니다. 오물이 넘쳐버린 공간에서도 그들이 있어야 하는 곳은 물이 고여버린 반지하였죠. 박 사장의 가족과 기우 가족의 위치는 이미 정해져있는 걸까요? 위치를 바꾸면 큰일 나는 걸까요?라는 질문을 던져보고 싶습니다.




[모든 건 돌로 시작해 돌로 끝나리라]


기우는 돌에 애착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돌로 모든 마무리를 하려고 하죠. 하지만 돌을 들고 지하실에 간 기우는 오히려 돌로 머리를 다치게 됩니다. 그리고 잔혹한 살해극이 펼쳐지죠. 거기서 기택은 엄마의 말처럼 바퀴벌레처럼 사라지고 기정과 박 사장은 죽습니다. 비극이죠. 그리고 기택의 행방이 묘연한 가운데 기우는 박 사장의 집을 훔쳐보다 아버지가 보내는 메시지를 알게 되고 아버지가 지하실에 있다는 사실을 알고 영화는 끝납니다.


저는 돌에 대해 생각을 많이 해봤습니다. 돌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갈릴 거라 생각합니다. 박서준이 주고 간 돌은 재물운이 따르는 의미의 돌입니다. 처음에는 그 말이 맞았고 가족 모두가 취업하죠. 하지만 결국 기우는 자신이 아끼던 돌에 머리를 맞게 됩니다. 이걸 권선징악이라고 하기도 그렇고 전화위복이라고 하기도 그렇습니다. 


그냥 저는 이렇게 생각했습니다. 돌은 인간의 욕망이라고 말이죠. 돌의 행방을 살펴보면 처음에는 박서준 할아버지 집 그리고 기우의 집과 박 사장의 집을 거쳐 마지막 깨끗한 물로 이어집니다. 돌의 행방은 욕망의 길이라고 보입니다. 박서준 할아버지가 수집해 보관할 당시 욕망은 기우의 집으로 이어졌습니다. 기우는 이 돌이 가진 욕망을 비도덕적으로 풀었고 박 사장 집에서는 최악의 방법으로 풀려고 했습니다. 하지만 마지막 계곡물에 돌을 놓고 정직하게 돈을 벌어야겠다는 말을 하죠. 마지막에 욕망의 정화가 일어났다고 봤습니다. 돌에 담긴 욕망이 깨끗한 물을 통해 정화되었고 기우와 가족이 가진 욕망도 정화되었죠.



영화를 보면서 어떤 영화일지 그리고 예고편의 장면들이 어떻게 사용될지 정말 궁금했는데 궁금증이 쫙 풀렸습니다. 황금종려상 괜히 받은 게 아니고 영화 특유의 냄새가 있고 블랙 코미디 장르의 특성을 잘 살렸습니다. 





[무대인사]

무대인사는 바쁜 일정이라 그런지 간단하게 인사만 하고 갔습니다. 워낙 자리가 멀어서 아쉬웠지만 봉 감독님과 배우분들을 봤다는 것에서 만족했습니다.





작가의 이전글 영화 <돈> - 나는 부자보다 차라리 돈이 되고 싶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