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Minjae Shin Jan 01. 2023

아기돼지 삼 형제

셋째 돼지는 어떤 방식으로 벽돌을 쌓았을까?

너도 알고 나도 알고, 우리 모두 알고 있는 동화들이 있습니다. 이 이야기들은 지역과 세대를 아울러서  다양한 소재와 재치로 우리에게 따뜻한 감성과 교훈을 줍니다. 하지만, 익숙한 결말과 구성으로 지루하기도 합니다. 이 메거진에서는 그 뻔한 이야기들을 건축가의 시선으로 새롭게 다시 읽어보겠습니다.


아기돼지들의 고향은 어디일까?


아기돼지 삼 형제의 셋째 돼지는 어떤 쌓기 방식으로 튼튼한 벽돌집을 만들었을까? 이 질문에 답을 찾으려면, 우선 아기돼지 삼 형제가 어느 지역 출신인지 알아야겠다. 지역마다 벽돌 쌓기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 이야기가 처음 등장한 것은 1890년 조셉 제이콥스(Joseph Jacobs)가 영국의 여러 구전동화를 묶어 책으로 출판한 English Fairy Tales에서였다. 동화책에서 셋째 돼지가 어떤 벽돌 쌓기를 했는지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영국의 구전동화이니 영국지역의 벽돌 쌓기 방식을 익히고 사용했다고 생각해 볼 수 있지 않을까?

English Fairy Tales / Joseph Jacobs / 1890


삽화에서 찾은 영국식 쌓기


이런 추측을 확인시켜 준 것은 1903년 Frederick Warne & Co에서 출판한 단행본 덕분이다. 이 책은 이야기의 장면들을 풍부하게 상상할 수 있도록 L.Leslie Brooke의 아름다운 그림을 담고 있는데, 여기서 셋째 돼지의 벽돌 쌓기 방법을 찾을 수 있다. 한 줄을 벽돌의 짧은 면이 보이도록 쌓고 그 위에는 벽돌의 긴 면이 보이도록 쌓았다. 이렇게 쌓으면, 짧은 면이 보이는 벽돌이 안쪽으로 깊숙이 들어가서 안쪽의 벽돌 켜와 단단하게 결합한다. 벽돌 건축물에서 구조적 힘을 받는 벽(내력벽)을 쌓는 전통적인 방식이다. L.Leslie Brooke의 삽화에서 보이는 이 벽돌 쌓기는 건축용어로 영국식 쌓기(English bond)라고 한다. 영국과 도버해협을 마주하고 있는 프랑스 북부와 벨기에, 네덜란드 지역의 플레미시 쌓기(Flemish bond)는 긴 변 쌓기와 짧은 변 쌓기를 교차하며 쌓아 그 모양새가 분명하게 구분된다.  L.Leslie Brooke가 건축적 지식을 가지고 그렸는지는 알 수 없지만, 적어도 벽돌 건축물을 정확하게 관찰하고 이 삽화들을 그린 것만은 분명하다.

영국식 벽돌 쌓기가 그려진 The Story of The Three Little Pigs / Frederick Warne & Co / 1903


아쉬운 디즈니


1923년 창립한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가 아기돼지 삼 형제를 단편 애니메이션 영화로 제작(1933)하면서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얻는다. 언제인지는 모르겠지만 나도 어린 시절 디즈니의 애니메이션을 봤던 기억이 있고, 아기돼지 삼 형제를 생각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도 디즈지의 애니메이션이다. 건축가로서 디즈니 애니메이션에서는 표현된 셋째 돼지의 공사하는 모습에서 건축적인 벽돌 쌓기가 보이지 않는 것이 끝내 아쉽다.

Three Little Pigs / Walt Disney Studio / 1933


서울에서 찾은 셋째 돼지의 벽돌 쌓기


우리나라 건축물에서는 전통적으로 벽돌을 많이 사용하지 않지만, 셋째 돼지가 쌓았던 영국식 쌓기를 잘 관찰할 수 있는 건축물이 서울에 있다. 이 건축물은 1938년에 당시 경기중학교의 교사로 지어진 건축물이다. 짧은 면 쌓기 위에 긴 면 쌓기를 번갈아 쌓는 영국식 쌓기가 매우 정교하고 아름다운 모습이 잘 남아있다. 창문이나 환기구 위 인방은 벽돌을 섬세하게 다뤄 만든 평아치가 인상적이다. 벽돌과 벽돌사이의 줄눈은 둥글고 오목한 줄눈이 도드라져 보인다. 숙달된 조적공이 아니면 엄두가 나지 않는 디테일들이다.

서울교육박물관의 영국식 쌓기 부분 상세


경기중학교와 경기고등학교가 떠난 뒤 2011년부터는 누구나 방문할 수 있는 서울교육박물관으로 운영하고 있다. 정독도서관으로 사용하고 있는 경기고등학교 본관과 휴게동 등과 함께 등록문화제 제2호로 지정되어 복원과 관리도 잘 되고 있다. 아기돼지가 구현했던 영국식 쌓기를 멀리 영국까지 가지 않아도, 가까운 서울 종로구에서 언제든 볼 수 있으니 즐거울 수밖에 없다.

등록문화제 제2호 / 서울교육박물관 ( 舊 경기고등학교 )  / 1938


appendix

1) English Fairy Tales / Joseph Jacobs / 1890 / 원문보기
2) The Story of The Three Little Pigs / Frederick Warne & Co / 1903 / 원문보기
3) Three Little Pigs / Walt Disney Studio / 1933 / 애니메이션 보기
등록문화제 제2호 서울교육박물관 연역

1900년 관립한성중학교 ( 종로구 화동1번지 )
1906년 관립한성고등학교로 개칭
1911년 경성고등보통학교로 개칭
1921년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로 개칭
1938년 경기중학교로 개칭
1938년 현재 서울교육박물관으로 사용 중인 교사 신축
1951년 경기중학교와 경기고등학교 분리
1971년 경기중학교 폐교
1976년 종로구 화동 교사에서 강남구 삼성동으로 교사 이전
1995년 서울교육사료관 개관
1996년 교육전문박물관 등록
2002년 전시장 전면개보수
2003년 재개관
2011년 서울교육박물관으로 명칭 변경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