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공오공 Dec 22. 2022

Alex Becker : 유튜버에서 1300억까지

테크크런치 읽다가 마시던 물을 뿜었다. Alex Becker가 본인의 SaaS 회사 HYROS를 1300억에 매각했다는 이야기를 보고 잠시 회상에 잠겼다.


잘 될 것 같았는데 이 정도로…?


HYROS는 Ad Tracking & AI Optimization에 특화된 마케팅 SaaS고 수년전 런칭할 때부터 지켜봤다. Alex는 HYROS 전에 Source Wave, Market Hero, Konker 등등 다양한 마케팅 프로덕트를 만들면서 꾸준히 유튜버로 활동했다.


구독자인 나야 짧은 시간에 배울 수 있는게 많으니까 땡큐다. Alex는 회사 운영하기도 바쁠텐데 왜 콘텐츠를 만들었을까.


Authenticity, Fandom, Organic Traffic, Organic Growth, Community based…해외 VC나 스타트업 관계자들이 2023년 핵심 전략으로 가져가고 있는 키워드들이다. 소비자들이 바뀌었으니까. 자극적인 광고보다는 관계 형성, Rapport 쌓는 것부터 시작하자는 움직임이 있다. 그 시작은 본인다운 콘텐츠에 있고 Alex는 이걸 수년전부터 활용해왔다.  


썸네일보면 알겠지만 어떻게 해야 사람들이 클릭하는지 알고 있고


인트로부터 대담하고 이상하고 재밌는 코멘트로 시작하고


쉽게 공감할 수 있는 게임, 이성관계, 투자, 철학 등등 일상적인 주제를 본인의 관점으로 이야기한다. HYROS MAU와 리텐션 이야기를 했으면 봤을까?


Vibe Check. 우선 성격이 시원하다. 40분 넘게 단독으로 이야기하는 콘텐츠도 있을 정도로 언변이 좋고 설득력도 있다. 어투가 다소 공격적이라는 댓글도 있는데 나는 재밌게 보고 있다. 백만명 넘는 구독자가 있는 것 보면 즐기는 구독자가 더 많은 것 같다. Personality-Market-Fit? 

여기까지만 해도 성공적인 유튜버인데 Alex는 여기서 한술 더 뜬다. 본인이 만들고 있는 마케팅 소프트웨어를 소개하면서 왜 이게 필요한지, 어떤 결과를 만들 수 있는지 알려주는 콘텐츠를 올렸다.


HYROS 영업 담당도 있겠지만 매쓰마켓에서 인지도를 쌓고 기꺼이 카메라 앞에 나서서 콘텐츠를 만드는 것만큼 효과적인 세일즈가 있을까? 콘텐츠는 한번 만들면 친구, 팬덤, 오락거리, 명함, 광고, 세일즈맨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퍼지고 3개월 6개월 뒤에도 재방문하게 만드는 최고의 cheat code라고 생각한다.


1300억 엑싯에 콘텐츠와 Alex의 팬덤은 어느정도 기여했을까? 못해도 2할은 기여했다고 본다. 나는 Marketing SaaS를 쓸 일은 없었지만 궁금해서 들어가봤다. 왜? Alex Becker가 한다고 하니까. 이게 정말 파워풀한건데 많은 회사들이 놓치고 있거나 못하고 있다. 90%의 제품과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공산품이다. 사람은 분위기, 감정, 스타일, 성격, 스토리보고 구매하고 사용한다.  


왜 단골 식당에 갈까? 아주머니의 성격이 좋다. 실내 분위기가 편하다. 식당이 왁자지껄하니 사람 사는 맛이 있다.


왜 나이키를 신을까? 마이클 조던은 영웅이다. 운동하고 싶은 욕구가 생긴다. 지인에게 선물받았다.


왜 HYROS가 궁금할까? Alex Becker가 유익한 이야기를 해줬으니까. 콘텐츠가 재밌으니까. 사업이 잘되길 바라니까.



시장과의 Ice Breaking은 진작 끝났고 Alex는 양말을 팔았어도 성공했을거다. 커뮤니티의 힘은 정말 강하다. 콘텐츠가 진정성있고 유익하다면 그 리턴은 10x, 20x가 되어서 돌아온다. 한번 만들고 10배로 돌아오는 투자가 또 어디있을까?


콘텐츠는 그만두지 않는 이상 무조건 이기는 게임이다. CAC 높은 SaaS 시장에서, 광고 비용은 점점 비싸지는 지금 시점에서, 그 위력은 더욱 효과적일거라 생각한다.


토스가 미팅으로 끝낼 수 있는 투자를 FOUND라는 서바이벌 프로그램으로 기획한 이유. Hubspot이 Hustle을 300억에 인수한 이유. Y Combinator가 유튜브를 운영하는 이유. 전부 콘텐츠다. 똑똑한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하고 있으면 다 이유가 있다. 콘텐츠는 필승 전략이니까.



**사랑합니다. 콘텐츠 7개만에 뉴스레터 구독자가 91명이나 생겼네요…감격입니다.


아직도 공오공 뉴스레터 모르는 친구가 있다면 아주 혼쭐내주세요… 3명씩 초대하면 대략 900명 되겠네요. 900명되면 돈복사하고 있는 SaaS 모음을 뉴스레터 구독자에게만 보내드릴게요ㅎㅎ


https://insighter050.substack.com/p/alex-becker-1300-exit-saas


작가의 이전글 맵다매워 5일만에 107억을 만든 Lensa AI.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