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클로이 Dec 04. 2024

순서에서 동공지진 한 방

<18강-1> 순서의 정석

수능 킬러 문항의 양대 산맥, 순서와 문장삽입 차례이다. 


순서부터 가보자.  


정말로, 만만치 않은 녀석들이 온다!!


흐름과 무관한 문장 고르기 문제가 Lv 1.이라면, 순서는 Lv 2, 문장 삽입 문제는 Lv. 3 정도로 보시면 될 것 같다.

(개인 별로 순서와 문장 삽입 문제는 차이는 있을 수 있겠다)


하지만 세 문제 유형 전부 다 <문장 간의 연결성>이 문제의 포인트라는 점에서 큰 틀에서는 같은 유형이다.



<문제 패턴>

1. 순서 문제부터 빈칸 문제만큼, 혹은 더 까다로운 지문이 나온다. 

2. 순서 문제는 주어진 문단을 읽고 (A), (B), (C)의 각 문단과 가장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문단을 찾는 문제이다. 

3. 이 과정에서 문장과 문장이 잘 연결되어 있는지 연결성에 유의하며 문제를 풀면 된다.
순서만 찾으면 되어서 쉬운 것 같지만 생각보다 어렵다.

4. 다음과 같이 세 가지 문제 패턴이 있다.

A. 정석대로 풀리는 경우
B. 첫 문단은 찾기 쉬운데 그 뒤가 잘 안 풀리는 경우
C. 첫 문단부터 찾기 어려운 경우


<해결 전략>

1. 주어진 문단을 읽고 키워드를 잘 정리한다. (특히 마지막 문장)

2. <흐름과 무관한 문장 고르기> 문제처럼 문장 간의 연결성에 유의한다. 연결성 판단은 주로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a. 연결사
b. 지시대명사/관사
c. 동어반복/패러프레이징
d. a-c 해당 없이 내용상 해석

3. 1번 선지의 (A)-(C)-(B)는 답이 될 확률이 매우 낮다고 보면 된다. 


A. 정석대로 풀리는 경우

<2022학년도 36번 문제>

According to the market response model, it is increasing prices that drive providers to search for new sources, innovators to substitute, consumers to conserve, and alternatives to emerge.


(A) Many examples of such “green taxes” exist. Facing landfill costs, labor expenses, and related costs in the provision of garbage disposal, for example, some cities have required households to dispose of all waste in special trash bags, purchased by consumers themselves, and often costing a dollar or more each.

(B) Taxing certain goods or services, and so increasing prices, should result in either decreased use of these resources or creative innovation of new sources or options. The money raised through the tax can be used directly by the government either to supply services or to search for alternatives.

(C) The results have been greatly increased recycling and more careful attention by consumers to packaging and waste. By internalizing the costs of trash to consumers, there has been an observed decrease in the flow of garbage from households.


(시장 반응 모델에 따르면, 공급자는 새로운 공급원을 찾고, 혁신가는 대체하고, 소비자는 보존하고, 대안을 등장시키는 것은 가격 상승이다. (A) 이러한 "녹색세"의 많은 예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쓰레기 처리 비용, 인건비 및 관련 비용에 직면하여 일부 도시에서는 가정에서 모든 쓰레기를 소비자가 직접 구입한 특수 쓰레기봉투에 처리하도록 요구했으며 종종 한 개당 1달러 이상의 비용이 듭니다.(B) 특정 재화나 용역에 세금을 부과하여 가격을 인상하는 것은 이러한 자원의 사용을 줄이거나 새로운 원천이나 선택의 창조적 혁신을 초래해야 한다. 세금을 통해 거둬들인 돈은 정부가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대안을 찾는 데 사용할 수 있다.(C) 그 결과 재활용률이 크게 증가하고 소비자가 포장 및 폐기물에 더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쓰레기가 소비자에게 지불하는 비용을 내부화함으로써 가정에서 쓰레기의 흐름이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① (A) - (C) - (B)

② (B) - (A) - (C)

③ (B) - (C) - (A)

④ (C) - (A) - (B)

⑤ (C) - (B) - (A)


1. 주어진 문장을 해석해 봅니다. According to the market response model, it is increasing prices that drive providers to search for new sources, innovators to substitute, consumers to conserve, and alternatives to emerge. -> 시장 반응 모델에 따르면, 공급자는 새로운 공급원을 찾고, 혁신가는 대체하고, 소비자는 보존하고, 대안을 등장시키는 것은 가격 상승입니다. -> 키워드를 찾자면, '가격 상승'이다. 가격상승이 일어나면 따라오는 결과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2. 각 문단의 문두를 한 번 살펴보자. 


(A) Many examples of such “green taxes” exist. 

-> such가 나오면 무조건 앞에 해당하는 명사가 나와줘야 한다. 그런데, 주어진 문단에서는 'green taxes'를 받을만한 게 없다. 아니다. 


(B) Taxing certain goods or services, and so increasing prices, should result in either decreased use of these resources or creative innovation of new sources or options.

-> 특정 재화나 용역에 세금을 부과하여 가격을 인상하는 것은 이러한 자원의 사용을 줄이거나 새로운 원천이나 선택의 창조적 혁신을 초래해야 한다. -> 주어진 문단의 키워드인 '가격을 인상하는 것(increaing prices'는 단어가 있으므로 내용이 이어진다. 


(C) The results have been greatly increased recycling and more careful attention by consumers to packaging and waste. -> 그 결과 재활용률이 크게 증가하고 소비자가 포장 및 폐기물에 더 세심한 주의를 기울인다. -> 재활용률이 증가하고 소비자가 더 세심하게 주의를 기울이게 할 만한 사건이 앞에 없다. 즉, (B)가 온다고 쉽게 결론이 난다. 


3. (B)로 가보자.


(B) Taxing certain goods or services, and so increasing prices, should result in either decreased use of these resources or creative innovation of new sources or options. The money raised through the tax can be used directly by the government either to supply services or to search for alternatives.

-> 특정 재화나 용역에 세금을 부과하여 가격을 인상하는 것은 이러한 자원의 사용을 줄이거나 새로운 원천이나 선택의 창조적 혁신을 초래해야 한다. 세금을 통해 거둬들인 돈은 정부가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대안을 찾는 데 사용할 수 있다.


-> 이제 좀 쉬워진다.(B)의 마지막 문장에 보시면, 'the tax'라는 단어가 나오는데, 이는 (C)의 'green taxes'와 일치한다. 내용을 정리하자면, 가격인상은 세금 부과로 발생하며, 세금을 통해 거둔 돈은 정부가 활용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4. 

(A) Many examples of such “green taxes” exist. Facing landfill costs, labor expenses, and related costs in the provision of garbage disposal, for example, some cities have required households to dispose of all waste in special trash bags, purchased by consumers themselves, and often costing a dollar or more each.


-> (A)에서는 (B)에서의 세금을 "녹색세"로 표현하고 있다. 녹색세의 예로는, 가정에서 모든 쓰레기를 소비자가 직접 구입한 특수 쓰레기봉투에 처리하도록 요구하는 것 등이 있다. 그리고 이어지는 (C)를 한 번 보자.


5. (C) The results have been greatly increased recycling and more careful attention by consumers to packaging and waste. By internalizing the costs of trash to consumers, there has been an observed decrease in the flow of garbage from households.

-> 다시 (C)를 보면, (A)에서 쓰레기봉투를 구매하여 정부가 국민들로부터 '녹색세'을 거두어들였기 때문에, 재활용률이 증가하고 소비자가 포장과 쓰레기등에 더 주의를 기울이게 하는 'the results'가 발생하였다. 원인-결과로 이어지는 흐름이다. 



똑같이 A. 정석대로 풀리는 경우지만 살짝 더 어려운 문제이다. 


<2021학년도 36번 문제>

The objective of battle, to “throw” the enemy and to make him defenseless, may temporarily blind commanders and even strategists to the larger purpose of war. War is never an isolated act, nor is it ever only one decision.


(A) To be political, a political entity or a representative of a political entity, whatever its constitutional form, has to have an intention, a will. That intention has to be clearly expressed.

(B) In the real world, war’s larger purpose is always a political purpose. It transcends the use of force. This insight was famously captured by Clausewitz’s most famous phrase, “War is a mere continuation of politics by other means.”

(C) And one side’s will has to be transmitted to the enemy at some point during the confrontation (it does not have to be publicly communicated). A violent act and its larger political intention must also be attributed to one side at some point during the confrontation. History does not know of acts of war without eventual attribution.

* entity: 실체 ** transcend: 초월하다


(적을 "던져" 무방비 상태로 만드는 것이 전투의 목적은 일시적으로 사령관과 전략가들로 하여금 전쟁의 더 큰 목적을 못하게 할 수 있다. 전쟁은 결코 고립된 행위가 아니며, 단 한 번의 결정만으로도 결코 일어나지 않는다.(A) 정치적이기 위해서는, 정치적 실체 또는 정치 단체의 대표자는, 그 헌법적 형태가 무엇이든 간에, 의도, 의지를 가져야 한다. 그 의도가 명확하게 표현되어야 합니다.(B) 현실 세계에서, 전쟁의 더 큰 목적은 언제나 정치적 목적이다. 그것은 무력의 사용을 초월합니다. 이러한 통찰은 클라우제비츠의 가장 유명한 문구인 "전쟁은 다른 수단에 의한 정치의 단순한 연속이다"에 잘 나타나 있다.(C) 그리고 한쪽의 의지는 대결 중 어느 시점에 적에게 전달되어야 한다(공개적으로 전달될 필요는 없다). 폭력 행위와 그 더 큰 정치적 의도는 대결 중 어느 시점에서 한쪽에 기인해야 합니다. 역사는 전쟁 행위에 대한 궁극적인 귀속이 없다는 것을 알지 못한다.)


① (A) - (C) - (B)

② (B) - (A) - (C)

③ (B) - (C) - (A)

④ (C) - (A) - (B)

⑤ (C) - (B) - (A)


1. 주어진 문단을 먼저 정리해 본다. 

The objective of battle, to “throw” the enemy and to make him defenseless, may temporarily blind commanders and even strategists to the larger purpose of war. 

-> 적을 던져버리고 적을 무력하게 만든다는 전투의 목표는 일시적으로 지휘관, 심지어는 전략가까지도 전쟁의 더 큰 목적을 보지 못하게 할 수도 있다.


*blind a to b: a가 b에 대해 눈멀게 하다(=분별력이나 판단력을 잃게 하다)


War is never an isolated act, nor is it ever only one decision.

-> 전쟁은 절대 독립된 행동이 아니며, 오직 한 번의 결정도 아니다.

주어진 문단의 내용을 정리해 보자. (순서나 문장 삽입 문제는 더욱더 주어진 문단이나 문장을 나의 언어로 패러프레이징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A. 적을 던져버리는 전투(=전쟁)의 목표는 지휘관이나 전략가들조차 '더 큰 목적'을 보지 못하게 한다. 

-> 작은 목적(적을 던져버리고 무력화시키는 목적) 보다 더 큰 목적이 있다는 것이다.

B. 그리고 전쟁은 독립된 행동이 아니고 한 번의 결정이 아니라는 부분에서, 다양한 결정이 이루어지는 복합적인 행위라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이렇게 단순 직역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해석을 하여 그 안에 담긴 의미까지 유추를 해야 하는데 복잡하게 생각하기보다는 영어를 한국어로 크게 초벌 번역(?)을 한 뒤, 의미를 반대로 뒤집어서 문장 속의 숨겨진 의도를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숨겨진 의도를 유추한다는 것이 대단한 능력?을 요구하는 것이 전혀 아니다. 영어 지문은 대체로 대조가 많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첫 번째 문장에서처럼 더 큰 목적이 있으면 더 작은 목적은 뭘까? 이렇게 생각을 해보시고, 독립되거나 한 번의 결정이 아니라면 무슨 말일까?


이렇게 <이분법적으로만 사고>를 하시면 된다. 


<이분법적인 사고>를 하면서 '직역'이 아닌 문제에 맞게, 나의 수준에 맞게 적당히 '의역'하는 것이 영어 문제를 잘 이해하고 푸는 지름길이다.


자, 각설하고, 전쟁에는 더 큰 목적이 있으며 여러 번의 결정이 필요한 복합적인 행위라는 문장에 이어지는 문장을 찾아보자.


2.  문단 (A)부터 본다.

 

(A) To be political, a political entity or a representative of a political entity, whatever its constitutional form, has to have an intention, a will. That intention has to be clearly expressed.


-> 정치적이기 위해서 정치적 독립체나 정치적 독립체의 대표자는 체제상의 형태가 무엇이든지, 의도, 즉 의지를 가져야 한다. 그 의도는 분명히 표현되어야 한다. 


3. 내용이 주어진 문장과 그다지 큰 연관은 없어 보인다. B로 가보자.


(B) In the real world, war’s larger purpose is always a political purpose. It transcends the use of force. This insight was famously captured by Clausewitz’s most famous phrase, “War is a mere continuation of politics by other means.”

-> 벌써 눈에 띄는 단어가 보이지 않는가? 'War's larger purpose'가 방금 정리한 마지막 문장과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한번 읽어보자. 현실 세계에서는 전쟁의 더 큰 목적은 항상 정치적 목적이다. 그것은 물리력의 사용을 초월한다. 

-> 주어진 문단과 연결하면, 주어진 문단에서 언급한 단순히 적을 무찌르는 전쟁의 작은 목표보다는 '정치'라는 더 큰 목적이 있다는 것이다. C만 잠깐 점검해 보고 확정을 지어보자.


(C) And one side’s will has to be transmitted to the enemy at some point during the confrontation (it does not have to be publicly communicated). A violent act and its larger political intention must also be attributed to one side at some point during the confrontation. History does not know of acts of war without eventual attribution.


-> 앞부분만 보자. 그리고 한쪽의 의지는 대치하는 동안 어느 시점에 상대에게 전달되어야 한다.(=그것이 공개적으로 전달될 필요는 없다) 음.. 문단을 봤을 때, 'will'이라는 단어가 오히려 (A)의 'will'과 연결된다. 최종적으로 (B)가 먼저 오는 것이 맞다.


4. 이제 하나만 더 찾으면 되는 것 같다. (B)의 뒤에 올 문단은 무엇일까?

(B) In the real world, war’s larger purpose is always a political purpose. It transcends the use of force. This insight was famously captured by Clausewitz’s most famous phrase, “War is a mere continuation of politics by other means.” 


->  full로 해석해 보자. 현실 세계에서는 전쟁의 더 큰 목적은 항상 정치적 목적이다. 그것은 물리력의 사용을 초월한다. 이러한 통찰력은 "전쟁의 다른 수단으로 단지 정치를 계속하는 것에 불과하다"라고 한 Clausewitz의 가장 유명한 한마디에 의해 멋지게 포착되었다. 


-> 다른 말로 하면, 전쟁의 목적은 앞의 문맥을 참고하면 '적을 무찌르기 위한 것이 아니라' 정치적인 목적이라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두 번째 문장은 '인용'이기 때문에, 반복이니 크게 의미를 부여하지 않아도 된다.


-> (A)와 (C)의 문두를 봤을 때, (B)의 키워드가 'political purpose'기 때문에 당연히 To be political, a political entity or a representative of a political entity로 시작되는 (A)가 와야 내용이 이어진다.


5. 그리고 (A)의 will이 아까 언급했듯이, (C)로 이어지기 때문에 정답은 ② (B)-(A)-(C)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