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매거진CHOI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최우진 Jul 11. 2021

칭찬을 칭찬으로 받아들이게 되다.


나는 칭찬에 굉장히 어색한 사람이었다. 


칭찬 중에서도 특히 나를 향한 칭찬은 어떻게 반응해야 할지 감을 잡을 수 없었다. 칭찬을 들었을 때 머리가 굳고 어떻게 반응해야 할지 몰라 멍 때리는 것은 물론 심할 때는 칭찬을 못 들은 척하기도 했다. 당연하게도 이런 행동은 불필요한 갈등 상황을 많이 만들었고 안 그래도 땅을 치던 자존감은 더 깊은 구덩이로 빠져들었다.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한마디면 충분할 칭찬에 왜 그리도 힘들어했을까? 가장 큰 원인은 나 자신을 바라보는 시각에 있었다.


'이게 칭찬받을 일이라고?' , '완벽하게 하지 못한 일인데 이게 잘한 건가?' 등등 부족함을 확대 해석하고, 성취는 평가절하하는 자존감이 하락한 사람의 전형적인 모습이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그 당시 내가 가진 내 이상적인 모습은 '타인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사람'이었다. 


나 자신도 아끼는 방법을 모르는 상태에서 타인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사람이라니, 이상과 현실의 괴리 속에 나 자신을 향한 부정은 점점 심해져갔지만.. 이런 시기에도 끝은 있었고, 그 시점을 계기로 스스로에 대한 내 인식은 부정적 순환을 끝내고 긍정적인 모습으로 서서히 바뀌기 시작했다. 




입버릇처럼 내뱉던 자기부정적 언어에 화가 났는지 여자 친구가 참다못하고 소리를 질렀다. 


"앞으로 어디 가서 부족한 사람이지만 어쩌고 하기만 해 봐 그날로 끝이야. 난 그럼 부족한 인간이랑 5년을 만난 사람이냐?" (순한 맛 버전)


단번에 벗어나진 못했다. 그때마다 폭풍처럼 밀려오는 분노를 맞이해야 했고 한 번이 되고 두 번이 되니 의식적 노력을 하게 되었다. 때로는 격정적인 피드백은 정말 강력한 도움이 된다. 여자 친구의 폭풍 같은 분노의 외침은 나 자신에 대한 인식을 서서히 확장시켜나갔다.


'이상적인 나와 대비되는 나'에서 '오늘 하루 일정 분량의 성취를 해낸 나'를 발견할 수 있었고, 그 이후엔 '여자 친구를 비롯한 주위 사람들에게 믿음을 얻고 있는 나'를 발견할 수 있었다. 


부족한 상태의 나, 동시에 누군가의 신뢰를 얻는 나 모두 나를 구성하는 모습으로 인정하고 부정적 언어습관을 의식적으로 줄여나가는 연습을 하니 구부정하게 땅만 보고 다니던 태도도 서서히 바뀌기 시작했다. 


자존감은 칭찬을 주고받을 때, 애정이나 고마움 같은 감정을 표현할 때 드러난다. 자존감은 비판을 받아들이는 열린 태도나 자신의 실수를 편안하게 인정하는 마음에서 드러난다. 자존감은 '완벽한 존재'의 이미지와는 무관하기 때문이다. 
<자존감의 여섯 기둥>


낮은 자존감은 나를 향한 모든 시선을 부정적으로 해석하게 만들었지만 자존감을 회복할 수 있는 습관을 하나둘 만들어나가니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도 달라졌다. 가장 처음 만든 습관은 일종의 '감사일기'였다. 


'나는 오늘 AAA를 해낸 나 자신을 칭찬한다.', '나는 오늘 BBB를 해낸 **을 칭찬한다.'


라는 두 가지 문장으로 하루를 마무리했는데 이 감사일기를 통해 크게 2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먼저 첫 번째로는, 나 자신에 대한 자기 효능감이다. 부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던 나는 매일 실패하는 사람이었지만 성취를 기록하고 칭찬하다 보니 적은 양이더라도 매일매일 무언가 남기는 게 있었다. 두 번째로는, 완벽한 사람은 없다는 사실이다. 완벽하다고 생각한 사람도 쉬어가는 날이 있고, 그 사람 또한 나와 마찬가지로 고민하며 힘겹게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사람이었다. 


'완벽한 사람', '실수하지 않는 사람'에 대한 생각이 깨지고 나니 나 자신을 훨씬 너그럽게 받아들일 수 있었다. 




여자 친구의 첫 분노의 외침이 있은지 5년 정도 된 것 같다. 그 시간 동안 여자 친구는 아내가 되었고 자존감을 쌓고 나 자신과 가족을 책임질 수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한 실천과 노력은 지속적으로 진행 중이다. 


아직 원하는 결과에 도달하지는 못했지만 그동안 노력한 나 자신을 칭찬해 주고 싶다. 포기하지 않고 열심히 잘 달려와줬다고. 앞으로도 더 열심히 살아보자고 다시 한번 다짐해본다.  그리고 이 변화의 계기를 만들어 준 아내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최고의 멘토는 누구일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