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여행하는 기획자 Jul 28. 2024

제론 테크에서 특히 중요한 점은 무엇인가

제론테크 알아보기 


통계청은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2025년 고령자 비중이 20%를 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미 유소년 인구에 비해 고령 인구가 비중이 높아졌으며 향후 초고령 인구가 1000만 명을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추세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에 따르면 전체 진료비 대비 고령자 진료비는 3.3배 이상 높은 수준으로 집계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전체 인구의 만성질환 보유자는 28.5%로 집계되고 있으며 진료비는 21.2천억 원 수준으로 집행되고 있다. 고령화 인구의 확대와 함께 대두되고 있는 키워드는 '제론테크'이다. 


제론 테크는 노년학(Gerontology)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실버세대를 위한 기술과 고령화에 대비한 기술을 총칭하는 용어이다. 인공지능, 햅틱, 보이스 인터랙션 등의 여러 기술을 활용하여 시니어들이 일상에서 더욱 편안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예를 들어 치매 노인이 우울감을 없애기 위해 실시간 대화하는 로봇이나 욕창, 낙상을 감지하는 AI 센서, 로봇 모두 제론테크의 일종이다. AI를 활용해 노인들의 상태를 파악하고 지속적으로 도움을 주는 기술은 제론 테크의 대표적인 분야 중 하나이다. 데이터 사이언스 영역도 주목할만한 제론테크 영역이다. 데이터 분석을 통해 노인들의 신체적, 정신적 상태를 파악하고 예측하는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단순히 물리적 기기가 아닌 플랫폼 역시 제론테크의 일종이다. 가족, 친구, 지역 사회와 연결될 수 있거나 재교육을 효율적으로 받을 수 있는 플랫폼 역시 모두 제론테크의 일종이다.  


이처럼 제론테크는 고령화로 인한 신체적, 정신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주목받고 있으며 2027년까지 전 세계 2,902억 달러 규모로 성장 추세에 있다. 제론 테크와 디지털 헬스케어와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는데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기준 디지털 헬스 시장은 매년 30%씩 성장하여 2026년에는 6394억 달러까지 커질 시장으로 전망하고 있다. 왜 이토록 제론테크의 시장은 주목받고 있는 것일까? 



왜 제론 테크를 주목하는가


최근 부쩍 제론테크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제론테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이유는 전 세계적으로 노령화 속도가 빨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한국은 노령화 속도가 세계 1위 일만큼 노령화 속도가 빠르다. 1970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의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연평균 4.4%씩 증가할 만큼 가파르게 노령화 인구들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중국 역시 2021년 기준 65세 인구가 총인구 대비 14% 이상(2억 명 이상)으로 집계되어 이미 초고령사회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는 실정이다. 2030년이 되면 미국의 경우 65세 이상의 노인이 전체 인구 대비 21%로 차지하게 될 것이라 예상하고 있다. 갈수록 노년층이 증가되고 있어 어떻게 하면 기술이 이들을 도울 수 있을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제론 테크에서 특히 중요한 점은 무엇인가


제론 테크를 개발할 때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시니어층'에 대한 오해를 걷어내는 것이다. '당연히 시니어층이라면 건강이 취약할 것이다. 보호받아야 할 존재들이다'라는 그릇된 편견을 먼저 벗는 것이 필요하다. 시니어가 가장 원하는 것은 '건강'이다라는 접근은 단순한 편견이다. 사람마다 체력이 모두 다르듯 모든 시니어층 역시 모두 다르고 건강한 노년층도 많은 편이다. 건강은 중요하지만 시니어가 원하는 가치는 '건강이라는 단일 가치'는 아니다. 시니어의 머릿속엔 오직 건강만 생각할 것처럼 건강에만 초점을 맞출 필요는 없다. 건강도 물론 중요하지만 건강 외 시니어가 바라는 다양한 욕망을 발견하고 융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고령자는 활동적이지 않고 능력이 부족하다고 여기는 편견 역시 주의해야 할 점이다. 계속 사회와 연결되어 교류하는 노년층도 많고, 연결을 희망하는 노년층도 많다. 사회에 기여를 하고자 끊임없이 외부에서 활동하는 노년층도 많다. 시니어층 역시 오늘이 가장 젊은 날이기에 성장하고, 도전하는 욕망이 있다. 시니어의 욕망과 재미를 사회서 터부시 한 채 막연한 편견을 가지게 된다면 시니어의 기술 수용에 있어 외면을 받을 확률이 높다. 노년층에 대한 막연한 편견으로 심리적 박탈감이나 위화감을 느끼지 않고 자연스럽고 공감되는 태도로 노년층에게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공감하는 태도로 UX Writing을 작성하는 것은 중요하다. 유한킴벌리는 시니어 상담사를 채용하면서 고객들이 마음을 열기 시작한 예시는 무척 유명하다. '나도 요실금이 있다.'라고 이야기하면 고객들도 마음의 문을 열고 적극적으로 귀를 기울였다는 사례가 있다. 화상통화 앱을 설계한다면 :보고 싶은 사람과 만나보세요.", 오류가 발생했다면 "걱정하지 마세요."라는 문구로 심리적 공감을 쌓는 것이 필요하다. 


기술에 대한 접근성도 중요하다. 노년층이 돼서 부딪히는 신체적, 인지적 변화를 이해하면서 기술 설계가 되어야 한다. 잘 보이도록 큰 폰트, 간편하고 직관적인 검색 및 레이아웃이 요구된다. 손떨림, 청력 저하 등을 보조할 수 있는 기술 지원 역시 기술 사용을 용이하게 만들어준다. 


쉬운 기술, 서비스 사용을 위해 기존에 사용하던 타 서비스나 장치와 원활한 통합이 필수적이다. 기술을 수용하기 위해 새롭게 기술을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녹아들도록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타 기술을 사용했던 방식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면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매거진의 이전글 서비스 기획자는 어디에서 주로 데이터를 얻을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