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yoga and story Apr 09. 2021

학교는 가야겠는데.. 우리나라에 그런 학교가 있을까?

자퇴 후 펼쳐진 삶 (8)


고등학교 자퇴 후 2년 동안 펼쳐진 삶.

학교를 왜 가야 하는지를 깨달어요.


하지만, 이번에는 기준이 달랐요.

명문학교, 사람들이 제일 알아주는 학?

가면 좋기야 하겠지만, 더 이상 간절하지 않죠.


그런 곳이라면

열등감이나 공허함을 느낄 수 있겠다 싶었요.


그리고 무엇보다, 대다수가 '높은 성적'이라는 단일한 목표를 향해 가는 곳에선 또 괴리감을 느낄 것 같았거든요.



수능 점수로 가는 곳이라면 안 되겠구나.


'수능이라는 단일한 잣대 말고,

다양한 삶을, 인정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학교 없을까?'


문득 상상했어요. 19살 여름쯤이었을 거요.


하지만 기대는 하지 않았어요. 과연 그런 대학교가 우리나라에 존재할 거라고 믿지 못거든요.








어떤 계기, 어떤 통로였을까.


구체적인 방법은 잘 떠오르지 않는데

결국, 찾아냈어요.




입시  전형 자체에서

능 점수가 아 지원자의 생각을 궁금해하는 곳.


교수라는 호칭이 없고

선생님이라고만 부르는 곳.


사회에 그대로 순응하지 않고

문제의식을 가져도 되는 곳.


나 자신에 대해서

마음껏 탐구할 수 있는 곳.



입학하는 과정 자체도, 그 학교에서 만난 사람들도

대체로 그랬요.


1학년 때까지 특히나, 과연 존재할 거라고 생각도 못하고 어렴풋이 그리던 곳을 만난 게 너무 신기하고 감격스러웠죠.


물론 그 뒤로는 그냥 사람 사는 곳 다 비슷하다고 느꼈지만 말이요. 알고 보니 그 학교를 벗어나서도, 모두가 본질을 고민하더라구요. 오히려 학교에 갇힐 뻔했었죠.


그 학교 합격 20대 초반의 저에게 양면적인 영향을 끼 것 같아요. 자유와 방종 사이에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