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하비 Oct 17. 2022

글 쓰는 사람이 책을 읽어야 할 이유

창조성의 길을 트기 위하여

오늘의 오후의 글쓰기 과제는 오늘 읽은 글 중에서 가장 마음에 남는 한 문장을 가져다 꾹 눌러써보는 일. 책에서 언급해주신 내용 그대로를 가져오는 게 괜찮을까 조심스럽지만 내게 책을 읽어야 할 이유를 한 가지 더 알려준 내용이었던 것 같아서 이를 기록으로 남기고 싶었다.


살기 위해 먹고, 먹기 위해 사는 것처럼 읽기와 쓰기는 하나입니다. 읽다 보면 쓰게 되고, 쓰기 위해 또 읽습니다. 둘은 분명히 다른 행위인데, 어떤 게 먼저인지 가리기 어려울 만큼 따로 떼어서 생각하기 어렵습니다. 내 머리에서 짜내는 글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독서라는 형태로 신선한 영감, 훌륭한 문장에의 노출을 지속하는 것입니다. 영어권에 가서 살다 보면 영어학원에 다니지 않아도 듣고 말하는 실력이 자연스레 느는 것처럼 좋은 문장으로 잘 정리된 글을 계속해서 읽다 보면 자연스레 내 문장도 달라지기 시작합니다.

<오후의 글쓰기>, 이은경


그렇다, 가만히 있으면 브런치 글쓰기 버튼을 누르고서도 한 글자 써 내려가기가 그렇게 어렵던데 작가님의 글을 읽고 나면 자연스럽게 글이 술술 나오기 시작한다. 의도하지 않았지만 작가님의 화법에 영향을 받은 탓이겠지 싶다. 따뜻한 문장들 덕분에 나의 문장도 조금 더 따뜻하게 쓰이고 있었다.


무언가를 읽고 있을 때 마르지 않는 샘물처럼 글을 더 써 내려갈 수 있다. 그렇다면 책을 읽지 않는 나는 아무것도 읽지 않았다고 할 수 있을까. 우리는 매일 스마트폰을 통해 끝없이 콘텐츠와 마주하고 있는데 말이다. 하다못해 뉴스, 짤, 유튜브의 문장들까지.


그런 문장들의 한계점은 신선항 영감을 주기 어렵다는 데 있다. 훌륭한 문장이 아닌 평범한 문장들은 마음에 잔잔한 물결을 일으킬만한, 영감을 줄만한 힘이 부족하다. 어디 주민센터의 신명조체로 쓰인 공문 같은걸 보고서 '나도 따뜻한 글을 써야겠어!'라는 결심이 밀려들 수 있을까?


우리는 24시간 소리를 듣고 무엇이든 활자를 읽고 있지만, 시간과 에너지가 한정된 만큼 더욱 양질의 콘텐츠를 받아들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거기에 더해 창조성을 갉아먹는 손쉬운 도파민 요소로부터 거리를 둘 필요가 있다.) 책 읽기와 글쓰기는 선순환을 주는 창조성 개발 도구이자 행동하는 명상이다. 쓰기 위해서 살기 위해서 글을 읽어나가자. 어떤 책이라도 좋다.

작가의 이전글 슈퍼스타 K4 오디션 참가의 추억, 그리고 나의 야망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