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홍시 Jul 28. 2023

4. 공간데이터 분석의 재료: ② 통계 데이터

통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공간빅데이터분석 전문가 김홍시입니다.


앞선 글에서는 공간 경계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오늘은 공간데이터 분석 시 반드시 필요한 통계 데이터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통계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특정 공간 경계에 맞게 제공됩니다.

시군구나 집계구 등 행정경계에 따라 제공되는 경우도 있고, 그리드 경계에 따라 제공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1) 통계 데이터 예시 

행정구역 경계 (집계구)로 제공되는 통계 데이터 예시


이 데이터는 각각 서울열린데이터광장, 국토정보맵에서 구한 데이터입니다.


사용한 통계 데이터 측면에서 보면

왼쪽은 생활인구 데이터이고, 오른쪽은 주민등록인구 데이터입니다.


사용한 통계 데이터 측면에서 보면 

왼쪽은 집계구 단위 데이터이고, 오른쪽은 격자 단위 데이터입니다.



(1) 주민등록 인구 데이터

우리가 접할 수 있는 대표적인 행정안전부 제공 데이터로서, 

주민등록 시 작성한 주소를 바탕으로 인구를 보여줍니다.

따라서 유동인구를 보여주지는 못합니다.


KOSIS 통계포털에서 제공하는 데이터가 가장 대표적입니다.

이러한 단순 통계자료는 지도화하기 위해서 Shp 파일과 Join해주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매우 다양한 종류의 통계자료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SGIS 홈페이지에서 구득 가능한 인구 자료입니다.

아래의 경우 특정 행정구역 내의 인구/가구/주택/사업체 수가 들어있는 shp 파일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작업 없이 바로 지도화할 수 있습니다.  


(2) 생활인구 데이터


생활인구 데이터는 서울시와 KT가 제공하는 빅데이터로서,

주민등록인구와는 달리 유동인구의 분포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홈페이지에 나와있는 "생활인구 데이터"의 정의를 볼까요?


조사시점 현재 서울에 머무르고 있는 ‘현재 인구(De Facto Population)’로 서울에 주소지를 둔 사람은 물론이고, 업무, 관광, 의료, 교육 등 일시적으로 서울을찾아 행정수요를 유발하는 인구를 총칭(UN 작성권고 서비스인구개념)


**UN 권고안 : 상주인구(Residence Population)가 도시서비스의 수요 및 공급을 잘 설명하지 못할 때 서비스인구(Service Population) 작성할 수 있음


즉, 통신 데이터를 활용하여 해당 휴대폰의 사용자가 어디에 있는지 그 위치정보를 함께 저장하여 배포하는 유동인구 자료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자세한 생활인구 데이터 정보는 아래 글 참조! 

https://kimhongsi.tistory.com/entry/%EA%B3%B5%EA%B0%84%EC%9E%90%EB%A3%8C-%EC%84%9C%EC%9A%B8-KT-%EC%83%9D%ED%99%9C%EC%9D%B8%EA%B5%AC-%EB%8D%B0%EC%9D%B4%ED%84%B0-%EC%A0%95%EB%A6%AC-%EC%84%9C%EC%9A%B8-%EC%83%9D%ED%99%9C%EC%9D%B8%EA%B5%AC%EC%B6%94%EA%B3%84-%EB%A7%A4%EB%89%B4%EC%96%BC


본 데이터의 장점은 바로,

시간대별/국적별(한국인 or 중국인 or 그외)/5세 연령별/행정동or집계구별

유동인구를 무료로 제공한다는 점입니다.

3명 이하의 경우 *로 처리합니다.


아쉽지만 현재는 서울만 무료로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서울 열린데이터광장 페이지에서 무료로 다운 가능합니다.

https://data.seoul.go.kr/


이와 유사하게 생활이동 데이터도 제공하는데요,

이는 특정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한 사람들의 수를 보여줍니다.


특이한 점은 이동 유형도 제공한다는 점이에요.

평소 해당 사용자의 이동 패턴을 감지하여, H(야간상주지), W(주간상주지), E(기타 지역)를 표기하고 있습니다.

예를들어, 이동 코드가 HW라면, 야간상주지에서 주간상주지로 이동했다는 뜻이죠.



(3) 공시지가 데이터


공시지가는 쉽게 말해 그 토지 얼마만큼의 가치가 있는지를 보여주는 통계자료입니다.

해당 지역이 얼마나 높은 토지가격을 가지고 있는지가 중요한 변수일 때 활용합니다.

국토정보맵에서 구득 가능합니다.



이러한 데이터를 사용하면 다양한 곳에 활용이 가능할 것입니다.

인터넷에서 매우 다양한 통계자료를 무료로 받을 수 있습니다.




2) 통계데이터 내려받을 수 있는 사이트

통계 데이터는 다양한 사이트에서 구득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통계 데이터를 구할 수 있는 사이트 목록입니다.



(1) KOSIS 국가통계포털 

https://kosis.kr/index/index.do

무료, 다운 가능, 방문 구득해야 하는 곳보다 이용 가능한 데이터 범위가 좁음



(2) 서울열린데이터광장 

https://data.seoul.go.kr/


무료, 다운 가능, 방문 구득해야 하는 곳보다 이용 가능한 데이터 범위가 좁음


(3) 서울빅데이터캠퍼스

https://bigdata.seoul.go.kr/main.do

인터넷으로 구득할 수 없는 비교적 상세한 데이터를 본원 (상암동) 방문해 가공
사이트로 이용 신청
•인터넷 되지 않고 외부 파일 및 프로그램 이용이 제한적인 공간에서 업무 시간 내에 가공을 완료해야 함, ArcGIS 등 상용프로그램 사용 어려움
•매년 서울시 빅데이터캠퍼스 공모전 시행


(4) SGIS 통계지리정보서비스

https://sgis.kostat.go.kr/view/index

통계청 담당
•무료, 신청 후 승인 시 자료 다운 가능
•행정구역 경계, 격자, 경계/격자 별 통계 등 데이터 제공
•매년 SGIS 활용 우수사례 공모전 시행


(5) 마이크로데이터 통합서비스 

https://mdis.kostat.go.kr/

통계청 담당
•크게 공공용(인가절차 없고 무료)과 인가용(사전 인가 절차, 별도의 보안환경에서, 유료)의 2가지 서비스로 마이크로데이터를 제공
•센터방문해야 하는 데이터의 경우 이용이 유료, 서울대 구성원이라면 이용이 50,000원에서 5,000원으로 할인, 올해는 무료
    *마이크로데이터 : 통계조사 raw data에서 개인정보, 입력오류, 논리오류 등을 수정한 조사개별 단위(개인, 가구, 사업체별 등) 자료


(6) 공공데이터포털

https://www.data.go.kr/index.do


•행정안전부 담당

•공간데이터 뿐만 아니라 각종 지자체 관련 다양한 데이터 보유

•무료, 인터넷 구득 가능


(7) 국가공간정보포털

http://www.nsdi.go.kr/

국토교통부 담당
•지자체가 보유한 각종 공간데이터 위주
•무료, 인터넷 구득 가능
 

(8) 토지이음

http://www.eum.go.kr/web/am/amMain.jsp

•무료, 인터넷 구득 가능

•토지의 공시지가 조회 가능








매거진의 이전글 3. 공간데이터 분석의 재료: ① 공간경계 데이터(하)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