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동우 Dec 29. 2019

가상악기의 용량이 큰 이유

 제 작업용 PC는 각각 용량이 1TB인 SSD 3개와 HDD 1개가 달려있습니다. 총 4TB의 용량이죠. 효과음도 많이 모아놨고, 각종 프로젝트 파일, 그림, 문서들도 많지만 용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가상악기들입니다. 각각의 가상악기가 몇 GB에서 많게는 수백 GB까지도 차지합니다. 왜 이렇게 가상악기는 용량이 큰 걸까요?

이 주제에 대해 논하기 전에, 샘플링 기술을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대다수의 가상악기는 샘플링 방식을 이용하여 제작되었는데, 샘플링이란 녹음한 소리를 따다가 상황에 따라 재생하는 것입니다. 이 영상과 같은 원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힙합에서 말하는 샘플링이라는 단어랑도 같은 말입니다. 다만 힙합의 샘플링이 보통 음악을 직접 따다 쓰는 것을 일컫는데 반해 가상악기들은 보통 해당 악기를 만들기 위해 따로 녹음을 했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샘플을 재생하는 장치를 샘플러라고 하며, 가장 많이 쓰이는 소프트웨어 샘플러인 Kontakt의 스크린 샷입니다.

 위 사진은 Kontakt에서 피아노 가상악기인 Alicia's Keys를 불러온 모습입니다. 하늘색 네모칸들은 각각 녹음된 소리들입니다. 미디 건반을 누르면 음과 벨로시티(얼마나 건반을 세게 누르는가)가 샘플러로 전송됩니다. 위 사진에서 가로축은 해당 음, 세로축은 해당 벨로시티입니다. 만약 C3 음을 가장 큰 벨로시티로 누른다면 사진에서 C3에 해당하는 건반의 열(column)에서 가장 윗 행(row)의 네모에 해당하는 녹음 파일(하나인지 여럿인지는 알 수 없지만)을 재생할 것입니다.

 위의 Alicias Keys는 네모칸들이 세로로 12개씩 있으므로, 벨로시티를 12개로 구분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보통 벨로시티 레이어가 12개 있다고 표현합니다. 아무튼 미디 건반을 세게 치느냐 살살 치는냐에 따라서 12가지의 다른 소리가 나온다는 것입니다. 벨로시티 레이어는 더 많이 구분해도 되고, 더 적게 구분해도 됩니다. 다만 벨로시티 레이어를 더 세분화할 수록 실제 악기 소리와 비슷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사람 목소리가 소곤소곤 말할 때와 소리 지를 때 볼륨 차이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음색 차이도 있듯이, 악기들도 마찬가지입니다. 기타를 세게 칠 때와 살살 칠 때는 분명 소리가 다르고, 가상악기가 이런 음색의 차이를 반영한다면 더 실제와 같을 것입니다.


 그런데 벨로시티 레이어를 늘리기 위해 녹음을 더 할때마다 녹음 파일의 길이는 곱절로 늘어납니다. 우리가 직접 피아노 가상악기를 만든다고 하고 대략적으로 용량을 계산해봅시다. 피아노의 88건반을 모두 녹음한다고 치고 각각의 피아노 음을 5초씩만 녹음한다고 칩시다. 녹음 길이는 88개의 건반 * 5초 = 440초가 됩니다. 거기다 벨로시티 레이어는 Alicia's Keys와 같이 12개로 한다고 칩시다. 그럼 총 녹음본의 길이는 440초 *12개의 벨로시티 레이어 =5280초=88분이 됩니다. 이것만으로 음악 CD 한개 정도의 용량이 나오네요. (사실 CD가 44.1khz, 16bit를 쓰는데 비해 가상악기는 보통 48khz, 24bit를 쓰므로 CD 한개보다 용량이 꽤 클 것입니다.) 게다가 서스테인 페달을 밟는 경우와 떼는 경우도 생각해야 하므로 녹음 길이는 88분*2가지 상태=176분으로 늘어나고, 심지어 공연장에서 녹음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마이크 위치도 가까운 위치, 중간 위치, 먼 위치로 나누어 구분한다면 176분*3개의 마이크=528분으로 거의 9시간에 해당하는 정도의 녹음파일이 필요합니다. 그만큼 용량도 어마어마해집니다. 계산 돌려보니 8GB가 넘어가는군요. 참고로 Alicia's Keys는 압축 전의 샘플이 17GB, 압축 후가 6.9GB라고 합니다.

 또한 어떤 가상악기들은 기능에 따라 용량을 더 필요로 하게됩니다. 예를 들면 Round robin이라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 기능은 예를 들어 저 하늘 색 네모 칸에 들어가는 소리가 몇개 파일 중 랜덤으로 나오는 것입니다. 사람이 기타나 트럼펫 등의 악기를 연주할 때, 같은 음을 같은 세기로 연주하려 하더라도 사람이기 때문에 완벽하게 똑같은 소리가 나올 수 없는데, 가상악기에서도 반복된 음을 연주할 때 '짭티'를 안 내기 위해 완전히 동일한 파일이 아닌 다른 파일을 재생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Round robin 기능이 들어가면 추가로 녹음한 만큼 용량이 더 필요할 것입니다. 또한 어떤 가상악기들은 레가토 연주 시 한 음에서 한음으로 넘어가는 것을 인터벌마다 전부 녹음하는데 이런 경우도 용량이 늘어나겠죠.

다만 용량이 크다고 가상악기의 소리가 좋은 것은 아닙니다. 이것에는 워낙 다양한 원인이 있어 기회가 될 때 다른 글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가상악기의 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것들이 있으나, 이 역시 너무 길게 쓰지 않기 위해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들 위주로 서술했습니다. 이해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작가의 이전글 절대음감이 꼭 유리하지는 않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