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안사유 Jan 13. 2024

울면서 글을 쓰는 일을 그만하고 싶다.

나에게는 어려운 일투성이다. 숨을 쉬는 것도, 생각을 비우는 것도, 글을 쓰는 것도. 특히, 한 번에 1,500자를 쓰는 일은 힘든 일이다. 글도 체력이 있어야 쓴다고 하는데, 나는 체력이 없다.      


원래 이렇게 다들 사는 게 어려운지. 이맘때 이런 생각이 더 드는 것 같다. 유독 힘든 달이다. 자세히는 기억이 나지 않지만, 어떤 책에서 우울증 환자들의 자살에 관한 이야기를 했었다. 우울증 환자가 자살을 하는 경우를 분석해 보면, 치료를 받지 않은 경우 높고, 또 다소 의아하게도 우울증이 호전될 때 높은 경향이 있다고 한다.      

가만 생각해 보면, 너무 우울하면 숨쉬기도 귀찮은데 자살할 여력이 어디 있을까 싶다. 그래서 하도 우울할 때는 몸을 피곤하게 하려고 노력하는 것 같다. 운동을 하고, 공부를 했다가 게임도 하고 그리고 무엇보다 밥을 거르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밥은 기분에 따라먹는 게 아니라 그냥 먹는 거라는 말이 내 마음에 박혀있다. 정말 그렇다. 밥을 먹어야 살고, 살아야 또 미래가 있다. 덤으로 사는 인생, 많이 먹고 싸다 가야지 싶다. 덤으로 사는 인생 글도 배설하는 것이라면, 글에는 더더욱 솔직하고 싶다.     


몸 안에 없던 것이 똥으로 나오지는 않는다. 글도 마찬가지다. 내 몸 안에 쌓인 것들이 글로 나온다. 그래서 글을 쓰는 사람은 글로 거짓말을 하지 못한다. 어딘가에는 있는 진실인 것이다. 설령 그것이 내 꿈이더라도.     

 

사실, 울면서 글을 쓰는 일을 그만하고 싶다. 누구나 그렇듯, 나도 내심 행복하고 싶은 마음이 있다. 그리고, 사랑과 행복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싶다. 한없이 무너지고 부서지는 내 마음을 파도에 떠나가는 모래 알갱이처럼 보내줄 수밖에 없는 지금을 벗어나고 싶다.     


초점이 맞지 않는 눈으로 써 내려가는 글은 언제나 나의 불행과 우울에 관한 이야기였고, 사람들이 이런 이야기를 좋아하지 않을 거라는 생각에 늘 고민하고는 한다. 어차피 쓸 거면, 일기장 같은 곳 말고, 사람들이 볼 수 있는 공간에 게시하자는 생각이 들었다.     


글을 쓰면서 늘 이것이 내 마지막 글이면 어쩌지라는 생각을 한다. 그래서 조금은 더 간절하다. 더 솔직하게 말하자고 생각한다. 그런데 잘 안된다. 솔직하면 용기가 생긴다던데, 솔직한 것도 용기가 필요한 일이라 그런 건가. 글 연습을 조금 더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내가 스스로 동굴 속으로 들어가지 않는다면, 어디서든 해가 뜬다. 여기에서 다시 뜰 해를 기다리며, 글을 마치려 한다.

작가의 이전글 글을 쓸 때의 발가벗은 것 같은 이 부끄러움이 좋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