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아키비스트J Jan 11. 2024

제2편. DIAZ, 아카이브 시스템

프랑스 시청각 아카이브 기업 Archipop 탐방기

근대 아카이브는 권리, 권력을 민(民)에게 부여한 가장 상징적인 개념이자 공간입니다. 1789년 프랑스 혁명으로 실현되었죠. 이후 프랑스는 아카이브 문화가 대중에게 널리 퍼져 있는 ‘아카이브 문화 선진국’으로 각인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일부 번역되는 몇몇 논문이나 도서를 제외하면 아직은 먼 나라 이야기입니다. 현장에서 일하는 일선의 사람들, 그 속에서의 요즘 분위기들, 사용하는 툴이나 프로그램 마음가짐들... 어느 하나 명확히 아는 게 없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프랑스 아카이브 환경이 궁금한 사람들을 위해 아주 일부이지만 직접 방문하고 들어 본 이야기를 준비했습니다.




DIAZ


 아치팝은 DIAZ라는 시청각 자료 인덱싱에 특화된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DIAZ는 히스토리가 참 흥미로운 시스템인데요. 2004년 브르타뉴 지역의 시청각 아카이브 기업 시네마티크(Cinémathèque de Bretagne)에서 비투얼리스(Vitualys)라는 IT회사와 합작하여 만든 것이 시작입니다. 초창기부터 아마추어 필름, 즉 비전문가가 생산한 시청각 자료를 위해 개발한 프로그램이지만 상업영화와 같은 프로페셔널 필름도 함께 관리할 수 있게 했습니다.


 영상매체가 대중에게 보편화된 것은 20세기 중반 무렵입니다. 이전에는 장비와 필름 가격이 비싸기도 하고, 편집도 어렵다보니 개인이 일상 기록용 취미 활동에 쓰기엔 적합하지 않았죠. 그러다 1950~60년대에는 가정용 비디오 테이프를 위한 여러 실험적인 제품이 출시되었습니다. 아마추어 필름 촬영용으로 많이 쓰이던 코닥 사의 Super 8 필름도 1965년 출시, 보급되었죠. 1980년대에는 가정용 비디오 캠코더가 보편화되면서 개인용 비디오 시장도 폭발적으로 성장했습니다.


 이런 흐름에 따라 1990년대에는 영상매체에 기록한 역사를 수집하려는 움직임도 자연스레 나타났을 겁니다. 프랑스에서도 시청각 자료를 아카이브에 수집하고 관리해야 하는 대상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생겨났죠. 종전의 문서와 사진 위주이던 관리방식에서 나아가 시청각 자료라는 새로운 매체의 등장으로 인한 새로운 관리방법론이 대두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1990년대에 프랑스 최초로 아마추어 필름 전문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고 합니다. 이후 이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시청각 자료 아카이브 단체들이 시스템 요구사항을 스스로 도출해 내며, 2004년 마침내 DIAZ Version 1이 탄생합니다.




 시청각 자료라는 특정 분야에 특화된 시스템을, 시스템 유저가 직접 개발했다는 점이 DIAZ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정부 정책의 일환으로 ‘보급’되거나 사용하도록 의무화 된 게 아니라, 다수의 주체가 조직적으로 협력하여 직접적 니즈에 의해 만든 시스템이라는 데에서 의미가 큽니다. 이후 시네마티크는 DIAZ에 대한 소유권을 디아잔테레지오(Diazinteregio)라는 신규 조직에 이전합니다. 디아잔테레지오는 시네마티크가 시청각 아카이브 기업 노르망디 이미지(Normandie Images), 씨클릭(Ciclic)과 함께 2011년 설립한 비영리단체입니다. 디아잔테레지오는 예산이 부족한 신규 시청각 아카이브 단체와 파트너십을 맺고, 시스템 사용을 촉진하는 역할을 맡았습니다. 신규 단체들은 파트너십을 통해 시스템을 제공받기도 하지만, DIAZ의 고도화 개발 과정에도 참여해야 합니다. 실제로 제가 방문한 직후인 2023년 10월에는 인터페이스를 새롭게 업그레이드 했다고 합니다.


 DIAZ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된 프로그램입니다. Tiers, Documentaire, Supports, Duplicata, Photos, Appareils, Documentaire papier, Dépôts과 같은 엔티티가 서로 관계를 맺습니다. 기술요소들은 아마추어 필름을 카탈로깅하고 인덱싱하는 데 특화되어 있습니다.


 DIAZ의 모든 데이터는 디아진테레지오가 관리하는 클라우드에 저장됩니다. 아치팝은 천재지변이나 예상치 못한 사고에 대비하여 사무실 안에 별도의 백업 서버를 마련해 두었습니다. 20여 년 간 800개가 넘는 컬렉션을 관리해 왔다보니, 이중 보존은 이들에게 필수적입니다.




이전글

https://brunch.co.kr/@archivistj/8



다음글

https://brunch.co.kr/@archivistj/10


작가의 이전글 제1편. Archipop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