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고래 Feb 23. 2020

글쓰기 1

글을 왜 썼더라


습관이 행동이 되고 인격이 된다, 그 인격은 인생이 된다.


이런 말을 들었다. 나에게 이 말이 꽤 무섭게 다가왔다. 내게 규칙적인 습관이 많지 않기에.

그래서 올해 다짐 중 글을 쓰는 습관을 만들어보고자 글 쓰는 요일을 정했다. 목요일로.(허나 오늘은 일요일)

오늘만 목요일에 못 쓴 글을 쓰고 다음 주부터는 꼭 목요일마다 글을 쓰리라!


글쓰기, 내게는 고마운 일이었다.


글을 쓰기로 다짐한 건, 아니 정확히 말하자면 '삶을 기록하자' 하고 다짐한 건

2018년  Meisner Technique Acting workshop 이후부터다.

그 날, 워크숍 멘토인 선생님은 자유 주제로 자신에 대하여 써오라고 했다.

집에 돌아와 펜을 쥐었지만 글은 안 써지고 생각만 많아졌다.

'이걸 왜 쓰라는 거지, 또 왜 연필로 적으라는 거야.... 사실을 어느 정도까지 써야 하지, 잘 써야지, 아니야, 아아아아 내가 나에 대해 하고 싶은 말이 뭔데...'

뭘 써야 할지 막연했다.


주제를 다시 곱씹었다.

'자신에 대하여'

내가 어떻게 지금까지 살아왔지 생각을 하다가, 할머니가 생각이 났다.

할머니가 재작년에 돌아가셨던 때라 할머니의 얼굴이 묻어 있는 내 삶에 대해 적고 싶어 졌다.

글감은 정해졌으나 뭐부터 써야 할지 몰라서 일단은 쓰기 시작했다.

내가 어린아이 일 적 할머니의 손을 잡은 때부터, 나보다 키도 작아지고 걸음도 느려져 아이같이 약해져 갔던 할머니의 모습들 까지,  그 순간들을 빼곡히 적어 내려갔다.


글은 신기하게도 나를 기억 속으로 끌고 들어 갔다.

마주하고 싶지 않았던 나의 외로웠던 어린 시절과 난 사랑받지 못했다 믿고 구석에 박아둔 기억 저 멀리서

할머니의 의외의 행동들이 발견되었다. 그 행동 속에서 할머니가 나를 사랑하고 계셨음이 재차 확인이 되는 것이다.

할머니에 대한 연민과 추억에 젖은 감상만이 다 가 아니었다.

할머니가 남긴 수십 통의 부재중 전화 같은 그냥 평범한 삶 속에서 내가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던 모습들이었다.

그런 평범한 순간들이 사진처럼 떠오를 때마다 그 속에는 사랑이 있었다.

실제로 사진으로 남겨 두지 않았단 게 애석했다.

머릿속에 찍어둔 모습들을 서둘러 글로 옮겨 적었다.

후회되고 후회됐다.

사람은 사진으로든, 글이 로든 꼭 남겨야 하는구나.


글을 거듭 수정하고 매듭짓고 나서야 느꼈다.

다행이라고.

글을 쓰지 않았다면 마주치지 못했을 감사함이었다.

아주 오랫동안 외면해왔던 사실들을 글은 내게 묵묵하게 전해주고 있었다.

'너 사랑받고 있었어'라고.


그렇게 내 글쓰기의 기원은 후회에서 비롯되었지만 기록에 대한 절실함과 감사함을 간절히 느꼈다.

나는 아직 글을 잘 못쓰지만  삶의 평범한 날들을 적어 남기는 글을 쓰고 싶다.

마음은 굴뚝같지만 꾸준히 쓰지 못하는 내 습관을 고쳐 글 쓰는 습관을 만들어 나가고 싶다.


글쓰기 습관이 어떻게 좋은 인격과 삶을 가져다 줄지 잘 모르겠지만, 난 감히 예상해본다.

기필코 감사하고 좋을 것이라고.


작가의 이전글 인스타그램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