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세준 Sep 04. 2019

차는 무슨, 먹고 살 돈도 없어요

몇 년이 지났는데 왜 내 월급은 귀여울까요.


서울 성동구 장한평의 중고차 매매단지. 최근 젊은 세대가 차량 구매를 꺼리는 탓에 판매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뉴스1]


“취업하면 자동차를 사겠다는 다짐도 다 철없을 때 이야기죠.” 


대기업 4년 차 직장인 유모(29) 씨의 말이다. 유씨는 “혹시 결혼하게 될지도 모르고, 결혼하지 않는다 해도 통장이 빵빵해야 안심이 되겠다 싶어 씀씀이를 줄이는 중”이라고 말했다. 20, 30대 사이에서 ‘내 차’에 대한 꿈이 많이 사라지고 있다. 연중무휴 계속되는 교통체증에 차를 끌고 나설 엄두가 나지 않는다. 영화 ‘기생충’에서는 대중교통을 타는 사람에게서 특유의 냄새가 난다고 했지만 꽉 막힌 도로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보다는 낫다. 대중교통으로 가기 불편한 곳이라도 자동차를 대체할 교통수단은 충분하다. 주말을 맞아 교외에 놀러갈 일이 생긴다면, 차량공유 서비스를 이용하면 된다. 



굳이 차를 사지 않아도, 차량공유 서비스를 이용하면 급할 때 쉽게 차를 빌려 쓸 수 있다. [사진 제공 · 쏘카]



집도, 차도 사지 않고 결혼까지 생각 없는 2030세대의 돈은 다 어디로 가고 있을까




YOLO’(You Live Only Once), ‘탕진잼’(탕진하는 재미의 줄임말) 등에서 엿보이듯 젊은 층의 소비 경향은 많은 신조어를 낳았다. 자동차 분야도 마찬가지다. 최근까지만 해도 신차 구매에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한 소비층은 20대 후반~30대 초반의 사회초년생이었다. 


국토교통부(국토부) 집계에 따르면 2014년 국내에 등록된 차량(389만3893대)의 22.2%가 20, 30대 소유였다. 안정적인 직장을 구한 다음 자동차를 사는 사람이 많았다. 2~3년 전까지만 해도 ‘카푸어’(Car-poor·소득 대비 너무 비싼 차를 사 빚에 시달리는 사람)라는 말이 유행한 데서 알 수 있듯이, 자동차는 젊은 세대의 소비재 중 가장 비싼 재화였다.


카푸어는 멸종 중


하지만 카푸어가 사라지는 추세다. 젊은 세대의 차량 구매가 빠르게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1월 차량 데이터 조사기관 ‘카이즈유 데이터 연구소’의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신차 등록 대수는 전년 대비 1.6% 줄었다. 그중 20대와 30대의 감소폭이 컸다. 30대 신차 등록 대수는 28만1715대로 5.7% 감소했다. 20대는 같은 기간 3.4% 줄었다. 40대와 50대는 각각 2.8%, 0.2% 하락했다. 차량 판매업계에서는 젊은 세대의 차량 수요 감소를 실감하고 있다. 한 국내 차량 브랜드 판매직원은 “올해 들어 다른 고객은 모르지만 확실히 혼자 와 차를 구매하는 젊은 고객이 많이 줄었다. 보통 (젊은 고객은) 부모나 반려자와 함께 차를 알아보는 경우가 많다”고 밝혔다. 


국토부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20, 30대가 등록한 차량은 총 397만5782대로, 전체의 19.9%이다. 젊은 세대의 차량 등록 대수는 2014년 389만3893대에서 매해 4만~5만 대 늘어 2017년에는 405만2650대가 됐다. 하지만 2018년에는 등록 대수가 397만5782대로 꺾였다. 서울 한 중고차 판매 종사자는 “젊은 층의 첫 차로 인기가 많던 국산 소형차 판매가 많이 줄었다. 생애 첫 차를 사러 온 손님은 보기 어렵다”고 밝혔다. 




“빚내 자동차 사느니



자동차를 구입하지 않은 사람들은 “왜 사지 않느냐”는 질문에 “굳이 사야 할 이유가 있나”라고 되묻는다. 서울 관악구의 조모(29) 씨는 “차 가격도 가격이지만 보험료에 유류비까지 차를 사는 순간 부담이 생긴다. 산다 하더라도 애물단지다. 출퇴근은 대중교통이 훨씬 빠르다. 수 많은 차량이 버젓이 불법주차된 집 앞 좁은 골목을 보면 차를 살 엄두가 나지 않는다”고 밝혔다. 


대학생 임모(24·여) 씨는 아르바이트하는 가게로 출근할 때마다 서울시 공유자전거를 이용한다. 임씨는 “버스에서 내려 아르바이트하는 장소까지 1km 남짓 걸린다. 처음에는 어떻게 갈까 걱정했지만, 공유자전거로 편하게 움직일 수 있어 애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공유자전거는 명실상부 20, 30대의 발이 되고 있다. 지난해 7월 기준 서울시 공유자전거 서비스 ‘따릉이’ 가입자는 총 88만5622명. 이 중 20대가 48%(42만7479명)로 가장 많았고, 30대가 15%(23만212명)로 그 뒤를 이었다. 40대와 50대의 점유율은 각각 7%, 2%로 현저히 낮았다. 공유자전거 사용 건수도 20, 30대가 많았다. 총 사용 건수 2만1623건 중 20대가 사용한 비율은 43%, 30대는 24%에 달했다. 



대중교통이 닿지 않는 곳도 공유자전거나 전동킥보드 등 대체 교통수단을 이용하면 쉽게 갈 수 있다. [박세준 기자]



직장인 이모(26·여) 씨는 전동킥보드 대여 서비스를 활용한다. 회사 근처 지하철역까지 대중교통을 이용한 뒤 역 앞에 세워진 공유 전동킥보드를 타고 회사 앞에 주차해놓는다. 이씨는 “입사 초기만 해도 빚을 내서라도 차를 사야겠다 싶었는데, 전동킥보드 대여 서비스 덕분에 차를 사야겠다는 마음이 사라졌다”고 밝혔다. 


직장인 최모(28) 씨는 지난해 차 대신 전동스쿠터를 구입했다. 정부는 올해 전기이륜차 보급 1만 대를 목표로 총 125억 원의 보조금을 지급한다. 전동스쿠터를 1대 산다고 가정하면 서울시로부터 제조사에 따라 200만~300만 원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정씨도 50만 원가량의 예산으로 전동스쿠터를 살 수 있었다. 

그는 “회사까지 6km가량 거리라 출퇴근용으로 타고 다닌다. 가격도 싸고 유지비도 거의 없다시피 하니, 굳이 차를 사야 할 필요성을 못 느끼겠다. 가끔 친구들과 교외로 놀러갈 때만 차량공유 서비스나 렌터카업체에서 차를 빌려 쓴다”고 밝혔다.


렌트형 차량공유 서비스의 주요 고객층도 20, 30대다. 차량공유 서비스 ‘쏘카’ 관계자는 “이용자의 80%가 2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이다. 서비스를 시작한 지 10년가량 됐는데 줄곧 이 연령대의 이용량이 가장 많았다”고 밝혔다. 




빚 갚기와 이직 준비에 차 살 겨를 없어


20, 30대가 더는 차를 사지 않는다면 그들이 번 돈은 다 어디로 갔을까. 일단은 빚이 많다. 올해 4월 신한은행이 발행한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에 따르면 사회초년생(3년 차 이하 직장인)의 44%가 대출을 받은 적이 있었다. 대출 비중은 지난해에 비해 3% 낮아졌지만 대출 잔액과 상환 기간은 늘었다. 인당 평균 대출액은 3391만 원으로 전년 대비 432만 원 늘었고, 대출 상환 소요 기간도 4년에서 4.9년으로 길어졌다. 사회초년생의 61.2%가 소액 대출을 받은 경험이 있었다. 돈의 사용처는 생활비, 교육비가 44.8%로 비중이 가장 컸다. 



대출과 함께 소비도 늘었다. 20, 30대의 평균 소비액은 월 152만 원. 지난해보다 33만 원 증가했다. 식비, 월세, 교육비가 각각 8만 원씩 늘었다. 물가와 집세가 오르니, 더 많은 임금을 받고자 자기계발에 나섰다고 풀이할 수 있다. 



신한은행이 지난해 서울시 급여소득자 128만 명의 급여이체 통장을 분석한 결과 서울시 사회초년생의 평균 월 급여는 195만 원이었다. 자취 생활 10년째인 직장인 박모(30) 씨는 “젊은 세대가 소비를 견인한다는 보도를 볼 때마다 의아하다. 당장 매달 생활비만으로도 허덕이는데, 도대체 다들 돈이 어디서 나서 그렇게 쓰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젊은 층이 돈을 모을 방법이 없어 자포자기식으로 돈을 쓴다는 보도가 이어졌지만, 사치품 구매 증가는 40, 50대에게서 두드러졌다. 신한카드가 2016~2018년 직장인의 점심시간 이용 내역을 분석한 결과 40, 50대는 백화점 이용, 옷, 신발 구매 비용이 각각 1.4%p, 3.3%p, 1.5%p 늘었다. 반면 20, 30대가 돈을 쓰는 부분은 재화보다 서비스였다. 같은 조사에서 20, 30대는 실내골프장, 볼링장에서 소비가 각각 3.6%p,2.1%p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저축? 하고 싶어도



생활비, 집세 등의 압박을 해결하고 나면 월급을 받아도 수중에 남는 돈은 많지 않다. [shutterstock


]젊은 세대가 사치한다는 오해를 받게 된 이유는 소비 특성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2월 롯데멤버스가 발표한 ‘2019 트렌드 픽’ 자료에 따르면 밀레니얼 세대(1980년대 초반~2000년대 초반 출생한 세대)는 다른 세대에 비해 가격과 상관없이 마음에 드는 제품은 무조건 구매하는 경향(최애템 사수형)이 두드러졌다. 그리고 밀레니얼 세대의 26.6%가 이 같은 소비를 한다고 밝혔다. X세대(40대)와 베이비붐 세대(50, 60대)는 각각 21.6%, 17.8%였다. 



20대는 저렴한 서비스나 제품에 쉽게 지갑을 열었다. 대학내일20대연구소가 지난해 2월 발표한 ‘20대 소비자 지출패턴 집중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대가 충동적으로 소비하는 금액은 월평균 7만8000원. 구매 내역은 달거나 매운 음식(41.6%), 택시비(20.1%), 예쁘지만 쓸모없는 물건(11.9%) 등이었다. 직장인 김모(32) 씨는 자타공인 게임기 ‘덕후’다. 신제품이 나오면 일단 구매하고 본다. 김씨는 “저렴하면 20만 원, 비싸면 100만 원까지 하는 게임기를 사들이니 주변 어른들은 ‘언제 돈 모아 결혼할 거냐’고 면박을 주신다. 게임기 구입 비용은 식비나 교통비 같은 고정 지출을 줄여 마련한다”고 말했다.



직장인 윤모(27·여) 씨는 급여의 30%를 저금한다. 200만 원 남짓 되는 급여에서 생활비와 집세, 통신비 등 고정비용을 빼면 남는 돈은 100만 원. 이 중 60만 원을 저금하고 40만 원을 용돈으로 쓴다. 윤씨는 “목돈을 만들겠다는 생각에 재테크 강의도 들으러 다녔다. 다들 수입의 60~70%는 저금해야 한다는데, 나는 고정비용만으로도 수입의 절반을 쓴다. 괜히 열패감이 커져 ‘굳이 저금해야 하나’ 싶은 마음에 강의실을 빠져나왔다”고 털어놓았다.


티끌 모아보지만 미래는 보이지 않아


사회초년생들은 일단 돈을 모으고는 있었다. 지난해 통계청 집계에 따르면 자산 대비 저축 비율이 가장 높은 연령은 20대(25.1%)였다. 30대는 18.0%, 40대는 19.7%, 50대는 21.9%, 60대는 15.9%. 은행권 관계자는 “30대부터는 부동산에 지출하는 비용이 커져 저축이 감소한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8월 결혼정보회사 듀오가 20, 30대 미혼남녀 397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자산관리를 하고 있다는 응답자가 54.7%에 불과했다. 응답자의 6.9%는 전혀 저축을 하지 않고 있었고, 저축하는 사람 중에서는 월수입의 10%를 저금한다는 답이 39.5%로 가장 많았다. 금융권 관계자는 “소득이 적고 이전 세대에 비해 사회생활을 시작하기 전 떠안은 부채가 많으며 주거 등 기본 고정비용 지출이 소득 대비 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사회초년생들은 이미 좌절 상태에 빠졌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이 2016년 직장인 1473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6.4%가 자신을 ‘워킹푸어(working poor)’라고 생각했다. 워킹푸어는 부채, 물가 상승 등의 이유로 아무리 일해도 가난에서 벗어날 수 없는 계층을 뜻한다. 워킹푸어가 된 이유로는 ‘적은 연봉’(72.3%·복수 응답)이 가장 많았고 ‘높은 물가’(46.5%), ‘빚/대출금’(36.9%)이 뒤를 이었다. 



중소기업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한 정모(28·여) 씨는 “벌써 3년 차인데 모아놓은 돈이 2000만 원 남짓이다. 처음 취업할 때만 해도 ‘지금이야 학자금 대출, 월세에 허덕이지만 급여가 오르면 어느 정도 해결되겠지’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3년 전 귀여웠던 내 월급은 여전히 귀여운 수준이고, 지금까지 모아놓은 돈으로 집은커녕 전세도 구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박세준 기자 sejoonkr@donga.com



[이 글은 주간동아 1200호에 실린 기사를 재구성했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연봉은 720만원 올랐는데, 월급은 6만원 오른 사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