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월, 가장 중요한 질문은 두 가지였다.
‘금리 인상과 긴축은 언제 하는가?’, ‘한다면 어느 정도로 해야 하는가’.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이냐 아니냐에 대한 해묵은 논쟁은 사라진지 오래였다. 이미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이지 않다는 사실은 지나가는 개도 알았다. 치솟은 물가, 강해진 고용률(낮아진 실업률), 그리고 재선임 이후 매파로 돌아선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이제 남은 건 금리 인상과 양적 긴축이었다. 연준이 금리를 올리냐 안 올리냐 왈가왈부하는 건 여름 뒤에 겨울이 오는지 논쟁하는 것처럼 쓸데없었다. 중요한 건 언제 하느냐, 어느 정도로 하느냐였다.
1월 26일, 그 답이 나왔다.
“완전 고용과 2% 물가를 달성할 것이다. 이를 위해 위원회는 금리 목표치를 0~0.25% 범위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결국 동결이었다. ‘조만간(Soon)’ 금리를 높이고 3월부터 돈줄을 조이겠지만, 지금은 제로 금리를 유지하겠다는 결정, 물가 때려잡는 몽둥이는 ‘아직은’ 안 들겠다는 결정이었다. 파월은 변호사 출신 특유의 섬세함을 발휘하면서 기어오르는 물가에게 이기려고도, 지려고도 하지 않는 자세를 보여줬다.
발목을 잡은 건 코로나였다.
연준은 ‘고용’이라는 등불에 의지해 양적 긴축과 금리 인상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 하지만 그들은 고용(노동 참여율)이 코로나 바이러스에 의해 꺾일까 봐 노심초사했다. “경제활동과 고용지표가 강하지만 아직 코로나19 영향을 받고 있다”
심판의 순간은 다시 한번 연기됐다.
이 결정이 도무지 마음에 들지 않은 경제학자들은 미간을 찌푸렸다. 그들 중에는 이미 지난해 말에 기준금리가 2% 여야 했다는 의견(테일러 준칙)도 있었고, 지금 연준이 보여주는 정책이 지금까지 봐온 것 중에 가장 느슨한 통화정책이라는 의견도 있었고, 이미 12월 실업률이 3.9%까지 내려와서 긴축을 해도 충분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모두 연준의 대응이 느리다는 뜻이었다.
정말 연준의 실수였을까?
시간은 째깍째깍 흘러 여름이 됐다. 많은 사람들이 연준이 이때라도 금리 인상을 했어야 했다고 말한다. 왜? 연준 나름대로 논리적으로 무결했을지 모르지만, 계산에 없던 러시아 전쟁과 중국 봉쇄라는 큰 악재가 튀어나왔으니까. 파월 의장은 한 라디오 방송에서 이 비판을 인정했다. “되돌아본다면 우리가 기준금리를 조금 더 일찍 올렸다면 더 좋았을 것이다.” 하지만 어쩔 도리가 없었다고 덧붙였다. “그랬다고 해서 뭐가 달라졌을지 모르겠다. 우리는 우리가 알고 있는바를 토대로 최선을 다했다.”
물가는 무섭게 치솟았다.
하지만 연준은 지각생이었다. 어쩌면 연준에게 운이 없었던 것일 수도 있다. 아마 코로나 바이러스 변이가 잠잠했더라면, 아니면 러시아 전쟁과 중국의 봉쇄가 없었더라면, 아니 애초에 제대로 된 고용 보고서를 받았더라면 (그들은 잘못된 고용 보고서를 받았다), 그래서 테이퍼링을 속도를 더 앞당기고 금리 인상을 더 빨리했더라면 연준이 급하게 금리를 올리지 않아도 됐었다. 연준이 급하게 금리를 올리지 않아도 됐으니 시장이 X 같이 망가지지 않았을 수도 있었다. 다시 한번 경제는 살아있는 생명체라는 사실을 깨닫게 하는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