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Zorba Jan 03. 2024

재무상태표 기본

회계! 내가 좀 알려줘?

재무상태표는 과거에 대차대조표로 불렸었다.

출처: 회계! 내가 좀 알려줘? - 위성백


자산 = 부채 + 자본 --> 차변 (debit) = 대변 (credit)


하나씩 살펴보며 개념을 정리하기로 한다.


유동자산 = 현금 및 현금성자산 + 외상매출채권 + 재고자산

당좌 자산 (quick asset) = 현금 및 현금성자산 + 외상매출채권

- 특히나 빠르게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 

유동부채

- 1년 이내에 갚아야 하는 단기 부채


당좌비율 = 당좌자산 / 유동부채 = (현금 및 현금성자산 + 외상매출채권) / 유동부채

- 비율이 100% 이상일 경우, 단기 유동성 측면에서 건전하다고 볼 수 있음


재고자산

- 현금화에 상대적으로 시간이 걸리는 자산 

- 기초재고자산 + 당기매입재고자산 = 매출원가 + 기말재고 자산

- 매출액 - 매출원가 = 매출총이익

- 재고자산 단가와 매출원가를 결정하는 방법에는 개별법, 선입선출법, 후입선출법, 가중평균법이 있다

- 선입선출법은 물가상승률을 고려했을 때 원가가 낮게 대응되어 매출이익을 높일 수 있음


유동비율 = 유동자산 / 유동부채 = (현금 및 현금성자산 + 외상매출채권 + 재고자산) / 유동부채

- 비율이 150% 이상일 경우, 단기 유동성 측면에서 건전하다고 볼 수 있음


방어기간비율 = 당좌자산 / 1일 현금지출

- 며칠간 안전하게 방어할 수 있는지 나타내는 지표


부채자본비율 = 부채 / 자본

-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지표

- (상대적이기 때문에 비교가 필요한 항목인 듯하다)


유형자산

- 비유동자산에 속하며, 장기간에 걸쳐 사용되는 자산

- 영업활동에 사용되어 주로 회사에 수익을 만들어내는 역할

- 감가상각을 통해 비용으로 계상이 필요

- 취득 원가 - 감가상각비 = 폐설비가치 (잔존가치)

- (감가상각비 계산에는 여러 방식이 있지만, 결국 장기적으로는 손익이나 재무구조에 영향이 없고, 매년 그 비율을 어떻게 정해야 하는 이슈이므로 스킵한다. 회계사가 아니면 이 정도는 필요 없을 듯하다.)

- 유형자산은 재평가가 일어나기도 함. 

-- 재평가 이익이 있는 경우: 기타포괄이익에 포함.

-- 재평가 손실이 있는 경우: 당기순손실에 포함


무형자산

- 비유동자산에 속하며, 물리적 실체가 없지만 식별이 가능하고 기업이 통제할 수 있는 자산

- 특허권, 상표권, 실용신안권, 디자인권등이 포함

- 기업인수 과정에서 발생한 영업권도 포함

- 개발비는 기술적 성공가능성이 보이고, 그 기술을 직접 사용하거나 판매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는 경우에만 무형자신으로 인식. 아니면 비용처리

- 무형자산은 정액법으로 상각


단기금융자산

(1) 현금성자산: 환매조건부채권 (RP), 양도성예금증서 (CD), 기업어음 (CP), 어음관리계좌 (CMA)

(2) 유동자산으로 분류되는 금융자산

- 외상매출채권: 영업활동에서 발생하는 상품 매출

- 엉업외미수금: 영업활동과 무관한 활동에서 발생

- 미수수익: 기간이 경과하면서 발생하는 금융자산 (ex. 이자)

- 대여금: 제삼자에게 자금을 빌려준 경우 해당

(3) 금융자산이 아닌 단기유동자산: 선지급금, 선지급비용, 선급법인세


투자금융자산 - 지분상품: 주식. 다른 회사의 순자산에 대한 소유권

- 주가순이익비율 (PER, price earnings ratio) = 주가 / 주당순이익 = 주가 * 주식수 / 당기순이익

- 주가순자살비율 (PBR, price book-value ratio) = 주가 / 주당순자산 = 주가 * 주식수 / 순자산 (자산 - 부채)

- 배당수익률 (dividend yield ratio) = 주당배당금 / 주가 = 배당금 / 주가 * 주식수

- 배당성향 = 총배당액 / 당기순이익

- 사내유보율 = 1 - 배당성향


투자금융자산 - 원금과이자 수취상품: 채권. 원금과 이자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

- 채권가격은 시장이자율과 반비례 관계


금융자산 분류 방법

- 공정가치로 평가한 주식의 가치변동을 당기손익에 반영

- 당기손익에 반영하지 않고 다른 항목인 기타포괄손익에 반영


금융부채 

(1) 유동부채로 분류되는 금융부채 = 유동자산으로 분류되는 금융자산과 동일하게 대응

- 외상매입채무: 영업활동을 위하여 상품을 외상으로 매입

- 영업외미지급금: 영업활동과 무관한 활동에서 결제하지 않은 금액

- 미지급비용: 이자비용

- 단기차입금: 단기차입금 or 유동성장기차입금

(2) 유동성 비금융부채: 선수금, 선수수익, 미지급법인세


비유동부채

- 만기가 1년이 넘는 장기성 채무 (ex. 회사채)

- 채권의 현재가치 = 미래현금흐름 / (1 + 시장이자율)^n

- 중간중간 이자쿠폰을 지급하는 경우, 채권의 현재가치 

= 이자 / (1 + 시장이자율) + 이자 / (1 + 시장이자율)^2 ... + (이자 + 미래현금흐름) / (1+시장이자율)^n

- 액면발행의 경우 회사채 가격이 시장가격과 동일하다

- 할인발행의 경우 회사채 가격이 더 싸다

- 할증발행의 경우 회사채 가격이 더 비싸다


'회계! 내가 알려줘?'라는 책에서 누구보다 쉽게 예시를 들어가며 설명해 주니 기본적인 회계 지식을 습득할 수 있었다. 얼추 개별 기업을 매매할 때 리스크 관리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감을 잡았다. 가장 나이브하게 안전한 기업을 찾으려면 당좌비율과 유동비율을 따져봐야 할 것이고, 조금 더 세부적으로 보면서 리스크를 점수로 메길 수 있을 것 같다. 간단하게 상, 중, 하 정도? 실제 데이터를 확인해 보면서 리스크 등급을 나누는 것도 승률을 높이는 방법일 것 같다.

매거진의 이전글 확률적 사고 기르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