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정상이 Apr 13. 2024

도다리 쑥국

인터넷에서 가져온 도다리 쑥국, 선택하고 보니 너무도 정갈하다. ㅎ ㅎ



남편은 입맛이 까다롭지 않다. 

그러나 계절마다 꼭 먹고 싶은 음식이 있다. 

봄이 되면 도다리 쑥국이나 쑥국, 여름엔 콩국수, 가을엔 전어회를 먹고 싶어 한다.

 

 결혼 초기에 쑥국을 끓였다. 조개를 넣고 끓였다.  “이 맛이 아닌데…….” 하여 이번엔 멸치로 육수를 내고 해 봤다. 마찬가지로 아니란다. ‘내 실력으론 안 되는구나.’ 하고 그만두었다. 

 쑥국이 이렇게 힘든데 도다리 쑥국은 어찌하나. 그냥 식당에 가서 사 먹었다. 



며칠 전에 도다리쑥국 얘기가 다시 나왔다.

세월이 흘러 주부의 경력이 붙었다. 

못하는 실력이지만 솜씨 좋은 언니들의 음식을 맛보았고, 검색이 있으니 해 볼 만했다. 


 “맛은 보장하지 못하지만 해 준다.” 

시장에서 만 원에 세 마리를 사고 쑥 3천 원 치, 잔파 2천 원 치 사 왔다. 

멸치와 다시마를 넣은 육수를 만들고 된장을 조금 풀어서 팔팔 끓을 때 도다리를 넣었다. 그리고 마늘과 양파를 넣고 조금 후 쑥을 넣었다. 간을 보니 괜찮았다. 


한 그릇 가득 담아서 저녁상을 차렸다. 쑥 향이 올라오면서 간이 딱 맞다고 했다. 도다리의 살은 연하니 부드러웠다. 아들도 맛있다고 했다.  맛이 없다고 하면 또 안 해줄 것이니 그냥 맛있다고 하는 것일 수도 있지만 맛이 없진 않았다. 남은 쑥으로 오늘 저녁엔 쑥전을 만들 생각이다.  검색을 해 보니 쑥에 다른 것 넣지 않고 해도 맛있다고 하여 그렇게 해 볼 예정이다. 이렇게 남편의 봄은 넘어가고 있다.


여름의 콩국수와 가을 전어는 내가 할 수 있는 게 아니니 괜찮다. 돈만 준비하면 된다. 


가을 전어는 내가 더 좋아할 수도 있다. 전어는 씹히는 맛과 먹으면 먹을수록 고소해지는 식감이 좋다. 

고등학교 때 야간자율학습을 마치고 집에 오면 11시를 훌쩍 넘겼다. 허기진 마음에 냉장고를 열면 나를 기다리고 있었던 전어회. 살짝 차가우면서 초장에 찍어 먹는 달큰 고소함이 좋았다. 

그때 유달리 맛있었던 건 왜일까. 입맛이 왕성했을 때였기 때문일 수도 있고, 어쩌다 먹는 것이었을 수도 있고, 늦은 저녁 혼자 먹었기에 그랬을 수도 있다. 


시간과 추억은 지나고 나면 어찌어찌 포장이 되는 것이니까.       

작가의 이전글 해당화에 반하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