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ungyeon Roh Jan 25. 2024

신윤복의《혜원전신첩》재해석 아티스트북  

 제작과정 및 후기 

서울대학교 도서관 소장도서인 탐구당의《혜원전신첩》영인본

《혜원전신첩》의 재해석이라는 작업의 주제를 가지고 원작을 탐구하던 중, 다행히도 절판된 탐구당의 《혜원전신첩》이 서울대학교 관정관에 소장되어 있었습니다. 탐구당에서 제작한 이 영인본은 독특한 십자가 모양의 케이스와 함께 안쪽에는《혜원전신첩》30점 모두에 대한 제목과 간단한 해설이 한글과 영문으로 적혀있습니다. 연구자들은 현재까지도 네 글자로 된 각 그림의 제목과 작품의 순서를 정한 사람의 출처는 알 수 없는 데다가 그림 분석 후 제목과 불일치하는 점도 있어 이 제목들을 모두 신뢰하지는 않습니다. 그렇지만 현재까지도 그림의 구별을 위해 이 제목들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2008년부터 실크스크린으로 아티스트북을 만들어 온 저는 보통 하드커버에 아코디언 스타일의 바인딩을 주로 했는데요, 이 작품을 위해서는 탐구당의 영인본을 샘플삼아 최대한 비슷하게 만들어 보기로 하였습니다. 현대적 감성을 담아서요. ㅎㅎ 


As I delved into the original text for my project, I was fortunate enough to come across an out-of-print copy of the 《Hyeowonjeonshincheop》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s library. This exclusive reprint by Tamgudang is enclosed in a distinctive cross-shaped case, featuring titles and brief commentaries for all 30 paintings in both Korean and English. Despite lingering uncertainties about the source of the four-character titles assigned to each painting and the overall order of the works, researchers continue to use these titles for identification. Inconsistencies with the titles have been noted after analyzing the paintings, but they remain in common usage.


Having crafted silkscreened artist books since 2008, my typical choice for hardcovers involves an accordion-style binding. However, for this particular project, I opted to emulate the shape of the Tamgudang reprint as closely as possible, injecting a touch of modern flair.  

재해석된 아티스트북 앞, 안쪽1, 안쪽2, 뒷면 커버
재해석 아티스트 북 펼친 모습
실크스크린 오리지널 낱장으로 된 내지는 장갑을 끼고 관람해 주세요~ :)

https://youtu.be/hdOkYuz0deo?si=AXOWGpMrBfuOE9UY

아티스트북 동영상입니다. 

완성된 아티스트북은 위와 같습니다. 

 미리 모든 재료를 사놓고 여유 있게 만들어 보려 했지만 처음 만들어보는 형태이기에 시행착오가 불가피했습니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당시 마지막 디펜스를 앞두고 전시준비까지 며칠 안 남은 상황에 공휴일이 껴 버렸습니다... 어찌어찌 제가 원하는 재료를 발품을 팔아 산삼을 캐듯 모두 구하고 마지막 커버 작업을 정말 스릴 있게 마쳤던 기억이 납니다. 그날 만났던 모든 분들이 제 기억 속에 무척 좋은 인상으로 남아 있음에 감사드립니다. 


The completed artist's book is as described above. Although I initially attempted to make it leisurely by acquiring all the materials in advance, inevitable trial and error arose due to the unfamiliarity with this particular format. In a twist of fate, just before the final defense and with only a few days left for exhibition preparation, a public holiday threw a wrench into my plans. Despite these challenges, reminiscent of a last-minute scramble, I managed to resource all the materials I needed and concluded the last cover task in a thrilling manner.


I vividly recall the day, with the final defense looming and the exhibition just around the corner, meeting everyone involved left a lasting positive impression in my memory. I am grateful to all those I encountered that day.

보드 재단 
종이배접된 천으로 커버를 만드는 것이 팁입니다. 
작품에서 빠진 <삼추가연>의 상징인 국화를 메인 커버 이미지로 정했습니다. 
엔드페이퍼는 <이부탐춘>의 강아지 짝짓기 형상으로 패턴을 만들었습니다. 
안쪽 펼침면
바깥쪽 펼침면
커버를 닫았을 때 모습입니다. 
커버 프린팅을 위한 실크스크린 제판모습입니다. 
OHP 필름 인쇄와 컬러 제조
<이부탐춘>의 강아지들을 이용한 명함입니다. 

2021년 말부터 시작했던 연구가 2023년 8월이 되어서야 끝이 났습니다. 이것에 대한 작품기록의 이유는 한 사람의 인생에서 꽤 큰 부분을 차지하는 프로젝트인데 완성된 작품의 단 한번 업로드로 끝나는 것이 못내 아쉬웠던 경험이 있습니다. 


 논문과 작품을 함께 연구해야 하는 전공의 특성상 지금까지의 능력의 한계를 넘어서자는 마음으로 임했습니다. 신윤복이라는 위대한 화가에 대해 연구하고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과정이 쉽지만은 않았지만 뜻깊은 시간으로 남았습니다. 부디 동아시아에서 일본, 중국뿐만 아니라 한국의 일러스트레이션도 세계적일 수 있다는 것을 이를 통해 작게나마 보여주었으면 합니다. 15점의 작품과 아티스트북, 전시에 대한 후기를 감상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리며 앞으로 더 좋은 작품으로 인사드릴 수 있기를 바랍니다. :) 


The research that began in late 2021 finally concluded in August 2023. The reason for documenting this project is that it occupies a significant portion of one's life, and I've experienced the disappointment of a project, which holds substantial personal importance, ending with just a single upload of the completed work.


Considering the nature of my major, which involves researching both papers and artworks, I approached this with the intention of surpassing the limits of my abilities thus far. The process of studying and reinterpreting the work of the great artist Shin Yun-bok was challenging, but it became a meaningful period in my life.


I hope that through this research, I've been able to demonstrate that illustration in Korea can be globally significant, not just in Japan and China. I express my gratitude to everyone who took the time to appreciate the 15 artworks, the artist's book, and the exhibition, and I hope to greet you with even better works in the future. :)

매거진의 이전글 <임하투호>(林下投壺) 재해석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