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몽스 Oct 14. 2020

[리뷰]코로나 시대에『팬데믹: 여섯 개의 세계』를 읽고

SF소설로 팬데믹 읽기


 문학이 지닌 시의성은 만들어진 세계를 통해 읽는 이로 하여금 현실을 돌아보게 한다.


『팬데믹: 여섯 개의 세계』에선 김초엽, 듀나를 포함한 6명의 작가가 6편의 SF소설을 통해 팬데믹에 처한 우리 사회가 느끼는 이질감, 단절감,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풀어낸다.


 코로나19는 순식간에 우리의 일상에 침투하여 많은 것을 앗아갔고, 지금에 이르러선 우리의 일상 자체가 되었다. 세정제를 사용하여 건조해진 우리의 손, 물아일체가 된 마스크가 그것을 증명한다. 확진자 수가 줄어들며 끝날 듯 보이던 코로나19는 우리에게 일상으로의 복귀라는 달콤한 꿈을 안겨줬다. 그러나 2차 유행기에 접어들며 각종 시설이 폐쇄되고 거리두기가 강화되며 일상으로의 복귀는 꿈으로만 남게 되었다.





#「최후의 라이오니」 _김초엽

 

 어떠한 이유로 멸망한 행성을 탐사하는 도중 만난 로봇들을 통해 해당 행성의 멸망 이유와 로봇이 기다리고 있는 라이오니라는 존재에 대해 들으며 자신의 정체성을 찾는 ‘나’의 이야기이다. 작품 속 행성의 멸망 이유인 전염병과 우리가 겪고 있는 코로나19는 동일시되기엔 무리가 있지만, 앞으로도 다양한 전염병과 마주하게 될 우리 사회에 명확한 위기의식을 전달한다. 멸망한 행성 속 문명이 어느 미래엔 우리가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죽은 고래에서 온 사람들」 _듀나 작가


 물에 잠긴 행성에서 문명을 이어가기 위해 고래 무리의 등 위에서 살아가는 이들의 이야기이다. 고래 무리의 등 위에서 살아감은 인간의 끈질긴 생명력을 나타냄과 동시에 인간은 어쩔 수 없이 자연에 기대어 살아가야 한다는 메시지를 남긴다. 인간을 위협하는 전염병이 연이어 발생하는 것은 기존의 자연을 폭력적으로 다룬 인간의 업보이다. 코로나19를 기점으로, 인간은 자연과 더불어 지내며, 어쩔 수 없이 발생하는 질병에 대비할 줄 아는 태도를 보여야만 할 것이다.



#「미정의 상자」 _정소연


 코로나19의 현시점을 한 연인의 모습으로 보여준다. 소중한 사람을 코로나19로 잃게 된다는, 상상도 하기 싫은 가정을 소설로나마 보게 되니 기사보다 현실 직시가 잘 되는 기분이다. 암울한 주제를 다뤘기에 잃은 후 끝 맛이 텁텁한 건 어쩔 수 없는 듯하다.



#「그 상자」 _김이환


 전염병으로 마비된 사회 속 자원봉사자들의 희생과 구했어야 하는 이를 구하지 못했을 때의 처절한 심경을 소설로 그려낸다. 작품 속 자원봉사자와 코로나19를 이겨내기 위해 희생하는 의료업계 종사자의 모습이 겹쳐 보이는 것은 나만의 착각이 아니리라 본다. 너무나 익숙해진 나머지 이들의 희생을 사회가 소홀히 여기게 되는 지경에 이르지 않기를 바라게 하는 글이다.



#「차카타파의 열망으로」 _배명훈 작가


 격음과 파열음이 사라져버린 한국의 미래를 보여준다. 작품 자체에도 격음과 파열음이 거의 없으며 발음이 사라진 미래라는 발상은 재밌고 신선하다. 더불어 코로나19 이전엔 자연스러웠던 사람과 사람의 오프라인 만남이 사라져버린 현재 겸 미래를 보여준다. 일상이 그리워지는 순간은 언제나 불쑥 생기지만 무의식에선 언제나 코로나19 이전의 복작복작하고 정겨운 일상을 원하고 있음을 느꼈다.



#「벌레 폭풍」 _이종산


 기후변화로 벌레 폭풍이 일상이 되었음에도 이를 뚫고 연인을 만나러 가는 포포의 이야기이다.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시스템의 발전은 개인이 사회로부터 단절되었다는 느낌을 조금이나마 줄여줬다. 그런데도 사람이 사람을 만나고 싶다는 욕구는 쉽사리 해소되지 않는다. 작품 속 스크린을 통한 영상통화와 온라인 산책이 현재에도 가능하다면 코로나 블루를 겪는 이가 분명 줄어들 것이지만, 결국 연인을 만나러 가는 포포처럼 우린 대면을 원한다.





 SF소설 속 디스토피아는 우리가 나아가지 말아야 할 미래의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올바른 미래로 우릴 안내한다.


 팬데믹 사회를 SF소설로 풀어냄은 현실과 소설의 거리를 넓혀주어 읽는 이가 느끼는 심적 불편을 줄여주지만, 코로나19란 팬데믹을 겪고 있는 우린 SF 속 모든 디스토피아를 코로나19로 대입하는 상황에 마주한다. 이를 통해 기후위기의 심각성과 사람 간 대면의 소중함을 알게 되고 현실을 돌아보게 된다. 결국『팬데믹: 여섯 개의 세계』는 문학 속 시의성이 독자와 사회에 작용하는 긍정적 효과를 시의적절하게 보여줬다.


 끝으로 「미정의 상자」 속 인용문이자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의 브리핑 중 나온 문장으로 마친다.





"만약 정말로 힘든 상황이 온다면 시계를 되돌리고 싶을 순간이 바로 오늘일 것입니다."


-2020. 8. 25. 14:23,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6743956


매거진의 이전글 [리뷰] 『우리는 왜 한나 아렌트를 읽는가』를 읽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