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몽연담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겜노인 Feb 15. 2024

소금 사이다

아버지는 항상 소금으로 이를 닦았다.

아버지는 항상 소금으로 이를 닦았다. 죽염도 아니다. 그냥 소금이다. 가끔 엄마가 계란프라이를 할 때 그 소금을 넣기도 했다. 어릴 땐 몰랐지만 지금 생각하니 대단한 부부였다.


어느새 그때의 아버지 나이가 돼 버린 난 혼자 살고 있다. 이혼이었다. 29살을 넘기기 싫다고 했던 그녀는 3년 만에 이혼 서류를 가져왔다. 냄새가 난다는 이유였다.


별다른 재주가 없었다. 공부와 담쌓은 탓이다. 군대를 다녀온 후 돌아보니 세상은 공부로 가득했다. 공장도 자격증을 요구했고 어딜 가든 대학졸업 같은 나를 증명할 무언가를 바랐다.


그렇게 간 곳은 어판장이었다. 새벽, 항구에 들어오는 생선물량을 정리하고 경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는 일이었다. 시키는 대로 하면 되는 간단한 일이었지만 그마저도 번번이 틀렸다.


"아이고.. 저 병신새끼, 저런 놈 누가 데려가냐"


고참의 푸념이 익숙해질 때쯤 난 조금 나아졌다. 들어오는 배만 봐도 무슨 생선이 있을지 알 정도였다. (물론 과장이다.) 3년이 지났을 때는 요령이 붙어 제법 혼자서도  많은 일을 처리했다. 천직이라고 생각했다.


그때부턴 옮기는 것 말고 소금도 쳤다. 경매 전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얼음과 소금을 많이 필요로 하는데 생선마다 조금씩 달라 양을 정해놓는다. 별거 아닌 것 같지만 단시간에 고루고루 뿌리는 건 제법 손을 많이 탔다.


내 허리높이까지 쌓인 상자를 내리며 소금을 뿌렸다. 어쩔 땐 소금이 입으로 들어오는 경우도 있었다. 짠맛이 입안 가득 느껴질 때 문득 아버지가 생각났다. 바쁘다는 핑계로 명절이 아니면 보는 일도 없었다.


가끔 전화를 드리면 "뭘 내려오냐, 바쁠 텐데 일이나 해라"는 퉁명스러운 말을 들었다. 그게 응원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던 중 전처를 만났다. 내 장가 노래를 부르던 고참이 아는 사람 소개로 연결해 줬다. 그렇게 장가를 갔다.


아버지는 결혼식 날 아침에도 소금 어딨냐고 물었다. 치약 조금에 소금 가득. 그러나 항상 누런 이였다. 내 입 안에 가득 짠맛이 느껴졌다. 괜히 들리게 한 마디 했다.


"그렇게 소금으로 닦아도 이가 누렇소" 아버지가 칫솔질을 멈추고 날 보고 있었지만 난 몰랐다. 


이혼은 무탈했다. 결혼만큼 고민도 없었기에 전처 입장에 맞춰졌다. 반반. 얼마 되지 않는 재산을 나눈 후 난 회사 근처 작은 원룸을 얻었다.


고민 없던 결혼만큼 부작용은 적었다. 전처 입장이 이해됐다. 다만 아버지한테 미안했다. 아들의 상견례에 결혼식에 없던 머리를 다듬고 평소보다 더 많이 소금을 쳐 이를 닦던 그 모습에 미안함이 몰려왔다.


그렇게 마흔아홉이 되던 해 아버지는 심근경색으로 돌아가셨다. 어머니는 시골로 돌아가 이모가 있는 곳에 터를 잡았다. 이사를 돕던 날 어머니가 화장실에 있는 소금통을 들고 한참을 바라보시던 모습이 생생하다. 엄마는 그 통을 들고 가셨다.


더운 여름. 평소보다 소금을 더 많이 쳐야 했다. 녹는 얼음 사이로 소금이 날아다녔다. 연신 흐르는 땀이 입 주변을 오가자 나도 모르게 닦아냈다. 입술 주변에 느껴지는 짠맛. 퉤. 그날따라 짠맛이 불쾌했다.


생선 사이, 내 손에 쥐어져 있던 소금. 비린냄새가 아닌 짠 소금기가 날 어지럽게 만들었다. 그 뒤는 기억이 나지 않는다. 눈을 뜬 곳은 병원이었다.


과로. 탈수 증세도 있었다고. 다만 쓰러질 때 머리를 부딪혀 몇 주는 안정이 필요하다고 했다. 고참은 평소처럼 내 머리를 때리려다 아차 싶은 듯 손을 거뒀다. 그리곤 미안하다고 작게 말했다.


전처에게서도 연락이 왔다. 통상적인 안부였다. 1분 남짓 통화를 끝낸 후 입안에 짠맛이 느껴졌다. 씁쓸한 기분. 아버지는 왜 소금으로 이를 닦으셨을까. 마음 한 컨 남은 궁금함이었다. 엄마한테 전화를 걸었다.


입원 소식은 다행히 안 간 것 같다. (고참놈 고맙네) 그냥 전화했다고 말했지만 엄마는 이모들과 다닌 여행지를 죄다 말할 셈인가 보다. 피식 웃음이 났다.


"아, 엄마. 그 소금통, 그거 있잖아. 아빠가 이 닦을 때 쓰던 소금통. 그거 아직 있어?" 한참 떠들던 엄마가 뭔 소리인가 싶었는지 잠깐 말이 없다.

"있어. 왜?"


아냐. 그렇게 한참을 통화한 후 일 핑계로 전화를 끊었다. 궁금증이 두 개가 됐다.


여전히 덥지만 휴식이 약이 됐는지 현장으로 온 나는 평소처럼 일을 해냈다. 그 사이, 20대 중반쯤 된 녀석이 새로 들어왔다. 상자를 놓치거나 개수를 잘못 세는 일이 많은 그냥 서툰 친구였다. 나 같았다.


점심이 다 돼서야 물량을 모두 정리할 수 있었다. 휴우, 더위 사이로 한숨이 흘러갔다. 그때였다. "형님 여기..." 젊은 목소리 사이로 쑥 사이다 캔이 하나 올라왔다. 그 녀석이었다. "아, 어르신이 가져다주라고 해서요" 청년 뒤로 딴청 피우는 고참이 보인다.


"아, 더운 데 잘됐네" 덥석 받아 캔을 땄다. 탄산과 함께 달달함이 느껴졌다. 그러나 입술 사이는 여전히 짠맛이 가득했다. 실제 소금이 묻어서 인지, 아님 바다의 비릿함 때문인지 알 수 없었다.


소금 사이다. 그래, 알 것 같다. 아버지가, 어머니가 왜 그랬는지. 평소보다 짠 사이다의 맛에 난 한참을 그곳에 서 있었다.

매거진의 이전글 커피의 온도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