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연 스타트업에서 서비스 기획자로 일한지 3년째..
이제 나도 주니어라고 부를 수 있는 서비스 기획자가 되었다..
이제 새로운 도메인의 경험 그리고 밀도있는 업무경험을 쌓고 싶어서 이직을 생각하게 되었고,
이직을 시도하고 있으나 이직의 과정이 순탄하지 않다. 나의 경험을 공유하기 위해 짧게 글을 써본다.
결과부터 말하자면, 포트폴리오를 급하게 만드는건 아주아주 비추한다.
그리고 무작정 ppt/ keynote 를 키고 만드는것도 비추한다.
이직준비에 급급하여 나는 자기소개서, 이력서, 포트폴리오를 가장 먼저 손봤는데, 이제 생각해보니 내가 우선순위에 둬야할 일은 그게 아니었다.
"나는 도메인에 연연하지 않는 기획자가 되겠어" 라고 생각했지만, 본인이 선호하는 도메인이 생각해보니까 있더라. 그리고 이직 면접에 가서도 심심치 않게 원하는 도메인/ 분야가 어디인지도 많이 물어보았다.
도메인/ 분야는 대략적으로 이렇게 될 것 같다. (실제로 도메인/ 분야가 궁금해서 찾아보려고 했으나 잘 나오지 않아 내 주관대로 작성했음)
이커머스 / 핀테크 / SaaS / 콘텐츠 / 헬스케어 / 교육 / 채용 / O2O 등등
서비스 기획자의 채용공고들을 보면 공통점도 있지만 미묘하게 다른 공고들도 많다. 어떤곳은 데이터를 읽고 분석하는 능력을 굉장하게 중요하게 여기는 곳도 있고, 어떤 곳은 ux 설계에 집중하는 곳도 있다.
본인이 정한 도메인에 따라 채용공고를 확인하고 자격요건, 우대조건, 역량은 어떻게 되는지 또 도메인에서 중요하게 살펴봐야할 지표는 무엇일지 고민해봐야한다.
3년차로서 프로젝트에 주도적으로 참여한 경험도, 서포트한 경험들이 있는데, 해당 경험들만 포트폴리오에 넣기에는 애매하고 뭔가 부족하다는 느낌이 들었다. 결국에는 산출물 중심의 포트폴리오가 만들어지는데, 산출물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업들도 있겠지만, 기획자의 본질적인 역량인 문제 정의 - 해결 과정이 없다면 산출물만 잘 찍어내는 기획자로밖에 보여지지 않는다. 따라서 나는 관심있는 플랫폼들 혹은 자주 사용하는 플랫폼을 사용해보면서 1) 서비스 분석, 2) 서비스 문제 및 현황 파악, 3) 서비스 개선안 도출을 간략하게 정리하여 노션에 관리하고 있다.
이런 경험들은 재직하면서 담당한 프로젝트에는 포함될 수 없지만 면접때 사례를 요구하거나 혹은 지원자의 강점을 어필할때 참 좋을 것 같다.
나는 3년동안 신규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운영하는 업무를 진행했기 때문에 실제 고객에 대한 데이터 경험이 절대적으로 부족했다. 그래서 고객 니즈를 통한 개선, 고객 데이터를 통한 기능 개선 등의 업무는 경험해보지 못했다. 경험해보지 못한 업무를 했다고 할 수도 없고 못했다고 가만히 있을 순 없으니, 내가 더 잘하는 것에 집중하고 경험해보지 못했지만 미리 공부를 하게되면 약점을 어느정도 보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피그마와 sql을 조금 더 집중해서 공부해보려고 한다.
실제로 이직 인터뷰에서 받은 질문중에 "지원자님의 커리어에 대한 계획이 있나요? 있다면 대략적으로 말씀해주세요" 라는 질문이 있었다. 평상시 커리어 플랜을 생각하지 않았던 사람이라면 헉할 수 있는 질문이다. 보통 서비스 기획자의 커리어 플랜은 프로젝트 매니저 - 프로덕트 오너라고 생각할텐데, 나에게 프로젝트 매니저가 어떤일을 하는지, 프로덕트 오너가 어떤일을 하는지 물어보면 솔직히 대답 못할 것 같다. 그래서 이 부분도 계속해서 공부를 해서 어떤 직무적 차이가 있는지, 내가 어떤 부분을 업무하면서 보완하고 신경써야 할 것 같은지 알아야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