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ES Jun 01. 2021

좀비 유니콘이 되어보자

스타트업 이해하기(1)

시작하며


 회계사로 일하면서 스타트업의 가치평가는 항상 궁금한 주제였다. 많은 기업들이 그들의 기업가치와 투자금액을 자랑하고 있지만 재무적 관점에서 바라보았을 때 그 숫자에 대해서 많은 의문이 들었기 때문이다. 기업가치 측정의 근본적인 원리는 [DCF모형 = "미래의 기대 현금흐름"을 현재가치로 환산] 함으로써 평가된다는 것이 가장 기본이지만, 이제 막 시작하여 충분한 수익을 창출하지 못하는 기업에서 미래 현금흐름을 예측하기 위한 근거가 부족하여 DCF모형으로는 그 가치를 도출해 내기 어렵다.


DCF 모형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렇다면 대체 이들의 기업가치는 무엇으로 설명되는가?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서는 IT 스타트업이 성장하면서 아래와 같이 가치를 평가받아는 과정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창업 시 - 멤버 수 * X억 원

성장기 - 유저수 * N만원

안정기 - 매출액 * n배

성숙기 - PER

M&A, IPO - DCF


 즉, "창업을 위해서는 사람(팀)이 필요하며, 성장을 위해서는 유저를 확보해야 하며, 안정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매출을 일으켜야 하며, 성공적인 EXIT을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이익이 나야 한다."는 것을 각 단계별 평가 방법론이 말해주고 있다. 이러한 평가가 있지 않다면 초기 기업이 자금조달을 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명확한 근거가 없는 상황에서 업계가 나름의 경험에 의해 정립한 합리적인 방법일 수 있다. 이런 고리타분한 이야기를 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 글을 시작하는 이유는 이렇게 평가받은 기업가치의 적정성에 대해 위화감이 들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위화감의 원인은 1. 공개시장과 비공개 시장에서 유사한 기업가치로 평가되는 기업 간 재무실적에 많은 차이가 있으며, 2. 외부에서 평가받는 것과 다르게 운영 관점에서 큰 괴리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외형과 실질의 차이가 어떻게 발생하고 유지되는지에 대해 이해하고, 괴리가 커진 기업에서 발생하는 문제점, 그리고 궁극적으로 이러한 문제점들을 어떻게 해소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이야기를 풀어가보자 한다.


 모든 사람들이 스타트업을 경험할 수는 없으니, 이 글을 통해서 가상의 좀비 유니콘이 되어보자.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