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최상연 Aug 03. 2017

청년들이 록음악을 듣지 않는 이유 II

Part 2.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의 등장


"오늘날 록음악은 소비자가 생산자로 전환되는 구조가 무너졌고, 새로운 성공모델이 더 이상 나오지 않게 되었다. 이것이 "청년들이 록음악을 듣지 않는" 첫 번째 이유일 것이다."


지난 글(https://brunch.co.kr/@jamunited/1)에 이어 "청년들이 록음악을 듣지 않는 이유" 그 두 번째 이야기다.


PART 2.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의 등장


나는 1977년 생이다. 

덕분에(?) 놀라운 기술발전을 직접 경험하며 자랄 수 있었다. 컬러 TV, 컴퓨터, 삐삐, 휴대전화, 인터넷, MP3플레이어, 스마트폰. 이 모든 것들이 세상에 처음 등장하는 순간을 보았고, 세상이 천천히 때론 빠르게 변해 가는 것을 경험했다. 그리고 지금의 10대, 20대는 이 모든 것들이 이미 존재하는 세상에 태어나 자라났다. 


이른바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다. 


이들은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 타인과 관계를 맺는 방식, 자신을 표현하는 방식, 콘텐츠를 소비하는 방식 등 모든 것이 그 이전의 세대와 다르다. 그들은 전화통화보다 문자를 선호한다. 직접 만나지 않고 단톡 방이나 소셜 미디어를 통해 타인과 소통하는 것이 더 편하다. 이러한 세대가 음악의 핵심 소비자이며 새로운 생산자로 전환되고 있다. 하지만 이들에게 록음악의 생산자가 되는 것은 굉장히 번거로운 일이다.  


1. 악기를 사고 연주 실력 향상을 위한 연습시간과 노력이 필요(레슨 비용이 필요할 때도 있음).

2. 함께 연주할 "마음에 맞는" 사람을 찾아 만나야 하며, 특정 포지션(드럼, 베이스) 등은 구하기 힘듦.

3. 연주할 사람이 구해지면 합주를 위한 장소, 비용, 시간이 필요.


과정을 단순화시켰지만, 1-3은 끊임없이 반복된다. 그 이후에도 곡을 만들고 녹음을 하는 과정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것이 록음악이다. 시간과 노력, 타인과의 직접 교류가 필수적인 록음악을 한다는 것은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에게 번거롭고 불편한 작업일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이들이 힙합 음악의 생산자가 되는 경우를 살펴보자.


1. 웹 검색을 통해 내가 마음에 드는 비트를 다운로드한다.

2.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랩가사로 만든다.

3. 마이크를 사서 비트 위에 랩을 컴퓨터로 녹음한다.


직접 비트를 만들 경우 더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록음악에 비해 시간과 비용이 현저히 줄어든다. 타인과 직접적인 교류를 할 필요도 없다. 멤버간 의견 충돌이나 견해차를 좁히기 위한 노력도 필요 없다. 내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방식으로 만들 수 있으며, 유튜브 등으로 손쉽게 배포할 수도 있다.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에게 힙합 음악은 그들이 익숙한 방식으로 생산자가 될 수 있는 음악인 것이다. 


즉,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에게 록음악은 생산자가 되기 위한 진입장벽이 높은 음악이고, 힙합 음악은 상대적으로 낮다. 그런 이유로 록음악과 힙합 음악의 생산자 유입량은 커다란 차이가 생겼고, 이는 곧 새로운 성공모델이 배출될 수 있는 확률을 낮추게 된 것이다. 이것이 "청년들이 록음악을 듣지 않는" 두 번째 이유일 것이다. 


톨스토이는 예술에 대하여 이렇게 말했다.

"예술이란 경험한 감정을 다른 사람들에게 전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 인간 활동이다"


록음악이든 힙합 음악이든 그 본질은 비슷하다고 본다. 음악이라는 도구로 자기 자신을 표현한다. 그리고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는 자기 자신의 생각을 전하기 위해 더 편리하고 익숙한 방식을 택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 이어질 마지막 글에서는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적인 측면(자본과 미디어를 중심으로)과 연관하여 록음악에 대한 이야기를 다뤄보고자 한다. 





작가의 이전글 청년들이 록음악을 듣지 않는 이유 I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