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함축된 이미지로 표현하는 이미지 씨어터

공연연출 함께 공부할까요? 12화

 Chapter. 공연연출 입시 함께 공부할까요? 12화 세 줄 정리.

ⓒ 예술도서관 아카데미




✅ 프로시니엄극장위에 올라온 인위적인 환영(illusion), 로버트 윌슨

 가부장적 사회의 함축적 표현, 리 브루어의 <인형의 집>

 무대 위의 시각 마술사, 로베르 르빠주




 Chapter.1  프로시니엄극장 위에 올라온 인위적인 환영(illusion), 로버트 윌슨(Robert Wilson)

ⓒ 공연연출 함께 공부할까요? 12화



출처 : https://ropac.net/ko/artists/91-/


✅ 프로시니엄극장 위에 올라온 인위적인 환영(illusion), 로버트 윌슨


1941년 미국에서 태어나, 뉴욕 아방가르드(전위예술) 연극을 이끈 당대 최고의 연출가

인 로버트 윌슨은 정규 연극교육을 받은 적이 없다. 그는 60년대 뉴욕에서 건축과 미술 등

시각예술과 관련한 퍼포먼스를 통해 예술 활동을 시작했다.


당시 뉴욕은 전형적인 프로시니엄(액자형)극장에서 벗어나 주차장, 갤러리 등에서

평상복 차림으로 퍼포먼스를 펼치는 자연주의, 심리주의 사조가 강했다. 

극장에서 만들어내는 '인공적인 환영(illusion)'에 저항하기 위해서였다.


하지만 그는 다시 프로시니엄 무대로 돌아와 '인공적인 무대 언어'를 

만들어내기 시작했다. 연극에서의 이미지란 내용을 축약시킨 연출적 기호로서

취급되며 그 함축성을 해독하려 애쓰게 된다.

그러나 한 장 한 장 그림을 그려내듯 연출가가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은 예술가의

미적 영역이고 그것을 해석하는 것은 관객의 미적 취향에 근거한다.



<해변의 아인국립아시아문화전당슈타인> 출처 :

로버트 윌슨의 대표작 ① - <해변의 아인슈타인>

1976년 그가 미국의 현대음악 작곡가 필립 글래스와 손잡고 내놓은 오페라 '해변의 아인슈타인'은 그중에서도 기념비적인 작품으로 꼽힌다. 연극의 논리와 이성적 사고의 틀을 벗어나 연극 표현의 영역을 확장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장르는 오페라지만 이야기와 음악, 아리아가 있는 전통적 오페라와는 전혀 다르다.


특별한 이야기나 사건, 논리 없이 '수학적 혁명'을 상징하는 아인슈타인과 관련된 세 가지 이미지들, 즉 기차와 빌딩, 법정과 침대, 야외와 우주가 5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등장하고 변주된다. 음악도 단순한 선율과 리듬을 끊임없이 반복하며, 가사는 1부터 8까지의 숫자와 '도, 레, 미, 파, 솔'의 음계로만 이뤄진다. 배우들의 대사 역시 특별한 의미 없는 단어와 말뿐이다.



<셰익싚어 소네트> 출처 : http://www.dancepostkorea.com/nr/?r=dpk&c=9&uid=394



로버트 윌슨의 대표작 ② - <셰익스피어 소네트>

회화적이면서도 때론 상징적이고 유머러스하면서 저돌적인 이미지들, 긴 시간을 채울 만큼의 장면을 만들어내는 창조력


공연에서 이미지란 너무 방대하게 적용되는 개념이다. 그러나 이미지 연극이라는 범주에서 이미지는 내용을 축약시킨 연출적 기호로서 취급대며 그 합축성을 해독하려 애쓰게 된다. 그러나 한 장 한 장 그림을 그려내듯 연출가가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은 그의 미적 영역이고 해석하는 것 역시 관객의 미적 취향에 근거한다.




❍ Chapter.2   가부장적 사회의 함축적 표현, 리 브루어의 <인형의 집>

ⓒ공연연출 함께 공부할까요? 12화




리 부르어 연출의 <인혀으이 집>


✅ 가부장적 사회의 함축적 표현, 리 브루어의 <인형의 집>


헨릭 입센 <인형의 집> 줄거리

세 아이의 어머니이자 아내인 노라는 천진난만한 성격으로, 남편인 토르발 헬메르(헬머)의 사랑을 받으며 살고 있었다. 그녀는 혼전에는 아버지의 귀여운 딸로, 혼후에는 남편의 사랑스러운 아내이자 아이들의 어머니로 사는 것만을 생각하며 그것이 여자의 행복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던 어느 날, 남편의 부하직원 크로그시타가 찾아온다. 사실 노라는 신혼 시절 남편 헬메르가 중병에 걸렸을 때 치료비가 없자 아버지의 사인을 날조해 차용증을 써서 치료비를 구한 적이 있었다. 크로그시타는 그 사실을 알고 있었는데, 헬메르에 의해 해고될 위기에 처하자 해고되면 이 사실을 남편에게 알리겠다고 소문내러 온 것. 노라는 결국 크로그시타의 해고를 취소해달라고 헬메르에게 요구하나, 사정을 모르는 헬메르는 무시했고 결국 크로그시타는 해고된다.


해고된 크로그시타는 자신이 선언한 대로 노라의 비밀을 헬메르에게 폭로하는 편지를 보낸다. 분노한 헬메르는 당신이 나를 파멸시킬 뻔했다고 소리지르고, 노라는 아이를 키울 자격이 없다며 노라의 양육권을 뺏으려 든다. 그러나 크로그시타가 마음을 고쳐먹고 이 사실을 다른 데 폭로하지 않겠다면서 날조한 증거인 차용증을 도로 보내주자, 헬메르는 손바닥 뒤집듯 태도를 바꿔 노라에게 다시 애정을 보낸다.


노라는 이 해프닝 속에서 남편은 자신을 사랑하지만 동등한 '인간'으로서 사랑한 것이 아니라 한갓 인형이나 애완동물을 대하듯 사랑했으며, 자신이 '인형의 집'에 살고 있었음에 불과하다는 것을 깨닫는다. 결국 노라는 아내이자 어머니로서가 아니라 한 독립된 인간으로서의 자신을 찾기 위해 헬메르의 간곡한 만류에도 불구하고 가족을 떠나며 극이 끝난다.


리 브루어 연출의 <인형의 집>에서의 무대는 소파와 침대 등은 겨우 서너살짜리 유아용에 알맞을 만큼 작다. 가부장적인 사회의 틀 속에서 옴짝달싹 할 수 없는 여성의 상황을 표현했다. 또 남성우월주의를 앞세워 여성을 지배하는 남성들은 신장이 불과 130cm 정도인 왜소증 배우들을 기용했다. 연극에서 노라는 남편 토르발트와 눈 맞추기 위해 무릎을 꿇어야만 한다. 이런 키 차이를 통해 남성의 힘은 결국 가부장적인 사회에서 나온 환상에 역설한다.




 Chapter.3  무대 위의 시각 마술사, 로베르 르빠주 (Rovett Lepage)

ⓒ공연연출 함께 공부할까요? 12화



출처 : Jocelyn Michel



✅ 무대 위의 시각 마술사, 로베르 르빠주

로베르 르빠주는 캐나다 태생의 공연연출가이자 영화감독, 배우이자 극작가인 멀티맨이다.

연극에 영상테크놀로지를 결합해 21세기의 새로운 연극 개념을 탄생한 장본인으로그 공을 인정받아

2002년 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훈장, 2007년 공연예술계 최고 영예인 유럽연극상 등을 수상하며

캐나다의 문화적 위상을 드높인 그는 '이미지 연극의 대가'로 꼽힌다.


르빠주의 이러한 스타일은 자신의 출신에서 비롯되었다. 프랑스어권과 영어권이 교차하는 캐나다 퀘백

출신 예술가들은 문화적으로 미국과 프랑스의 변방이라는 자의식으로 인해 늘 정체성에 몰두했다.

그리하여 르빠주는 언어 텍스트를 배제하고 멀티미디어 이미지 연극을 만들어가기 시작했다.


하지만 '멀티미디어'와 '테크놀로지'를 결합한다고 하여서 절대 인간을 소외시키지 않는다. 기술은 배우의

역할을 확장시키는 도구일 뿐이며 첨단기술과 아날로그 효과를 함께 활용하여 아날로그적인 연극의

재미를 유지한다.


무대 위의 시각 마술사로 불리는 그는 작품의 구상부터 대본 집필, 연출, 무대설계, 연기까지 모두 소화하는 르네상스맨이기도 하다. 해외 언론은 그를 소개할 때 이미 ‘전설’이란 수식어를 붙이고 있다. … 한국 관객들은 당시 첨단 프로젝션과 특수효과를 통해 단순한 무대와 평범한 생활용품들이 순식간에 전혀 색다른 공간과 사물로 탈바꿈하는 것에 감탄했다. 예를 들어 빨래가 돌아가던 둥근 세탁기 창문이 달이 됐다가 금붕어를 담은 어항으로, 우주선 입구로 변신한다. 연극 무대 위에서 그가 펼쳐보인 상상력의 마술은 그동안 경험할 수 없었던 것이다.


출처 : LG아트센터




제작/기획: 예술도서관 아카데미 

글쓴이: YEDO Teaching Artist. SEOB 

매거진의 이전글 극장의 경계 밖으로 향하는 연극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