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하나 Dec 02. 2022

내면아이 키우기 / 감정 돌보기 / 내면 직면하기

나와 가장 친한 친구가 되기


난 나의 감정에 잘 휘둘리는 편이었다. 이를 테면 기쁠 때는 주변에서 누가 봐도 너무 행복한 사람이 되었고, 부정적 감정이 생길 때면 주변에서 누가 봐도 건드리면 안 될 것 같은 분위기를 풍기곤 했던 것 같다. 즉 감정이 티가 잘 난다.


이에 따라 장점은 내가 '행복'상태에 있을 땐, 주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점이었고, 단점은 내가 '부정적' 상태에 있을 땐 주변에도 악영향을 끼친다는 점이었다.


난 밝고 건강하고 긍정적이고 생산적이고 행복하게 살고 싶었으므로 항상 '행복'상태에 있고 싶었다. 하지만 행복에 집착할수록 행복은 멀어져 갔다. 기쁘고 행복하고 즐거운 것만 쫓을수록 부정적 감정들이 날 찾아올까 두려워했고, 아니나 다를까 부정적 감정이 주는 깊은 무게감에 잠식되어 버리곤 했다. 하지만 때때로 그 부정적 감정들은 음주와 같은 유흥으로 잠깐씩 덮어버린 척, 이제 다 괜찮아진 척하기에 좋았다. 그렇게 착각해버리기에 세상엔 음주 이외에도 게임, 쇼핑과 같은 쾌락적 요소의 유혹거리들도 너무 많으니 말이다. 중독을 통한 마비, 회피 같은 단어와도 꽤나 어울린다. 그렇게 나는 이상적인 낙원의 세상을 쫓으며 마주해야 할 현실에서 종종 도망치곤했다.


두려움의 근원은 무지다. 그렇다. 난 부정적 감정을 외면해서, 내 안에 쌓이는 그 감정들을 받아들이고 인지하고 인정하는 것이 두려웠다. 그럴수록 컨트롤을 잘 못했다.


그렇게 내가 심리학 책을 읽게 된 계기, 그리고 심리학을 공부하기 시작한 이유는 바로 부정적 감정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싶어서였다. 만약 시험공부를 열심히 한 학생이 있다고 하자. 수능 치는 것이 두려울까? 아니다. 오히려 당당히 맞서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공부를 하지 않아 아는 것이 없다고 하자. 그렇다면 당연히 수능 날이 오는 것이 두려울 것이다. 그렇다. '두려움'을 느끼는 이유는, 내가 어떤 것에 대해 잘 모르기 때문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등을 구상할 수도 없고, 그렇기에 더 두려운 것이다.


그래서 20대 삶의 모토 중 하나가 저 문장이었다. 그래서 무언가에 대해 '두려움'이 몰려올 땐 이건 몰라서 그런 것이다. 공부해야겠다 생각하곤 했다. 그렇게 이십 대 중-후반부터 나의 감정 공부가 시작되었다.




여기까지 읽은 분은 이런 생각을 할 수 있다. 푸하 무슨 감정을 공부해~ ㅋㅋ 푸하하. 그냥 기쁘면 기쁘고, 슬프면 슬픈 거지 푸하하하



예시를 하나 들어보겠다.


만약 친구 혹은 연인과의 약속에서 상대가 30분을 늦었다고 하자. 이럴 때 당연히 화가 날 것이다. 그리고 어느 정도 상대에게 이 감정을 표출할 것이다.


그런데 이 상황에서 느껴지는 것은 단순한 '화'가 아닐 수 있다.


1. 상대가 나와의 관계를 이렇게까지밖에 생각하지 않는다는 서운함일 수도 있고,

2. 나의 시간이 낭비된 것에 대한 분노일 수도 있고,

3. 그 친구가 자주 지각한다면 친구에 대한 실망일 수도 있고,

4. 일정이 틀어진 것에 대한 짜증일 수도 있고


원인은 정말 다양할 수 있다.


그런데 이 모든 것들을 '알아차리지 못하고' 그저 지각한 것에 대해 상대에게 "아 왜 늦어!"하고 '화'만 낸다고 생각해보자. 그러면 근본적인 해결이 나올 수 없다.


1. 서운함이 원인이라면 관계에 대한 이야기를 해야 할 것이고

2. 분노가 원인이라면, 내가 얼마나 약속 시간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인지에 대해 말해야 할 것이고

3. 친구의 행동이 문제라면 그것에 대해 말해야 할 것이고

4. 짜증이 문제라면, 이미 일정이 틀어진 것은 어쩔 수 없는 상황이니 받아들이고 내가 나의 감정을 다스려야 하는 문제일 수도 있다.


그런데 이 모든 것은 뭉뚱그려 그저 '화'만 낸다면 그건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출처 : 도시다감 청소년 감정사전


청소년 감정사전이 출처인 위의 단어들을 살펴보자. 그렇다 정말 다양한 감정들이 있다. 더욱이 나는 나의 감정들에 이름을 붙이고, 나의 욕구들을 정확히 알아차려주고 싶었고, 상대에게 말로도 잘 표현하여 전달하고 싶었으므로 심리 공부는 현재까지도 매우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나의 감정 다루기 작업을 ‘내면 아이 키우기'라고 표현한 이유는, 사실 아무리 부모님이라고 할지 라도 자식의 모든 감정을 헤아릴 순 없다. 부모 자식 간도 엄연히 '타인'이니까 말이다. 그리하여 성장과정에서 부모님이 제 때 알아차려주지 못해 내 안에 쌓여있던 서운함과 분노, 결핍, 슬픔 등의 감정들이 성인이 된 이후 부적절하게 발현될 때마다 해당 상황들을 포착하고 교정하기 위해 나 스스로 나의 깊은 곳에 자리하던 '내면 아이'를 인식하고 안아주며 키워오고 있던 것이다.


대인관계에서의 나의 행동 원인 및 앞으로 더 나은 행동을 하기 위해 '근본 원인'을 찾다 보면 거의 대부분 원가족으로까지 거슬려 올라가야 했으므로 부모님과 나의 관계 습관 파악은 필요했다. 그리하여 감정 다루기 작업엔 성장 과정을 살피는 것이 꼭 필요했으므로 성인이 된 이후에도 내면에 자리한다는 내면아이 용어를 함께 사용하였다.




내향인의 강점은 이 것에 있다. 내면을 직시하는 힘 말이다.


모든 외향인이 그런 것은 아니지만, 외향인은 밖에서 그리고 '사람을 만날 때' 에너지를 얻는 사람들이기에 본인에 집중하기보다는 시선이 외부에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내향인은 스스로 에너지를 충전해야 하고, '나에게' 집중하는 시간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때 좀 더 내면을 잘 다듬을 수 있는 것이다.


삼십을 기점으로 그동안 방치해오던 '감정'이 폭포수처럼 터져 엄청난 동굴기를 가졌던 시기가 있다. 이때 감당하지 못하던 인간관계 상당량을 자의 아닌 자의로, 놓은 것이 아닌 놓을 수밖에 없었던 상황에 놓였던 나로서는 외향인의 그 대외적인 에너지가 부러울 때도 있다.


하지만 지금은 나의 내면 다듬기 작업을 꽤나 진행해왔고, 나 스스로와 이전보다 많이 친해졌고, 나의 감정들도 훨씬 여유롭게 다룰 수 있는 내향인인 내가, 내향인이어서 내면을 돌보기 시작한 나의 이런 점을 장점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생각하고 글 쓰는 것이 취미인 내향 특성까지도 말이다.


물론 이 작업은 '완성'이 없다. 그저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때의 평온함을. '문제'를 마주쳤을 때도 잘 유지할 수 있도록 계속 가꿔야 하기 때문이다.


계속 자라나는 가지를 잘라줘야 하는 내면 정원사와도 같다.


그래서 오늘의 결론은,

내향적 성향을 더욱 장점으로 활용하고 싶다면, 혹은 나의 내향 기질, 내면을 잘 다듬고 싶다면


'나의 감정 알아차리기', '내면 아이 키우기', '감정에 이름 붙이기', '스스로와 대화하기', '누구보다도 나와 가장 친한 친구 되기' 등의 작업을 진행해보시길 추천드린다.


이전과는 차원이 다른 내면의 풍요를 마주할 수 있다.


사실 내면 다듬기 작업에는 감정 말고도 '비합리적 신념 다듬기' 등 많은 것이 있지만, 일단 오늘 글에서는 '감정'에 대해서만 다루었다. 곧 '비합리적 신념 다듬기'도 다룰 예정이다.


내가 결코 나와 함께 놀 친구가 없어서 스스로와 친구가 된 것은 아님을 밝힌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