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뉴욕털게 Feb 29. 2024

인생회피 상태(?)

미루기의 늪에 깊이 빠져있던 유학생 시절 어느날이었다. 오피스 책상에 앉아 노래를 틀었는데, 우연히 유학나오기 전에 듣던 노래가 나왔다. ‘아 이 노래!’ 반갑고 기쁜 감정은 찰나로 지나가 버리고, 곧 설명하기 어려운 감정이 몰려들면서 눈물이 났다. 햇볕이 쨍쨍 비치는 오피스 창가에서 혼자 누구에게 설명할 수도 없는 눈물을 흘리며 당황해했다. 이 감정은 뭐였을까? ‘회한’이 가장 가까운 감정이었던 것 같다. 그 때가 슬럼프의 한 가운데였었거든.  


당시 아내와 사이가 엄청 좋았는데, 내 ‘인생회피’가 어느 정도까지 갔었냐면, 결혼기념일에 맘먹고 휴가를 내고 애도 맡기고 맨하탄을 걸어다녔는데, 그 순간을 온전히 즐기지 못했다. 왜? 내 스스로 삶이 제대로 돌아가고 있지 않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즐거움도 마냥 즐거움일 수가 없는 것이었다. 가서 뭐 먹고 웃고 하긴 하는데, 그 안에 나는 없었다. 나에게 펼쳐지고 있는 내 인생이, 내 것이 아닌 것 같은 느낌. 좋은 일이 벌어져도 하하 하면서 내 앞에 영상처럼 지나가는 것이지, 내가 그것을 ‘살아내고’ 있지는 않은 느낌.  


내가 내 삶을 부정하는 것의 가장 큰 비극은, 소소한 즐거움을 느낄 권리를 스스로 박탈해버리고 쪼그라드는 것이다.  


그래서 요즘에 생각하는 것은, ‘나에게 중요한 일들을 처리해서 -> 인생의 문제를 해결한 다음에 -> 소소한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상태로 가겠다’ 라는 도식은 틀렸다는 것이다.  오히려, ‘비록 중요한 일들은 처리되지 않았지만 -> 소소한 즐거움은 내 삶의 정당한 기쁨이므로 당당히 즐기겠다’는 것이 맞는 도식 같다. 왜냐면, 첫 번째 도식에 빠지면, 인생이 펴지는 것이 아니라 쪼그라든다. ‘나는 문제해결에 집중하고 있다’는 태도가 일견 건강하게 보일 수 있지만,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내 인생은 의미가 없다’는 태도로 바뀌는 것은 시간문제기 때문이다. 이건 건강하지 않다. 압박감 때문에 일이 더욱 미뤄진다. 


한 가지 (ex. 취업)에 모든 게 걸려있고, 그게 안되면 의미없는 인생이란 없다. 인생은 취업보다 크다. 인생은 승진보다 크다. 인생은 입시보다 크고, 아파트 사는 것보다 크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