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옝옝 Feb 23. 2023

하고 싶은 걸 포기한 적 있나요?

<좋아하는 일만 하며 사는 법>을 읽고


좋아하는 일로 밥 벌어먹고 살기라.

세상에 이보다 더 꿈같은 말이 있을까?


“나 하고 싶은 거 하고 살 거야.”

주변에 선언이라도 하는 날엔 백이면 백 아래 셋 중 하나로 대답이 돌아온다.


꿈 깨라,


정신 차리고 공부나 해라,


안정적인 직장에서 꼬박꼬박 월급 받는 게 최고다.



하고 싶은 일만 해도 돈을 벌 수 있다?

예전에는 아주 말도 안 된다고 여겨져왔지만, 최근에는 유튜브와 개인 방송의 발전으로 인해 많은 이들이 이 명제에 대한 의심을 지운 듯하다. 이제는 어느 정도는 대중이 받아들인 것이다. 더 나아가 직접 실천에 옮기는 사람도 많아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이들이 하루하루 버텨내는 삶을 사는 이유는 뭘까? 이유는 두 가지다.


첫째는 아직 백 퍼센트 완전히 믿지 못했다는 것,

둘째는 아직 좋아하는 일을 찾지 못했다는 것.



첫 번째 이유에 대해서는 나 역시도 아직 몸소 검증한 바가 없기 때문에 맞다 틀리다 판단하지 못하겠다. 그래서 이 부분은 독일에서 지내는 3년 동안 내 인생에 직접 시험해 보려고 한다. 진짜로 하고 싶은 것만 하면서 마음대로 살아볼라니까 제 인생 망하나 안 망하나 많관부!



두 번째 이유에 대해서는 이 책을 읽고 해답을 찾았다. 어떤 구절을 읽고 그 해답이 돌고래 튀어 오르듯 떠올랐는데, 당신도 아래 문장을 읽으면 답을 찾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당신이 포기해버린 일이
사실은 가장 하고 싶은 일
(헐 그게..?)



쑥스럽지만 내가 포기한 꿈은 연예인이었다. 할 수 있을 리가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아주 오래 전에 일찌감치 포기하고 숨겨왔던 것이다. 포기라는 단어를 감히 갖다 붙이지도 못했다. 와 너 그런 걸 꿈꿨어?라며 비웃음 섞인 힐난을 듣게 될까 겁나서. 오랜 세월 동안 포기했다는 사실조차도 인지하지 못했는데 위 문장을 따라가보니 그 끝엔 낡은 꿈이 있었다.



이는 내가 왜 관종이라는 단어에 그토록 알레르기 반응을 보여왔는지 또한 설명해 주었다. 난 사실 그동안 ‘관종’이라 불리는 사람들을 세모눈으로 바라봐왔다. 게시물을 올릴 때에도 항상 ‘이거 좀 관종 같은가?’ 고민하다가 업로드를 포기하는 경우도 부지기수였다.



왜 그랬을까 깊게 파고들어 마주해보니 그것은 사실 열등감이었다. 부러움이었다. 세상에 당당히 자신을 드러내고 하고 싶은 걸 마음껏 해 보이는 그들의 자신감과 용기가 부러웠을 테다. ‘나도 저 사람들처럼 당당하고 인기 있고 싶어’라는 마음의 소리를 외면해온 것일 테다.



두려운 마음을 많이 내려놓은 후에야 이제는 관종의 벽을 좀 넘어봐도 괜찮겠다는 생각이 든다. 내가 관종 좀 된다고 세상이 망하기야 하겠는가, 그냥 나만 좀 창피하고 비웃음 사면 말 일이지. 어차피 창피한 짓은 살면서 수도 없이 해봤다.




"노력하지 마라."

저자는 하고 싶은 걸 마음껏 하고 살아도 망하긴커녕 오히려 더 잘 살게 된다고 말한다. 돈이라는 건 열심히 노력한 대가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노력하지 않아도 그 자체로 빛나는 사람에게 따라오는 것이라 말한다. 하고 싶은 것을 마음껏 하고 사는 사람은 빛이 난다. 세상은 제멋대로 하는 사람을 지지해 준다.



이토록 미신 같은 말을 믿느냐 마느냐는 개인의 선택이지만, 나는 믿기로 했다. 고등학교 때 읽었던 <시크릿>을 믿기로 한 후 내 인생이 운빨 제대로 터지며 술술 풀려왔듯이, 앞으로의 나날도 이 책을 믿음으로써 한층 더 술술 풀리리라 기대해 본다. 뭐 진짠지 아닌지는 나중 돼서 까봐야 알겠지만…



당신은 어떤 꿈을 포기했나요?







• 혼자 노력하는 '나'를 버리자마자 '남의 힘'이 모여들더군요. 하지만 '남의 힘'을 믿지 않으면 그 힘은 결코 이용할 수 없습니다. '나'를 믿지 못하기 때문에 '남의 힘' 또한 의지할 수 없는 겁니다.


'나'를 버리지 못하면 '남의 힘'이 줄어듭니다.

반대로 '나'를 버리면 '남의 힘'이 늘어납니다.



• "산을 넘지 않고 옆으로 돌아가다니요? 그런 비겁한 짓은 절대 못합니다."


당신은 이렇게 말할지도 모릅니다. 그렇게 생각하니까 당신에게는 처음부터 옆으로 돌아갈 수 있는 길이 보이지 않는 것입니다.



• 진짜 부자는 돈에 쫓기지 않고, 불안함도 느끼지 않습니다. 자신이 일하든 일하지 않든,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든 되지 않든, 자신이 무엇을 하든 하지 않든, '나'라는 존재느 풍족함을 받아들일 가치가 있다는 걸 알고 있기 때문에 돈에 쫓기지도 초조해하지도 않죠. 그래서 좋아하는 일을 할 수 있고, 좋아하는 일을 하니까 행복해지는 겁니다.



• 왜 굴러들어오는 복을 차버리는 걸까?

예를 들면 근사한 부자와 결혼한 덕분에 일하지 않고도 자유롭게 돈을 쓸 수 있게 되었다고 합시다. 일하지 않는다는 데 죄책감을 느끼는 사람은 남편에게 맛있는 요리를 만들어줘야 한다고 생각해서 열심히 요리 교실에 다닙니다. 또한 도우미를 고용했는데도 직접 나서서 집안일을 완벽하게 해내려고 합니다. 남편에게 돈을 받고 있는 만큼 그에 상응하는 가치를 제공해서 죄의식을 털어버리려는 속셈입니다. 죄책감을 버리면 행복해집니다.



• 노력하지 않고 빈둥거리며 좋아하는 일을 하는 사람이 사랑받는다는 것을, "저건 싫어, 이거 할래!" 라고 제멋대로 하는 사람을 모두가 지지해 준다는 사실을 하루빨리 깨닫기 바랍니다.



• "너는 훌륭한 사람이야."

"너는 노력하지 않아도 돈이 있으니까 괜찮아."


부자들은 대대로 이런 말을 들으며 자랍니다. 그래서 부자가 된 것이고, 계속 부자로 살 수 있는 겁니다. 노력하지 않아도 돈이 들어온다고 믿고, 그 믿음대로 이루어졌을 뿐입니다.


어떤 전제로 가르치느냐에 따라 인생이 달라집니다.



• 나는 대단한 사람이니까 애쓰지 않아도 된다.

노력하지 않아도 괜찮다.

다른 사람들에게 맡겨도 된다.

참지 않는다.

좋아하는 일만 해도 된다.

싫은 일은 하지 않는다.


그러면 어느 사이엔가 좋아하는 일만 하며 살아가는 사람이 되어 있을 겁니다.



• 남에게 피해를 주는 건 당연하다

인도 사람들은 '미안하다'는 말을 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서로가 서로에게 피해를 준다는 전제 아래 살아가기 때문에 그런 말을 일일이 입에 담지 않습니다.


어쩌면 살아 있다는 것 자체가 남에게 폐를 끼치고 있는 걸지도 모릅니다. 따라서 사람들에게 폐를 끼치지 말고 살아가라는 가르침은 사실 오만한 말일 수도 있습니다.



• "나는 누구의 도움도 받지 않고 혼자서 살아 왔습니다."


이렇게 말하는 것만큼 오만하고 피해를 주는 삶의 방식은 없습니다. 또한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겠다는 것은, 주변 사람들이 자신에게 너그러움을 베풀거나 도움을 줄 수 있는 기회를 빼앗는 행위이기도 합니다.



• "걱정거리의 90퍼센트는 실제로 일어나지 않는다." - 마스노 순묘 스님



• 타인에게 도울 기회를 줘라

"미안하지만 부탁 하나 해도 될까요?"

이렇게 용기 내서 말을 걸어보세요. (마음 속으로는 '하게 해주지'라고 외치면 됩니다.)

그러면 의외로 "네, 도와드릴게요"라고 흔쾌히 응해주는 사람이 나타날 겁니다.



• 당신이 포기해버린 일이 사실은 가장 하고 싶은 일

왜 좋아하는 것을 숨기는 걸까요? 그렇게 함으로써 좋아하는 것을, 할 수 있을 리 없다고 포기해버렸기 때문입니다.



• '거창한 욕구'가 아니어도 상관 없습니다. 커피를 한 잔 마시고 싶다는 '욕구'조차 당신은 지금까지 억눌러왔으니까요.


하고 싶은 일을 해도 된다.

좋아하는 일을 하며 살아도 된다.


이런 식으로 자기 욕구를 받아들이면, '좋아하는 일을 해서는 안된다'는 자기 고정관념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고전 문학, 왜 읽으시나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