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신대훈 Mar 04. 2024

138

3.4

지금 여기 

 

 

누가 물었다. 최근 어떻게 지냈냐는 말. 나는 돌이켜본다. 분명 무언가에 지긋지긋하게 시달렸던 듯한데, 아무 일도 기억나지 않는다. 모두 휘발되었다. 나는 무엇에 그토록 괴로워했던가. 무엇이 나의 내부에 들끓어서 비정상적으로 긴 산책을 했던가. 불현듯 게걸스럽게 치킨을 뜯었던가. 적의에 가득 차 위스키를 들이부었던가. 아무것도 없었다. 순간 내 머릿속은 완벽히 텅 비어 버렸고, 나는 그 확신에 황홀함을 느낀다. 

기억을 신뢰하지 않을 때마다 나는 존재하였다. 중요한 건 지금 여기 일어나는 일뿐. 그 외 아무것도 없다. 미래를 예상하는 일이 잦을수록 정신은 늙는다. 지금 여기에서 벗어나는 순간을 갈망하면서부터 시간은 지옥이 된다. 느릿느릿하고 지루한 나태의 늪. 몸부림칠수록 더 빨리 가라앉는 일분일초의 흐리멍덩한 세계에서 감각은 퇴화된다. 피곤한 일이다. 삶을 생각하고 상상한다는 건 순간을 폐기시킨다. 그렇게 인간은 비겁해진다. 

왜냐하면 상상이라는 작동의 발원은 무의식에 있다. 고로 미래가 나를 장악한다는 건 내 통제를 벗어난 일이다. 아침에 일어나면 저녁의 나를 상상하고 저녁이 되면 내일의 나를 상상한다. 다음, 또 다음. 그다음에 벌어질 일을 상상한다. 그리고 사실처럼 믿는다. 조심스러워진다. 그 공포가 행위를 제어한다. 문득 다 지겨워져서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그리고 삶이 시궁창 속으로 들어간다. 그 미래 어딘가에 있을 그가 지금의 나를 수시로 호령한다. 그는 온갖 희망과 절망을 지저분하게 남발하고 무책임하게 사라진다. 그 후에는 결국 살아있지만 생기가 없는 낯빛만 남는다. 나는 이 굴레에서 아직 못 벗어났다. 그러므로 아마 한 생 내내 순간을 향유하는 시도를 계속할 듯하다. 

가능한 만큼 미래의 장악에서 분리돼 다시 지금의 나에게로, 이 순간으로 향하는 눈을 가진다. 앞으로 경험하고 실행할 무언가를, 해야 할 일로부터 다가오는 고통을 세세히 느끼지 않는 살결을 가진다. 미래의 기분을 상상하지 않는다. 미래의 나는 지금의 나를 모른다. 끝끝내 모른다. 헛것을 거두고 산다. 숨을 길게 쉰다. 눈앞에 무언가 있다. 손을 뻗는다. 한 발자국을 뗀다. 사라진다. 다시 존재한다. 그다음 일은, 나도 모른다. 

작가의 이전글 137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