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세바시랜드 Jan 15. 2024

관계를 유지하는 언어? 읽지만 말고 헤아려보세요.

세바시 조교글 EP.6

혹시 요즘, 인간관계 때문에 힘들지는 않으신가요?

소중한 사람들과의 소중한 관계를 이어 나가기 위해서, 나름대로 노력을 쏟지만, 그만큼 인간관계가 좋게 개선되지는 않는 것 같아요.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정신건강의학과 문요한 교수님은, 그 이유를 ‘태도’에 있다고 말씀하시는데요. 

내가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쏟은 노력은 나의 기준에 맞춘 노력과 배려이기 때문에, 상대방은 나의 노력을 ‘배려’로 느끼지 못해 관계가 개선될 수 없다는 것인데요. 내가 배려를 했다고 한들, 상대방이 내 의도를 알아차리지 못하면 그건 배려라고 말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이런 자기중심적인 노력은, 노력에 대한 변화가 없어 나도 지치고, 노력의 결과를 확인하고 싶어하는 나의 일방적 태도에 상대방 역시 지치게 만들어 모두를 힘든 상황으로 몰아넣을 수 있어요. 


저도 비슷한 경험이 있는데요. 가장 친한 친구와 오랜만에 저녁을 먹기로 한 날, 비가 정말 많이 내렸어요. 그때 친구는 빗길에 넘어져 깁스를 하고 있었는데, 저는 그 친구가 성치 않은 다리로 빗길을 뚫고 약속 장소로 온다는 게 너무 힘들 것 같다고 생각해서 약속을 다른 날로 미루자고 제안했어요. 그런데 왠지 모르게 친구가 기분 상했다는 듯이 답장을 하는 거예요. 저로서는 빗길에서 다친 친구가 폭우를 뚫고 약속 장소로 온다는 게 부담이 될까봐 약속을 미뤘던 건데, 친구는 제가 비 오는 날 밖에 나오기 싫어서 약속을 미뤘다고 생각했던 거였어요. 제 일방적인 배려가 오히려 기분 나쁜 요소로 작용했던 거죠. 


여러분도 비슷한 경험 있으신가요? 많은 분들이 비슷한 상황을 겪어봤을 텐데요.

문요한 교수님의 설명에 따르면, 인간관계에서 우리 마음의 작동 방식은 크게 2가지로 설명할 수 있어요. 상대방의 말과 행동으로 상대방을 판단하는 짐작이나 눈치 등을 말하는 마음 읽기와, 상대방의 말과 행동을 통해 곧바로 떠오르는 판단이나 해석을 보류하고, 맥락을 통해 상대방의 말과 행동의 이유를 이해하려는 마음 헤아리기가 있어요. 


쉽게 표현하면, 마음 읽기는 상대방의 말과 행동만으로 판단을 내리는 것이고, 마음 헤아리기는 조금 더 깊은 이해를 위해 판단을 보류하는 상태예요. 마음 읽기 상태를 ‘지레짐작’과 비슷한 상황이라고 생각해 보니, 마음 헤아리기가 이루어져야 원만한 관계를 맺을 수 있다는 교수님의 말씀에 동의하게 되더라고요! 


그렇다면 마음 헤아리기를 잘하기 위해서는어떻게 해야 할까요?

먼저 상대방의 마음을 잘 모른다는 전제가 필요해요. 너무 역설적인가요? 사실 마음 읽기가 상대방의 말, 행동에 대한 나의 판단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이 판단과 결론이 없어졌을 때 비로소 마음 헤아리기를 시도할 수 있다는 뜻이에요. 내가 상대방에 대해 잘 안다는 ‘착각’을 버리고, 상대방이 원하는 게 무엇인지, 좋아하는 건 무엇인지 등 상대방을 알아가기 위한 질문을 던지는 것도 중요하고요. 


우리 속담 중에 말이란   다르고   다르다는 말이 있죠?

상대방에게 단어 한 끗 차이로도 와닿는 느낌이 다른 것처럼, 억양 하나 차이로도 마음 읽기와 마음 헤아리기 기술을 나눌 수 있어요. 


화가 난 친구를 진정시키기 위해 “너 왜 이렇게 화가 났어?”라는 말을 했을 때, 마음 읽기 상태인지, 마음 헤아리기 상태인지에 따라 문장의 억양도 달라지는데요. 화가 날 상황이 아닌데, 왜 화를 내는지 모르겠다는 뉘앙스와 화가 난 이유에 대해 진심으로 궁금해하고 이해하려는 뉘앙스의 차이, 느껴지시나요? 

전자는 마음 읽기, 후자는 마음 헤아리기의 억양인데요. 단순한 억양 차이일 뿐이지만, 상대방은 정말로 나를 이해하려고 노력한다는 진심을 느끼기 때문에 마음 읽기의 순간보다 마음을 열 가능성이 커질 거예요!


여기까지 읽으셨을 때, 상대방의 말과 행동의 이유를 이해하려는 마음 헤아리기의 방법이 공감과 비슷하다는 걸 눈치채셨을까요? 사실 마음 헤아리기는 공감과 비슷하면서도, 또 다른 측면이 있어요. 공감이 정서에 초점을 맞췄다면, 마음 헤아리기는 정서와 인지, 그리고 자신과 상대방 사이의 균형에도 초점을 맞추어야 해요. 상대방의 마음만을 헤아리며 ‘나’ 자신을 잃게 되는 관계는 바람직한 관계라고 볼 수 없지 않을까요? 


상대방이 원하는 바를 명확하게 표현할 때, 우리도 그에 맞춰 배려해 주고 이해해 줄 수 있는 것처럼, 우리도 스스로의 감정을 알아차리고, 자신의 감정이 담겨있는 욕구를 상대방에게 이야기하며 이해하는 바람직한 관계를 맺을 수 있을 거예요. 


이 글을 본 후, “이제부터 내 마음, 상대방의 마음을 헤아려 봐야지!” 라고 마음 먹으셔도 쉽지만은 않을 거예요! 하지만 어렵다는 걸 인정하고 연습하면서, 작은 관심으로 질문을 던지는 순간 서로의 마음이 열려 마음이 전달되는 순간이 있을 거예요. 바로 그 순간들이 모이면, 어느 순간에는 마음 헤아리기가 나와 너의 관계 안에 자연스레 자리 잡을 수 있지 않을까요? 

매거진의 이전글 작년과 똑같은 계획을 세우지는 않으셨나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