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데이터 101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져니박 Aug 02. 2023

똑똑하게 데이터 15탄 : 관계형

부모 데이터가 있었기에 자식 데이터가 존재한다 Relational DB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란?


말 그대로 서로 다른 데이터가 쌓이는 두 개의 시스템(데이터베이스) 간에 관계가 존재하는 것이다.


하나가 다른 하나에 종속될 수 있으며,

학교라는 데이터베이스가 존재하면, 한 행 한 행이 하나의 학교에 대한 정보가 되고,

ㆍ(교육청 관리하는) 학교번호 ㅣ 학교명이 학교 소재지 ㅣ학교 전화번호ㅣ총 학생 수ㅣ...

학생이라는 데이터베이스는 학교에 종속된다.

ㆍ학번 ㅣ학생 이름 ㅣ다니는 학교명 ㅣ 입학연도 ㅣ...

학교가 존재하고, 그 학교에 학생 정보가 등록되어야 학번을 포함 학생 정보가 한 행 한 행 나오는 것이다.


1:N 관계


학교:학생은 부모:자식 관계라고 한다. 이는 자식 데이터 ㅡ 학생은 독립적으로 생성될 수 없고 부모 데이터ㅡ학교가 존재할 때 생성될 수 있다는 뜻이다.


한편, 부모 데이터가 삭제되면, 종속된 자식데이터도 같이 (Cascade) 삭제되도록 하거나 ㅡ 삭제는 되지 않지만 부모 데이터가 비어 있다( Null)는 두 가지 경우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자식 데이터가 삭제되는 것이 부모 데이터의 존재에는 영향을 (일반적으로는) 미치지 않는다.


위와 같은 경우 1:N 관계, 즉 하나의 부모 데이터에 복수의 자식 데이터가 속한 경우를 다루어보았다.


N:N 관계의 경우도 다루면서 주의해야 할 경우를 다루어보자.


커버사진 출처 : 피카소와 20세기 거장들 전시장 본인촬영






매거진의 이전글 똑똑하게 데이터 0탄 : 범주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