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말모이’를 보고 느낀, 우리가 쉽게 간과했던 국어
2019년 1월 9일 개봉해 1월 16일 기준으로 박스오피스 1위이고 151만명이 관람한 영화가 있다. 바로 유해진, 윤계상 주연의 영화 ‘말모이’이다.
‘말모이’는 실제 ‘조선어학회’의 이야기와 일본에 의해 조선어학회가 핍박을 받았던 ‘조선말큰사전제작’을 모티브로 만들어진 영화이다.
일제강점기 말기 ‘창씨개명’ 및 ‘학교 내 조선어사용금지조치’ 등으로 인해 조선 및 조선어는 박해받는 과정에서 공동체 ‘조선’과 ‘조선어’라는 개념은 희미해져갔다.
이러한 상황 속 공동체정신인 ‘조선’과 ‘조선어’를 지키려 하는 ‘조선어학회’의 내용을 다룬 영화 ‘말모이’를 보고 ‘얼과 정체성으로의 국어교육’이 떠올랐다.
광복 후 초기 국어교육은 독립운동가들이 주축이 되어 이뤄졌다. 그 결과 국어교육에서 ‘한국인의 얼과 정체성’이 강조되었었다.
당시 국어교육을 해야 하는 당위성은 독립과 독립운동이었다. 이 당시의 공동체는 ‘얼과 정체성’을 기준으로 하나가 될 수 있었다.
시간이 지나 광복 및 독립운동에 대한 기억이 희미해짐에 따라 국어교육은 지속적으로 당위성에 대한 도전을 받아야 했다.
그 결과 현재 국어교육은 ‘얼과 정체성’이라는 공동체적 성격보다는, ‘사고력신장 및 창의력표출’이라는 개인적 성격이 강조되었다. 그러한 과정에서 공동체의식은 약화되었다.
물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공동체보다 개인이 강조되며 기존의 ‘얼과 정체성’보다는 ‘사고력신장 및 창의력표출’이 강조되는 현상은 어쩔 수 없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과정 속에서 ‘공동체의 얼과 정체성’으로의 국어교육이 적절히 연착륙되어 존중받는 것이 아닌 괄시받는 오늘날의 모습은 안타깝다.
영화 ‘말모이’에서는 “말과 글이란 게 민족의 정신을 담는 그릇인데, 그렇게 사라지는 우리 조선말이 한두 개가 아니거든요.”라는 대사가 나온다.
이 대사에선 우리가 쉽게 간과하는 사실, 언어는 표현의 보조수단의 성격을 넘어 우리의 사고 및 의식의 흐름과 연관되어 있음을 영화 ‘말모이’는 우리에게 일깨워준다.
‘2015 국어과교육과정’ 중 국어교육의 성격을 설명하는 부분에선 국어를 “대한민국의 공용어로서 사고와 의사소통의 도구이자 문화 창조와 전승의 기반이다.”라 설명한다.
국어교육의 성격에서 ‘사고와 의사소통’ 뿐 아니라 ‘문화창조와 전승’이 규정된 점은, 공동체의 관점으로 ‘얼과 정체성’으로의 국어가 반영된 결과이다.
단절되어 있는 언어와 역사는 없다. 우리는 삶의 가치와 의미를 끊임없이 반성하고 탐색하며 우리는 공동체의 화합을 추구할 수 있다. 그 기준은 ‘얼과 정체성’이다.
‘말모이’가 준 이 울림이 다른 이들에게도 퍼져, ‘대한민국의 얼과 정체성’의 정신으로 현시대에서 간과되고 있는 공동체정신이 회복되길 바란다.
http://www.cosmiannews.com/news/159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