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세레꼬레 Mar 21. 2024

노인과 바다

어니스트 헤밍웨이 지음

막연하게 알고 있던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는 엄청나게 진지한 문학피플들만이 읽는 것이라고 생각했었다.

세계문학전집 이런류를 좋아하지도 않고, 또 대놓고 진지하게 문학을 칭송하는 부류도 경계하는 편이며,

게다가 노벨문학상을 받은 작품이라는 것도 괜히 그 권위에 반항하게 만드는 그런 요인이여서 

내가 살면서 이 소설을 읽지는 않을 것이라 생각했었다.

대학입학 수능에서 만나면 만날 수도 있었겠지만, 내게는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었고.


도서관에서 서가를 지나치다가 정말 우연히 발견했는데, 내 생각보다 책의 두께가 너무 얇아서

이건 마치, 그냥 안 읽고 지나치기엔 너무 '쉬운' 기회라는 생각이 불현듯 들어서

그래서 읽게 되었다.


내 예상과 다르게, 무조건 진지하고 노잼일것이라 생각했던 것과는 너무 다르게

생각보다 너무 재미있어서 거의 한 번에 다 읽게 된 소설.


1950년대에 발표한 소설이지만,

약 70여년이 흘러도 인간에게 관통할만한 그런 주제를 지니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모두가 잘 알고 있듯이, 이 소설은 평생 어부로 살아온 한 노인이 

고기를 잡으러 홀로 떠난 여정속에서 우연하게도 길이 5.5미터에 달하는 커다란 황새치를

만나서 사투끝에 그 고기를 잡아서 배에 매달아서 다시 돌아가려 하는데,

이 커다란 황새치의 피냄새를 맡고 오는 상어들의 공격에

처음엔 상어들을 제압하지만, 몇번이고 공격하는 서로 다른 상어들의 공격에 결국에는

커다란 황새치의 모든 고기를 다 빼앗기고 마는 그런 이야기이다.


노인은 결국 너무 진이 빠져서 다시 마을로 돌아오고는, 집에 돌아와 쉼을 청하고

마을 사람들은 이 커다란 황새치의 뼈만 보고서도 놀라움을 금치 못한다는 그런 결말인데.


이 소설에서 제일 좋았던 것은, 내 스스로 노인이 되어 

커다란 고기와 나름의 밀당을 통해서 대치하다가 결국 고기를 포획하고

그러다가 상어들에게 뺐기고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을 생생하게 직접 겪은 기분이 드는 것이

가장 좋았다. 이 짧은 소설에서 많은 은유를 통해서 표현된 것들이지만

각각의 인생이라는 것도 개별적인 각각의 항해와 같고 포기하는 순간 그저 멈춘채 부유하는 것만이 남게 되고

맞서 싸우는 순간 1mm라도 앞으로 나아갈 수 있음이,비록 상어에게 뜯기는 순간이 온다 하더라도 

어쨋든 그 나아감이 나를 지탱하게 한다는 것이다. 


만족이라는 건 각각의 기준이 모두 다르다.

세속적인 기준이 지배적인 사람들도 있을 것이고

아님 자신만의 독특한 언어로서 정의한 그런 기준들이 있을 것인데,

인생 속에서 그 기준을 하나하나 맞추어 갈 수  있다면 그 누구보다 본인은 행복함을 느끼게 되겠지.


남의 평가 라는걸 떠나서, 스스로의 기준속에서 조금이라도 희망을 가지고 

삶의 순간을 즐길수 있다면,

삶의 순간에 충실할 수 있다면

그것이 성공한 인생이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든다.

스스로가 생각하는 성공이라는 것이 이렇게 자신만의  언어로서 제대로 기준이 잡혀져 있을때,

비로소 편안히 사자꿈(결말에서 노인은 사자꿈을 꾼다)을 꿀 수 있는 것.



매거진의 이전글 마시지 않을 수 없는 밤이니까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